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970년대 한국 청년문화의 문화적 정체성: 통기타음악을 중심으로 =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Youth Culture in the 1970’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주제어
KDC
67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4-165(22쪽)
제공처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1970년대의 통기타음악은 몇 가지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우선 1970년대의 통기타음악은 한국 대중음악 사상 처음으로 젊은 세대의 문화가 기존의 주류 대중음악 질서를 전복하면서 새로운 주류를 형성한 세대혁명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한국 문화 전반이 과거 일제강점기를 통해 형성된 문화 질서로부터 미국 문화의 영향 속에서 새로운 문화질서로 재편되는 과정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1970년대의 한국 모던포크가 가지는 중요성은 그것이 미국을 비롯한 서구 대중음악의 절대적영향 속에서 태동했으면서도 한국 청년세대의 감성과 의식을 담보하는 한국적 청년문화의 양상으로 발전해갔다는 점에 있다. 주로 외국 음악의 번안으로 시작되었던 통기타음악은 개성적인 싱어송라이터들의 등장과 함께 상당히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그 속에는 정치적인 저항의 메시지를 담은 모던포크부터 낭만적인 팝 성향의 음악까지 다양한 음악적 경향이 존재했다. 이러한 다양성이 존재했는데도 통기타음악이 흔히 한 묶음으로 취급되는 것은 그것이 당대의 사회적 질서와 상당한 길항 관계를 형성했고 정치권력에 의해 매우 직접적인 통제와 억압을 받아야 했으며 결국 시장에서 사실상 강제로 퇴출되어야 했다는 사정 때문이다. 이 글은 1970년대 한국 통기타음악이 미국 문화에 대한 모방에서 출발해 미묘한 변화를 겪으며 한국적인 청년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 문화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더보기The Korean modern folk music has some very important meanings in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The Korean modern folk in 1970s was a kind of generation revolution that the young generation culture overturned the system of established mainstream pop music. It was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general Korean culture under the influence of US culture. Korean modern folk music in 1970’s had been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pop music but it developed into Korean youth culture that represents emotion and consciousness of the Korean youth generation. In that process, Korean modern folk formed rivalry relation with social order of the older generation. It had to take very directive suppression from the government, thus practically exterminated from the market. This essay looks into the process of 1970s Korean modern folk music developed starting from imitating US culture to establishing true character of the youth culture to clarify the cultural significanc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