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여성의 이미지를 꽃의 상징성으로 형상화한 칠보 장신구 연구 = A study on the enamel jewelry that woman’s image into the symbolism of flower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7-180(1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소장기관
Background Art is used not only as a visual function, but also as a symbolic and subjective means of expressing the feelings and thoughts of the artist's inner world.
Among the themes, forms, and materials of expression, women are generally expressed as symbols of beauty, women's beauty is likened to flowers, and flowers are personified as images of circulation and creation rather than pure and beautiful.
This study uses women and flowers together as a way of expressing women, and uses enamel as an expression material to emphasize this. Enamel is a material that is continuously experimented with many techniques and various materials, and can even express various pictorial expressions beyond the limits of color expression in me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resses the cycle of motherhood, woman's conception and childbirth through flowers along with the image of a woman, and seeks a method of modeling that can further maximize the image of the work by using enamel as an expression material Methods As a method of research, I would like to symbolic of flower and decorative expression of flowers through case studies of the symbolism of flowers, which ar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case studies of female artists who expressed flowers and women, and apply their characteristics to the expression of works.
The contents and techniques of enamel used as a material for color expression along with form were summarized how it was expressed through the researcher's work Result The flat work, which expresses the image of a woman with flowers, expresses a feeling of tension and fluidity by expressing a self-portrait using flower decorations and mirrors and a flower as a metaphorical subject. And the ornaments by substituting women for flowers were made through the process of simplification and repetition through the enlargement and symbolism of flowers, and the forms of lines and planes had rhythm and vitality through visual rhythm. And the coldness of the metal and the warm contrast of the enamel made it possible to make the image of the flower stand out in the enamel ornament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is researcher was able to explore ways to express women's beauty and inhere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omen's beauty was emphasized using the material flower, and motherhood, circulatory meaning, and inner feelings were approached, and as a result, the study of enamel work depicting women and flowers was expressed in various ways.
The use of enamel was able to maximize the image of the work through color expression, line expression, decoration, and repetitive expression in metal work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broadening the formative and material domains in the expression of enamel works through the form of flowers and women.
연구배경 예술은 시각적 기능으로써 뿐만 아니라 작가의 내면적 세계의 감정이나 사고를 표현하는 상징적이고 주관적인 수단으로 사용된다.
예술 표현의 주제와 형태, 소재 중 하나인 여성은 일반적으로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많이 표현되며, 여성의 아름다움은 꽃에 비유되기도 한다. 꽃은 순수하고 아름다운 모습보다 순환과 생성의 이미지로 여인의 모습을 의인화하기도 한다.
본 연구자는 여성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여성과 꽃을 함께 사용하며, 이를 강조하고 표현하기 위한 재료로 칠보를 사용한다. 칠보는 많은 기법과 다양한 재료의 실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금속 조형 작품에서 금속의 색상 표현 한계를 넘어 여러 가지 회화적인 표현까지도 가능한 재료이다.
본 연구자는 여성의 이미지와 함께 꽃을 통하여 모성, 여성의 잉태와 출산이라는 순환을 표현하며, 표현의 재료로 칠보를 사용하여 작품의 이미지를 더욱 극대화 시 킬 수 있는 조형화의 방법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 이론적 배경이 되는 꽃의 상징성과 꽃과 여성을 표현한 여성 작가들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상징적이고 장식적인 꽃의 표현을 알아보고, 그 특징을 작품 표현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형태와 함께 색 표현을 위한 재료로 사용한 칠보에 대한 내용과 기법은 연구자의 작품을 통하여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의 이미지를 꽃과 함께 표현한 평면작품은 꽃장식과 거울을 이용한 자화상과 꽃을 은유적 소재를 함께 표현하여 긴장감과 유동적인 느낌을 느끼게 하였다. 그리고 여성을 꽃에 대입한 장신구는 꽃의 확대와 상징을 통하여 단순화와 반복의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선과 면의 형태는 시각적 리듬을 통해 율동성과 활력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금속의 차가움과 칠보의 따뜻한 대비로 인해 칠보 장신구에서 꽃의 이미지를 두드러지게 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자는 이번 연구를 통하여 여성의 아름다움과 내재되어 있는 심리적 특성의 표현 방법을 모색할 수 있었다.
특히 꽃이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여성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모성, 순환적 의미, 내면적 감정에 접근하였으며, 그 결과 여인과 꽃을 형상화한 칠보 작품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되었다.
칠보를 사용하여 금속 작품에서의 색의 표현, 선을 이용한 표현, 장식, 반복적인 표현으로 인해 작품의 이미지를 더욱 극대화 시 킬 수 있었다.
이번 연구가 꽃과 여성의 형태를 통한 칠보 작품 표현에 조형적, 재료의 영역을 넓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4-09-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12-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 KCI등재 |
2007-10-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CI등재 |
2007-04-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KCI등재 |
2006-06-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 KCI등재 |
2006-02-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10-3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CI후보 |
2005-10-1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CI후보 |
2005-09-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KCI후보 |
2005-05-30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외국어명 : 미등록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3 | 0.631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