경기도 제조업의 기업혁신 분석
기술혁신은 기업의 성장동력이면서 동시에 산업의 경쟁력, 나아가 국가경제의 경쟁력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기술혁신을 어떻게 강화할 것인가 하는 것이 과학기술 정책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정부는 기업의 경쟁력 확보와 지속적 성장을 위해 기술혁신 R&D자금과 투자펀드 조성 등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기업의 기술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국제환경에서 우리 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혁신활동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 기술혁신활동의 현황을 알아보고 경기도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추진현황 및 혁신활동 애로사항 등을 분석하여 기업의 기술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기업들의 기술혁신활동 세부 현황과 그 동안의 혁신활동 추이를 살펴보고 기업혁신에 필요한 요소와 혁신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추후 경기도가 업종과 지역의 특성, 기업규모와 유형별 특성에 기반을 둔 제조업 기업지원정책을 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오슬로매뉴얼은 국제적으로 비교가 가능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기술혁신 측정 지침서로서 세계적으로 공통된 항목으로 기술통계를 비교할 수 있으며, 기술혁신형 기업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개념 및 항목들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다. KIS 2014는 오슬로매뉴얼을 바탕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2년마다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기업단위 혁신활동에 대한 조사이다. 본 연구에서는 KIS 2014 조사의 경기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경기도 기업의 기술혁신활동 현황과 여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혁신활동을 제품, 공정, 조직, 마케팅 등 여러 방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과거 경기도 기업의 기술혁신활동과 현재 상황을 비교하여 혁신의 변화정도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기도의 제품혁신은 중상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서울, 대전, 인천 등 광역시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공정혁신 역시 중상 수준이며 인천, 충북, 충남 등 공업지역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전자부품/자동차/전기장비/의료업종의 기술혁신 활동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섬유/의복 및 목재/가구업종은 혁신활동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대조를 이루었다.
경기도 기업의 기업혁신활동 분석을 통해 산업별, 업종별, 지역별 기업혁신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정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Technology innovation is the growth engine of an enterprise, and it is also a factor that greatly affects the competitiveness of not only the industry but also the national economy. How to enhance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most countries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innovation activities and Gyeonggi-Do innovation activities, and to make basic data for improving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city of companies in Gyeonggi-Do.
Oslo Manual is a globally comparable and constantly improving guide to measuring technology innovation. This manual allows you to compare technical statistics around the world and has established a variety of concepts and items to evaluate technological companies. KIS 2014 is a survey of innovation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STEPI) every two years, based on the Oslo manual. All the data in the present study is based on the KIS 2014 surve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in Gyeonggi-Do, we analyzed innovation activities in various aspects such as product, process, organization, and marketing. As a result, Gyeonggi-Do"s product innovation appeared to be in the middle level, and Seoul, Daejeon, and Incheon showed excellent. Gyeonggi-Do"s process innovation is also in the middle level, and industrial regions such as Incheon, Chungbuk and Chungnam are excellent. Gyeonggi-Do showed the most active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electronic parts/ automotive/ electric appliance/ medical industry, but the textile/ clothing and wood/ furniture industries showed low innovation activities.
We analyzed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Gyeonggi-do companies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novations by industry and region. We expect that appropriate policies based on this study will be established and execute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