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윤흥길의 『장마』에 나타난 샤머니즘의 의미 고찰 = The consideration on Shamanism represented on The Rainy Season of Yoon Heung-kil
저자
배경열 (건국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55-177(23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70’s division novel is that most of the novels were written through the vision of child`s point of view. This is possible due to the fact that the author, who experienced war in his childhood, was able to retrospect on war with a rather subdued point of view as grew older. Another characteristic is that these novels also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novels. And such characteristic is also carried in The Rainy Season. The author is insinuating that, as the damaging rainy season, war was also a pass through for the growth of the nation although it is an ordeal at the time. Therefore, we are able to recognize that the title The Rainy Season carries the author`s deepest desire for the growth of the nation through the overcome of the pain of war.
So many words have been used to indicate Korean shamanism. In English, of course, shamanism can be used. But, in Korean, it is very difficult to choose a right one. Each scholar has his own term, which is a result of his conception of Korean shamanism constructed through his own approach.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we can see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shamanism studies in Korea by examining the variety of terms in the light of relation between conceptions and approaches. And then we could find and propose more useful term to help us understand Korean shamanism as a religious phenomenon.
The suggested solutions, that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realising the problems, will help to establish the nation's identity and apply the strength of nation's pride into globalisation that developed even further, especially for Korean people who generally have folk and primitive minds.
The Rainy Season presents shamanism and accordingly the irrational view of the world as the solution that can stand against ideology. this results from the notion that ideology and also the reasoning-centered rational view of the world is of the West. Therefore, through a Korean subject matter, such as the yellow brownish serpent, the author emphasized the homogeneity of the nation and at the same time wished to overcome the tragedy of war the ideology brought about.
1970년대는 민중의식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고 사회 각 분야에서 민중의 시각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이 대내적으로 일어났던 시기이다. 이런 시대 분위기와 더불어 분단 현실에 대한 민중들의 관심을 수용하고 그들의 입장에서 분단극복의 의지를 피력한 작품들이 다양하게 쓰여졌다. 윤흥길의 『장마』는 이념과 분단현실이 민중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가를 묻는 진지한 성찰의 산물이다. 더 나아가 이데올로기로 가족이 파괴된 상황을 민족이 처한 상황으로 환유하고, 반목질시하는 두 세계를 봉합하는 길을 제시한 것이 『장마』이다.
윤흥길은 한국전쟁이라는 국가적 위기상황에 대처하는 방식으로 민족적인 것을 쓰려고 했으며 서양의 합리주의가 낳은 폐단을 극복하기 위해 동양적 한국적 전통 세계인 무속을 통하여 새로운 가능성에 대처할 문학적 혈로를 찾았다. 이것은 무속 가운데 우리 민족 고유의 정신적 가치의 핵심이 되는 그 무엇이 내재해 있을 것으로 파악하고 이것을 현대의 정신세계와 연결하여, 현대사회의 제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을 시도했다고 볼 수 있다. 즉 한국소설을 통하여 한국인의 저변에 흐르고 있는 민족적이고 가장 원초적인 감성과 세계관의 확인 작업을 통해 서구화를 말미암아 무의식 속에 자리한 과학적이고 타산적인 비인간화로 치닫고 있는 현대의 사회병리를 극복할 수 있는 통로를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현대에 소설이 핵심장르로 떠오른 이유는 왜소해지고 분편화된 사회에서 소설의 인간화에 대한 필연적인 시대적 요청에서 기인한 것으로 문학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동일한 인식에서 나온 결론이라 할 수 있다.
자본주의/사회주의의 대립은 그 대립 너머에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외래적인 것의 부정과 본래적인 것으로의 회귀가 그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제 남는 대립은 외래적인 것/ 본래적인 것의 대립인데, 이는 전자에 대한 부정과 후자에 대한 긍정이라는 가치판단이 분명하게 전제되어 있는 대립이라는 점에서 자본주의/사회주의의 대립과 구조적으로 다르다. 여기서 우리는 이의를 제기해볼 필요가 있겠다. 본래적인 것을 전통적인 것에서 찾는다며 지금 우리가 전통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과거에는 외래적인 것이었다는 반론에 부딪친다. 유교가 그렇고 불교가 그렇다. 뒤집어 말하면 지금 외래적인 것이 미래에는 전통적인 것이 될 수도 있다는 말이 된다. 그래서 윤흥길이 찾은 본래적인 것은 유교와 불교 이전의 고대로부터 계승되어온 샤머니즘이다.
따라서 『장마』에서 비합리적인 세계관인 샤머니즘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합리주의는 서양의 것이라는 인식의 결과이다. 서구라는 주인의 입장에 있는 합리주의로 문제를 해결하는 일은 또 다른 서구의 노예가 되는 일이기 때문에 윤흥길은 비합리주의적 세계관인 샤머니즘은 이데올로기라는 합리주의에 의한 폐단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동원되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8 | 0.811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