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校勘, 譯註) 明庵集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목차
    • 발간사 = 1
    • 해제 = 5
    • 범례 = 25
    • 명암집(明庵集) 서문(序文) = 1
    • 권일(券一)『명암집(明庵集)』
    • 시(詩)
    • 함안(咸安) 대사동(大寺洞) 어귀에서 = 11
    • 용화산(龍華山)으로 조건숙(趙建叔 : 이름은 景建)을 방문했으나 만나지 못하고 = 11
    • 승산(勝山) 모방사(茅房寺)에서 자면서 = 12
    • 오곡서재(梧谷書齋)에서 자면서 = 12
    • 모방사(茅房寺)에서 자면서 = 12
    • 바다를 보며 = 13
    • 왕소군(王昭君)의 원한 = 13
    • 기러기를 읊다 = 13
    • 정군필(鄭君弼)이 지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14
    • 용암(龍巖)의 송단(松壇)에서 곽만통(郭萬通 : 이름은 在會)을 생각하며 느낌이 있어 = 14
    • 염강(염江) = 14
    • 천왕봉(天王峯)에 올라 = 15
    • 진사(進士) 조백빈(趙伯賓 : 이름은 明觀)과 작별하면서 준다 = 15
    • 입덕문(入德門) = 16
    • 그윽한 거처 = 16
    • 남강(南江) = 17
    • 천왕봉(天王峯)에 올라 = 17
    • 무암(无庵) 조사여(趙史汝 : 이름은 野)를 방문하여 = 17
    • 달령(달嶺) = 18
    • 회포를 읊어 = 18
    • 불일암(佛日庵) = 18
    • 집안 형인 사무재(四無齋)에게 술을 보내며 = 19
    • 한가하게 살아가며 = 20
    • 하짓날 = 21
    • 우연히 읊어 = 21
    • 종군행(從軍行) = 21
    • 새하곡(塞下曲) = 22
    • 향산(香山) 상원(上院)의 첫째 폭포 = 22
    • 두 번째 폭포 = 23
    • 세 번째 폭포 = 23
    • 무오년 십이월 초삼일 밤 꿈 속에서 짓다 = 23
    • 소남강(召南江)을 지나며 = 23
    • 함벽루(涵碧樓) = 24
    • 오곡서재(梧谷書齋) = 24
    • 삼산(三山)에서 느낌이 있어 = 24
    • 꿈을 기록하여 = 25
    • 집안 조카 몽필(夢弼)이 지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서 = 25
    • 천매상인(天梅上人) = 27
    • 회포를 적다 = 28
    • 마운령(磨雲嶺) = 28
    • 월남(月南)에서 비를 만나 = 28
    • 연밥 따는 노래 = 29
    • 송악(松岳 : 開城) 만월대(滿月臺)에서 권석주(權石洲)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29
    • 봉곡정사(鳳谷精舍)의 여덟 가지 경치를 두고 읊은 시 = 30
    • 기해(己亥 : 1719)년 봄에 의곡사(義谷寺)에서 지내며 = 32
    • 생각을 읊어 = 32
    • 꿈에 어떤 곳을 지나갔는데, 물이 맑고 돌이 기이했고, 그 때 개인 경치는 매우 선명하기에 율시(律詩) 한 수를 읊었다. 꿈에서 깬 뒤에 "부슬비 밖은 향그런 풀과 떨어지는 꽃이로다. [芳草落花疎雨外]"라는 한 구절만 기억났다. 이에 아래 위 구절을 채워서 시를 이룬다 = 33
    • 기러기 소리를 듣고 = 34
    • 밤에 앉아서 = 35
    • 의암(義巖) = 35
