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제 참여자들의 동기: Q 요인 분석 = Motivations behind People`s Participation in Festivals: a Q-factor Analysis
저자
발행기관
한국주관성연구학회(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0
작성언어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22(18쪽)
제공처
Humans are Homo Festivus as much as they are Homo Sapiens. Festival is far more than superficiality or frivolity. It is an essential ingredient to human life. Festivity is a typical form of play that allows social opportunities to express the depressed and neglected emotions. Therefore, a festival is a psychological event to people who participate; it even affects those who simply exercise imaginary participation. This Q study identifies the significance of festival to the people whose cultural backgrounds are different: Koreans and Americans. For the Q sorting, 30 of the world``s most popular festivals were used as Q samples, and 14 Korean and 16 American P samples sorted the stimuli. Three types (factors) were found throughout the Q analysis: The first type, Celebrate Affirmation, manifested among Koreans. The participants felt that, through festivals, they can overcome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their daily lives and achieve their goals. The second type, Deviant Excess, invites conscious excess to "overdo it" or "live it up." Conventional taboos are generally relaxed during festivals. In this environment, people could experience catharsis by committing certain socially approved violations with respect to the norms of ordinary behavior. The last type, Representation of Fantasy, opens the world of imagination and produces myths through fantasy-making, inducing the recognition of self-existence and its significance.
더보기인간은 본질적으로 ``사고하는 인간``일 뿐만 아니라 ``축제하는 인간``이다. 축제는 인간의 유희적 본성이 문화적으로 표현된 것으로서 놀이는 비일상적, 비생산적인 것이지만 일상과 생산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이며, 축제를 통해 일상의 이성적 사고와 감성적 욕망 사이를 넘나들면서 경험과 인식의 지평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문화의 발달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축제는 참여하는 사람들의 심리적 이벤트이다. 본 Q 연구에서는 문화적 배경이 다른 14명의 한국인과 16명의 미국인을 대상으로 세계 축제 중 가장 잘 알려진 축제 30가지를 Q 표본으로 하여 Q 소팅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총 3가지의 유형이 발견되었다. 제1유형은 ``축의적 긍정성``으로 한국인들로 이루어졌으며, 축제 참여자들은 축제를 통해 일상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소원을 성취하고자 하는 특성을 보인다. 제2유형은 ``일탈적 고의성``으로 축제를 통해 평상시에는 허용이 되지 않는 환락을 추구하고 고의적으로 지나친 행동을 통해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제3유형은 ``환상의 표출``로 자신의 존재와 의미를 인식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상 만들기를 통해 신화를 창조해 가고 상상의 세상을 열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