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구술사 교육의 다양한 접근 방향 = Various Approaches to Oral History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3-201(39쪽)
KCI 피인용횟수
5
DOI식별코드
제공처
구술사 교육은 국가・민족 중심의 공식적 역사를 해체하고 개인의 사적인 기억을 바탕으로 역사를 다시 창조해 나가는 과정이다. 구술사 교육은 다양한 목적과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술사 교육은 구술이라는 독특한 종류의 역사적 증거를 매개로 역사가의 활동을 경험하게 해준다. 구술사를 통해 학생들은 문헌 기록에 담겨 있지 않은 새로운 정보, 카운터 내러티브나 기존과는 다른 해석, 구체적인 탐구 질문들을 발견해 낼 수 있다. 하지만 구술사 교육의 초점을 역사적 사고 능력을 신장하는 데에만 두는 것은 구술사 교육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다.
구술사 교육은 지역사회의 사회적 소수자나 피억압자들의 삶을 학생들이 새롭게 역사화하는 데도 초점을 둘 수 있다. 학생들이 평화와 인권이라는 가치에 기반을 두고 이들의 일상적 삶을 역사적인 이야기로 만들어 내는 것은 소통, 배려, 갈등・폭력의 완화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깊이 듣기’, ‘증언의 사슬’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가족사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환경을 가지고 있는 개별 학생들의 흥미를 충족시킬 수 있는 소재이다. 학생들은 가족의 사적인 역사를 수집・정리하는 프로젝트 활동을 통해, 학교에서 배우는 역사와 가족의 기억을 연결시키거나 학교에서 다루는 공식적인 역사적 사건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은 학교의 교육 활동에 학부모를 포함한 학생 가족들의 자연스럽고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가족의 기억이 학습 내용의 원천이 되며, 학습의 결과물은 교육의 주체인 교사학생가족의 공동 작업의 산물이다. 또한, 이러한 활동은 가족 간 이해와 화합을 촉진할 수 있다. 때로는 역사적 사건의 피해자인 가족의 힘들었던 경험들이 면담을 통해서 ‘처음으로’ 공유되기도 한다.
학생들은 면담과 구술자료 분석・해석을 통해 현재의 역사적 논쟁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역사적 논쟁이 개인과 사회의 정체성을 규정하려는 갈등이라는 점을 파악하고, 합리적이고 생산적인 방향으로 논쟁에 대한 주체적인 인식을 형성해 나갈 수 있다.
Oral history Education is an empirical process that disassembles official history and memories centered on national narratives and recreates history based on personal memories. The oral history education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methods and purposes.
Oral history education helps to promote historical thinking by using a unique kind of historical evidence, oral sources. Through oral history, students can discover new information, counter narratives or different interpretations, and specific and practical exploratory questions that are not contained in written sources. However, placing the focus of oral education on enhancing historical thinking ability would limit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oral education.
Students can also historicize the lives of social minorities or the oppressed who are in the community, through oral history education. It is very useful for students, in terms of communication, consideration, mitigation of potential conflict and violence, to make their daily lives a historical story based on the values of peace and human rights. In this process, students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and practice concepts such as deep listening and chain of testimony.
Family history is a material that can satisfy the interests of individual students with various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s. Through project activities that collect and organize the family's private history with oral language, students can find new meaning for official historical events handled in school or link the school history to the family's memories. These activities can encourage the natural an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families, including parents, in the school's educational activities. At this time, the memory of the family becomes the source of the learning, and the result of the learning is the product of the joint work of the teacherstudentfamily, the main agents of education. These activities can also facilitate mutual understanding among family and foster the harmony of the family. Sometimes, the hard experiences of the family member who was a victim of a historical event are shared ‘first time’ through interviews.
Finally, through interviews and analysis of oral materials, students can underst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historical debates. The goal of these activities is to identify that historical debates are conflicts that define the identity of individuals and society, and to form a independent perception of them in a rational and productive way.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 | 1.11 | 1.919 | 0.2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