    • 정충단(旌忠壇) 나라에서 내린 제사가 있어 = 35
    • 소나무 = 36
    • 대나무 = 37
    • 매화 = 37
    • 국화 = 38
    • 연꽃 = 38
    • 오동나무 = 39
    • 한가하게 살아가며 = 39
    • 광나루를 지나가며 = 40
    • 허창주(許滄洲)가 지은「영회(詠懷)」시의 운자(韻字)를 따라서 = 40
    • 사무옹(四無翁)을 방문하여 = 41
    • 두견새 소리를 듣고 느낌이 있어 = 41
    • 아무렇게나 지어 - 두 수 - = 42
    • 회포를 읊어 = 42
    • 광산사(匡山寺) = 43
    • 창원(昌原)의 해정(海亭)에서 자며 = 43
    • 곽흠약(郭欽若 : 이름은 鳴朝)와 함께 바다를 바라보면서 지은 연구(聯句) = 44
    • 단속사(斷俗寺)에서 강통정(姜通亭)이 손수 심은 매화를 보고 남명(南冥)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44
    • 고기 잡는 늙은이 - 두 수 - = 45
    • 사무옹(四無翁)을 방문하여 밤에 이야기를 나누며 - 세 수 - = 45
    • 허군칙(許君則) = 47
    • 밤에 앉아 느낌이 있어 = 47
    • 도곡(道谷)을 방문하여 - 두 수 - = 47
    • 집의 형님이 옛날 살던 집에 있는 박태기나무를 옮겨 심고 느낀 생각이 있어 두 수를 읊는다 = 48
    • 옥련환체(玉連環體) = 48
    • 병사(兵使) 최진한(崔鎭漢)의「촉석루(矗石樓) 시」의 운자(韻字)를 따라서 - 두 수 - = 49
    • 최병사(崔兵使)에게 주어서 화답(和答)해 주기를 바라며 = 49
    • 졸수재(拙修齋)의 문집 가운데 돌아가신 우리 아버지에게 답하여 부쳐보낸 시가 있기에 세월이 지났어도 느낌을 견딜 수가 없다. 삼가 그 운자(韻字)를 따라서 시를 짓는다 = 50
    • 큰 명(明)나라를 생각하며 = 50
    • 신축(辛丑 : 1721)년 여름에 삼월달부터 비가 오지 않다가 오월 그믐이 되어서야 비로소 비가 내렸다. 삼가 대행대왕(大行大王)의「비오는 것을 즐거워하는 시」의 운자(韻字)를 따라서 - 두 수 - = 51
    • 고을원이 쌀 물고기 술을 보내준 것에 감사하여 = 51
    • 새벽에 앉아서 = 52
    • 사무옹(四無翁)과 더불어 의곡사(義谷寺)에서 놀며 = 52
    • 회산(檜山 : 昌原의 별칭) 노정헌(露頂軒)이란 바닷가 정자에서 옛날 놀던 일을 생각하며 - 두 수 - = 53
    • 우연히 읊어 = 53
    • 역사를 읊어 = 54
    • 느낀 생각 = 54
    • 졸수재(拙守齋)의 벽에 쓰다 = 55
    • 대룡동(大龍洞) 돌부처 = 55
    • 의상대(義相臺)를 찾아가 - 세 수 - = 55
    • 느낀 생각 = 56
    • 주부자(朱夫子 : 朱熹)가 남헌(南軒)과 함께 지은「혁희대(赫曦臺) 연구(聯句)」라는 시의 운자(韻字)에 따라서 = 56
    • 고을원에게 드리는 시 = 57
    • 새벽에 앉아서 = 57
    • 청천(菁天)에서 군사훈련하는 것을 보고 = 58
    • 고을원의「달빛을 타고 초청을 받아」라는 시의 운자(韻字)에 화답(和答)하여 = 58
    • 방장산(方丈山 : 智異山의 별칭)의 묘상(妙上) 상인(上人)에게 준다 = 58
    • 청곡사(靑谷寺)에서 놀며 = 59
    • 황류(黃柳) 나루를 지나며 = 59
    • 봄날 익재(益齋)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59
    • 집안 조카 여량(汝良)과 같이 임강정(臨江亭)에서 놀다가 장난삼아 준 시 = 60
    • 우연히 읊어 = 60
    • 의상대(義相臺) = 60
    • 퇴계선생(退溪先生)이 지은「촉석루(矗石樓) 시」의 운자(韻字)에 따라서 = 61
    • 「우공(禹貢)」을 읽고 = 61
    • 회포를 나타내어 = 62
    • 꿈 속에 어떤 곳에 가서 놀았는데, 달빛은 어렴풋이 밝기에 절구시(絶句詩) 한 수를 읊어 얻었다. 깨고 난 뒤 다만 끝 구절인, "두견새가 피나게 울어 원망의 소리 소리"라는 것만 기억났다. 그리하여 나머지 세 구절을 엮는다. = 62
    • 한가하게 살아가면서 = 62
    • 경신(庚申 : 1740)년 가을 칠월에 산 속의 서재에서 잤는데, 이 날 밤에 바람이 씽씽 불고 귀뚜라미가 찍찍 울어대기에 = 63
    • 마전(痲田)의 적벽(赤壁)에서 돌아가신 아버지께서 김상국(金相國)과 주고받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지어 = 63
    • 삼장사(三壯寺)에서 선보(善甫)가 지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64
    • 어떤 사람에게 답하여 = 64
    • 붕당(朋黨)이 일어난 지 오래 되었는데, 그 원인을 알아보니, 다만 권세(權勢)의 자리 때문에 서로 다투어 이리저리 돌고 돌아 점점 불어나 드디어 큰 화(禍)가 된 것이다. 한가하게 지내면서 가만히 생각해 보니, 개탄(慨歎)스러움을 견디지 못하겠다. 절구시(絶句詩)한 수를 읊어 이룬다. = 65
    • 회포가 있어 = 65
    • 손에게 준다 = 66
    • 우연히 읊어 = 66
    • 청련암(靑蓮庵)을 그리워하며 = 66
    • 느낌이 있어서 = 66
    • 회포를 적어 = 67
    • 무이정사(武夷精舍)에서 자면서 낙엽 소리를 듣고서 = 67
    • 의상대(義相臺)에서 이여삼(李汝三)과 함께 이야기하며 = 68
    • 노완보(盧完寶 : 이름은 珏)가 지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68
    • 기유(己酉 : 1729)년 정월 이십칠일 밤에 이여삼(李汝三)과 같이 의상대(義相臺)에서 잤다. 옛날 놀던 것에 느껴서 다시 찾아오기로 약속하고서 시를 읊었다 - 네 수 - = 69
    • 이자대(李子大 : 이름은 天根)가 지은「눈을 읊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서 = 70
    • 이여삼(李汝三)의 관란당(觀瀾堂) 벽 위의 그림에 쓰다 = 70
    • 쌍계사(雙磎寺)의 팔영루(八詠樓)에 다시 올라 = 70
    • 찬익(贊益) 상인(上人)에게 주는 시 = 71
    • 홀로 앉아 느낀 생각이 있어 = 71
    • 아무렇게나 읊어 = 72
    • 남호(南湖)에서 낚시하며 = 72
    • 사여(史汝)와 더불어 의상대(義相臺)에서 자며 = 72
    • 병중에 느껴서 읊은 시 = 73
    • 느낌이 있어서 = 73
    • 고사리를 먹으며 = 74
    • 내연산(內延山)의 계조암(繼祖菴)에서 자며 = 74
    • 집안 조카 계종(季宗 : 이름은 相周)가 지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74
    • 금산(錦山)에 이름을 쓰다 = 75
    • 보리암(菩提庵) = 75
    • 도솔암(兜率庵) = 75
    • 돌문을 나오며 = 76
    • 구정봉(九井峯) = 76
    • 벽해암(碧海菴)에서 고기 잡는 등불을 보고 = 77
    • 묵방암(默房菴)에서 자면서 낙엽을 읊어 = 77
    • 낙동강(洛東江)을 지나며 = 77
    • 의상대(義相臺)에서 자면서 성매(性每) 상인(上人)에게 주면서 - 세 수 - = 77
    • 노릉(魯陵)을 지나며 = 78
    • 등불 아래서 우연히 읊어 = 78
    • 광은(狂隱) 하회일(河會一 : 이름은 錫徵)에게 주는 시 = 79
    • 큰 명(明)나라를 생각하며 = 79
    • 다시 천왕봉(天王峯)에 올라 = 79
    • 대원사(大源寺) 앞의 반석(盤石)에 이름을 쓴다 = 80
    • 회포가 있어 = 80
    • 그윽한 거처 = 80
    • 느낌이 있어 = 81
    • 임진년의 책력(冊曆)에 쓴 시 = 81
    • 『중용(中庸)』을 읽고서 = 81
    • 우연히 읊어 = 82
    • 처사(處士) 황익재(黃翼哉)가 새로 강가에 집을 지었기에 시를 지어 주다. = 82
    • 낙동강(洛東江)가에 살 곳을 잡고서 = 83
    • 동래부(東萊府)의 부산포(釜山浦)에서 명(明)나라 장수의 전첩비(戰捷碑)를 읽고서 = 83
    • 몰운대(沒雲臺) = 83
    • 황씨(黃氏 : 이름은 류) 원님과 작별하면서 준 시 = 84
    • 와룡암(臥龍菴)에서 되는대로 쓴 시 = 84
    • 마전(痲田)의 비석을 지나며 = 84
    • 신당서원(新塘書院)의「수월헌(水月軒)」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서 = 85
    • 삼가 숙종(肅宗)임금님의「여지도(輿地圖)」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85
    • 느낌이 있어서 = 86
    • 중국(中國) 지도를 보고 = 86
    • 종손(從孫) 용신(龍臣)의 초당(草堂)에 쓴 시 = 87
    • 분성(盆城)에서 회고한 시 = 87
    • 도흥(道興)에서 = 87
    • 작평(鵲坪)을 지나며 = 88
    • 노어대(노魚臺)에서 우연히 읊다 = 88
    • 허덕칭(許德稱)에게 준 시 = 88
    • 도흥(道興)의 강가 정자에서 = 89
    • 백운동(白雲洞)에서 놀며 = 89
    • 석류 = 89
    • 백운동(白雲洞)으로 들어가는 상문(相文)을 전송하면서 = 90
    • 밤에 느낌이 있어 = 90
    • 어렴풋이 자다가 꿈을 꾸고서 = 91
    • 느낌이 있어 - 세 수 - = 91
    • 외손인 전룡(田龍)과 우룡(雨龍)에게 부쳐 보낸 시 = 92
    • 아들 상협(相協), 상문(相文), 상화(相華) 등에게 보이는 시 - 네 수 - = 92
    • 고란사(皐蘭寺) = 93
    • 낙화암(落花巖) = 93
    • 백마강(白馬江) = 94
    • 백마강(白馬江)에서 처능(處能) 상인(上人)이 지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94
    • 덕천서원(德川書院)에서 하진사(河進士)가 지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95
    • 철쭉으로 된 지팡이를 이여앙(李汝앙 : 이름은 德粹)에게 주면서 = 95
    • 밤에 앉아서 = 95
    • 와룡암(臥龍庵)에 쓴 시 - 두 수 - = 96
    • 새벽에 읊어 = 97
    • 무이정사(武夷精舍)에서 우연히 읊은 시 = 97
    • 계해(癸亥 : 1743)년 유월 칠일에 오랑캐 임금이 심양(瀋陽)에 이르렀을 때, 우리 나라의 우의정(右議政) 조현명(趙顯命)이 원접사(遠接使)가 되어 갔다가, 금으로 만든 채찍, 준마(駿馬)와 금자(金紫)를 받고서 득의양양(得意揚揚)하여 돌아왔다. 지평(持平) 조중회(趙重晦)가 상소(上疏)하여 그를 배척하였는데, 그 상소문(上疏文)이 매우 강직(剛直)하고 매서워, 호담암(胡澹菴)의「척화소(斥和疏)」와 천고(千古)의 역사에 빛날 만했다. 우리 나라에 사람이 있다고 말할 수 있겠다. 내가 듣고서 장하게 여겨 절구(絶句) 한 수를 읊었다. = 97
    • 무이정사(武夷精舍)의 벽 위에 쓴 시 = 99
    • 와룡암(臥龍庵)을 두고 되는대로 지은 시 = 100
    • 돌학 = 100
    • 도정절(陶靖節)의 시를 읽어 보니, 은자(隱者)의 그윽한 정취(情趣)를 묘사(描寫)해 낸 것이 천고(千古)에 뛰어났다고 하겠다. 그 가운데서 아주 마음에 드는 몇 구절을 가져다가, 한 구절씩 집어 그 나머지를 채워서 시를 읊어 탄식하였다. 형편없는 것으로 좋은 것의 뒤를 이었다는 비난을 어찌 면할 수 있겠는가? - 다섯 수 - = 100
    • 젊은이 이봉약(李封若 : 이름은 圭)에게 준 시 = 101
    • 갑자(甲子 : 1744)년 사월부터 비가 내려 칠월까지도 멎지 않기에 = 102
    • 집에 있는 것이라고는 돌로 된 학 한 쌍, 괴석(怪石) 세 덩이, 계수나무 꽃 한 송이 뿐이니, 한 해가 다 가도록 도둑맞을 염려가 없어 다행이다. 베개 머리에서 읊는다 = 102
    • 여러 아들들에게 말하기를, "너희들이 이미『주역(周易)』『시경(詩經』『서경(書經)』을 외웠으니,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또 마땅히『중용(中庸)』과 『대학(大學)』을 외우고 익혀서 학문의 강령(綱領)과 차례가 된다는 것을 알아라. 또 남의 힘으로『장자(莊者)』의「소요유편(逍遙遊篇)」「제물편(齊物篇)」「추수편(秋水篇)」과 범씨(范氏)와 채씨(蔡氏)의「원도(原道)」등의 글을 읽어 글 짓는 사람들의 틀을 보는 것이 옳다"라고 하고는, 율시(律詩) 한 수를 지어 보여주었다 = 102
    • 집안 조카 치규(穉圭 이름은 相琦)의 죽음을 슬퍼하여 = 103
    • 천지가 열린 때로부터 숭정(崇禎) 갑신(甲申 : 1644)년까지는 육만 구천 일백 사십 년이다. 갑신년 이후로 지금 을축(乙丑 : 1745)년까지는 일백이 년이다. 일원(一元)의 도수(都數)는 십이만 구천 육백년이다. - 두 수 - = 104
    • 편지 대신으로 봉약(封若 : 李圭)에게 준 시 = 104
    • 되는 대로 읊어 = 105
    • 풍악(楓嶽)을 그리며 = 105
    • 청학동(靑鶴洞)에 다시 놀며 = 106
    • 이명대(李命大 : 이름은 漢培)가 술을 보내 준 것에 감사하여 = 106
    • 기해(己亥 : 1719)년 십월 칠일 저녁에 몽필(夢弼)이 나의 무이정사(武夷精舍)에 들렸다. 이 날 밤에는 바람에 이슬이 처량하고 희미한 달이 서쪽에 있었다. 그리하여「무이도가(武夷棹歌)」한 편을 낭송하였다.『석주집(石洲集)』에 있는 운자(韻字)를 가져와 함께 읊었다. = 107
    • 호접헌(蝴蝶軒) = 107
    • 권이(卷二)『명암집(明庵集)』
    • 시(詩)
    • 조태로(曺台老)에게 주는 시 = 109
    • 와룡암(臥龍菴)에 쓴 시 = 110
    • 우후(虞侯) 손수대(孫壽大)가 지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시를 지어 그에게 준 시 = 110
    • 제목 없이 쓴 시 = 111
    • 한서관(寒棲館)에서 우연히 읊다 = 111
    • 제목 없이 쓴 시 = 111
    • 기러기 소리를 듣고 = 112
    • 살천(薩川) 바위 위에 앉아 = 112
    • 되는 대로 읊어 = 112
    • 돌학 = 113
    • 을축(乙丑 : 1745) 사월 이십칠 일 보슬비가 왔는데, 종일토록 상인(相寅)하고 단둘이 앉아서『주자어류(朱子語類)』를 읽었다. 그 때 계수나무 꽃은 흐드러지게 피었고, 해당화도 막 피어났다. 그 사이에 돌 학이 마주 보고 서 있을 따름이었는데, 마음이 매우 즐거워 이 절구 한 수를 읊는다 = 113
    • 우연히 읊은 시 = 114
    • 책상 위에『매월당집(梅月堂集)』을 펼쳐놓고 있으려니, 산 속에 부는 바람이 비를 몰아쳐 책을 적시기에 시를 읊는다 = 114
    • 봉약(封若 : 이름은 李圭)에게 준 시 = 115
    • 무이동(武夷洞)에서 놀며 = 115
    • 관동팔경(關東八景) - 여덟 수 - = 116
    • 염창진(염滄津) 나루 = 119
    • 의령(宜寧) 정암(鼎巖) = 120
    • 무이산(武夷山)에서 이계보(李季甫 : 이름은 光浩)와 작별하며 = 120
    • 유오(柳塢) 한동뢰(韓東賚)의 죽음을 슬퍼하여 = 121
    • 무신(戊申 : 1728)년 섣달 그믐날 밤에 방어산(防禦山) 백운암(白雲巖)에서 여삼(汝三)과 함께 수세(守歲)하면서 = 121
    • 쌍계석문(雙磎石門) = 122
    • 이익천(李翼天 : 이름은 鵬壽)에게 준 시 = 122
    • 고을원 구(具) 사또(이름은 宅揆)에게 편지를 올려 훈장(訓長)을 교체해 줄 것을 요청하고, 그 뒤에 절구 한 수를 붙였다. = 122
    • 「장량전(張良傳)」을 읽고 = 123
    • 「장의전(張儀傳)」을 읽고 = 123
    • 홍학사(洪學士)가 회계산(會稽山)을 그리고 거기에 적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세 수 - = 124
    • 회계(會稽) 출신의 처사(處士) 소일혼(蘇一渾 : 이름은 凝天)이 준 시의 운자(韻字)에 화답(和答)하여 - 두 수 - = 125
    • 지리산(智異山) = 125
    • 중산촌(中山村) - 두 수 - = 126
    • 불장암(佛葬菴)에서 법령(法領) 스님이 지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126
    • 호군(護軍) 조하정(曺夏鼎)이 수직(壽職)을 받는 경사의 잔치에서 낸 운자(韻字)에 맞추어 = 127
    • 진사(進士) 조하장(曺夏長)에게 준 시 = 127
    • 고을원 박태삼(朴泰三)과 작별하면서 준 시 = 128
    • 해오라기를 보고 우연히 지은 시 = 128
    • 수승대(搜勝臺)에 이름을 쓰고서 = 128
    • 심진동(尋眞洞) = 129
    • 황익재(黃翼哉)가 지은「배 속에서」라는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서 = 129
    • 묵방사(默房寺)의 취헌화상(就軒和尙)에게 부쳐 보낸 시 = 129
    • 회포(懷抱)를 적어 = 130
    • 꿈 내용을 기록하여 = 130
    • 고을원 윤기경(尹基慶)의 죽음을 애도하여 = 130
    • 제목 없이 = 131
    • 가야산(伽倻山) = 131
    • 홍류동(紅流洞) - 두 수 - = 132
    • 제월담(霽月潭) = 133
    • 무릉교(武陵橋)에 들어서며 = 133
    • 학사대(學士臺) = 134
    • 광풍뢰(光風瀨) = 134
    • 가야산(伽倻山) 제일 높은 봉우리에 올라서 = 134
    • 낙화암(落花巖)에서 나오며 = 135
    • 분옥폭(噴玉瀑) = 135
    • 소리암(蘇利庵)에 올라 = 135
    • 취적봉(吹笛峰) = 136
    • 노량(露梁) 충민사(忠愍祠) = 136
    • 창선진(昌善津) = 137
    • 월출산(月出山) = 137
    • 용암암(龍巖庵) = 137
    • 송광사(松廣寺) = 138
    • 구정암(九精菴) = 138
    • 백운산(白雲山)에서 자며 = 139
    • 개흥사(開興寺)에서 옥란(玉蘭) 스님에게 준 시 = 139
    • 그윽하게 살아가면서 아무렇게나 읊다 = 140
    • 이원점(李遠漸 : 이름은 廣運)의 초당에 들러서 = 140
    • 되는대로 읊어서 = 140
    • 옛날 관동(關東)지방에서 놀던 일을 그리워하며 = 141
    • 증조고(曾祖考) 용강(龍岡)선생께서 지은 시의 운자에 삼가 맞추어 = 141
    • 또「매화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142
    • 또「대부송(大夫松)」운자(韻字)에 맞추어 = 143
    • 또「이참판(李參判)이 강릉(江陵)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한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143
    • 삼연(三淵)의「산재(山齋)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144
    • 죽지사(竹枝詞) = 144
    • 삼종형(三從兄) 노정헌(露頂軒)공이 지은 시의 운자에 삼가 맞추어 = 144
    • 다시 마전비(痲田碑)를 지나며 = 145
    • 함벽루(涵碧樓) = 146
    • 이도암(李陶庵)에게 올린 시 - 두 수 - = 146
    • 휘종(徽宗) 흠종(欽宗) 두 황제의 무덤을 보고서 읊었다 = 147
    • 퇴계선생(退溪先生)의「도산(陶山)의 매화원가 주고 받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두 수 - = 147
    • 반관재(反觀齋) 조중효(趙仲孝 : 이름은 希閔)에게 주는 시 = 148
    • 총관(摠管) 한범석(韓範錫)의 죽음을 애도하여 = 148
    • 사여(史汝)에게 붙이는 시 = 149
    • 이여앙(李汝앙)에게 주는 시 = 149
    • 우연히 읊다 = 150
    • 경상감사(慶尙監司) 김상로(金尙魯)에게 드리는 시 = 150
    • 늙은 친구 무암(無庵)이 내가 오로지 산수(山水)만을 찾는 것을 책망한 것에 장난삼아 답하여 = 150
    • 느낌이 있어 = 151
    • 조중효(趙仲孝)가 보낸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붙인다 = 151
    • 회포가 있어 = 152
    • 새벽에 일어나 아무렇게나 읊조려서 = 152
    • 둔철산(芚鐵山) = 152
    • 권관지(權貫之 : 이름은 一亨)의 죽음을 슬퍼하여 = 153
    • 신흥암(神興庵) = 153
    • 밤에 군사훈련 하는 것을 보고서 = 154
    • 대원사(大源寺) 계곡 가의 반석에 쓴 시 = 154
    • 탈원(脫遠) 스님이 지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155
    • 한가하게 지내면서 아무렇게나 읊어 = 155
    • 불일암(佛日庵) = 156
    • 고령현감(高靈縣監) 남궁억(南宮億)과 작별하면서 준 시 = 156
    • 꿈에 수양산(首陽山)에 올랐다가 백이(伯夷) 숙제(叔齊)에게 절을 하였는데, 깨고 나서 느낌이 있어 절구(絶句) 한 수를 적는다 = 156
    • 수로왕릉(首露王陵) = 157
    • 허후릉(許后陵) = 157
    • 연자루(燕子樓) = 157
    • 칠점산(七點山) = 158
    • 여씨(呂氏) 집안으로 시집갔던 누님의 묘소를 지나며 = 158
    • 느낀 생각이 있어 읊은 시 = 158
    • 비슬산(琵瑟山) 유가사(楡加寺) = 159
    • 단성(丹城) 용흥사(龍興寺) = 159
    • 남강(南江)을 지나다가 느낌이 있어 = 159
    • 경자(庚子 1720년)년 늦 봄에 순경(舜卿)과 창거(昶擧)가 흥(興)을 타고서 이르렀기에 함께 연구(聯句)를 지어 = 160
    • 생질(甥姪) 강세은(姜世殷)이 서울로 갈 때 작별하며 준 시 = 160
    • 곽인경(郭仁卿 : 이름은 榮之), 권관지(權貫之 : 이름은 一亨)와 더불어 가곡(嘉谷)의 정사중(鄭士中)의 집에서 잤다 = 160
    • 권삼(卷三)『명암집(明庵集)』
    • 백두산(白頭山)을 바라보며 = 161
    • 산 위 정자에서 지나가는 중을 만나 = 161
    • 돌 학(鶴)을 마주하여 우연히 읊은 시 = 162
    • 퇴계선생(退溪先生)의「밤에 일어나 달을 보며」라는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162
    • 「태극도(太極圖)」 = 162
    • 무이정사(武夷精舍) = 163
    • 정미(丁未 : 1727)년 정월에 관동(關東)지방으로 여행을 떠났는데, 심원사(深源寺)에서 자며 이봉약(李封若 : 이름은 圭)과 작별하며 = 163
    • 이인수(李仁수 : 이름은 聖壽)가 지은「작별하며 주는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164
    • 광려산(匡廬山)의 만흥사(萬興寺))에 들어 = 164
    • 수도암(修道庵) = 164
    • 취서산(鷲棲山)의 영취사(靈鷲寺)에 들어가서 = 165
    • 밀양(密陽) 가는 도중에 명월산(明月山) 중을 만나 영은사(靈隱寺)를 물어 보고 = 165
    • 자씨산부암(慈氏山父庵)에서 자면서 = 165
    • 임경대(臨鏡臺)에서 최고운(崔孤雲)이 지은 시의 운자(韻字)에 맞추어 = 166
    • 원적산(圓寂山)에 들어가 = 166
    • 적조암(寂照菴)에서 추연(秋演) 스님에게 준 시 = 166
    • 월성(月城) = 167
    • 계림(鷄林) = 167
    • 첨성대(瞻星臺) = 168
    • 선당굴(禪堂窟) = 168
    • 관음굴(觀音窟) = 169
    • 함월산(含月山) 기림사(祇林寺) = 169
    • 운제산(雲梯山) 오어사(吾魚寺) = 169
    • 연일(延日) 가는 길에 = 170
    • 흥해(興海)의 천곡사(泉谷寺)에서 고향을 생각하며 = 170
    • 천곡사(泉谷寺)의 우물 - 두 수 - = 171
    • 청하(淸河) 내연산(內延山) 위에 있는 용추(龍湫) = 171
    • 동해(東海) = 172
    • 평해(平海) 율현촌(栗峴村) = 172
    • 망양정(望洋亭) - 두 수 - = 173
    • 울진(蔚珍) 가는 길에 비를 만나 = 173
    • 눈을 만나 태백산(太白山)에서 자면서 = 174
    • 천축산(天竺山) 불영사(佛影寺)에서 거저 흥이 나서 = 174
    • 태백산(太白山)에서 거저 흥이 나서 = 175
    • 기성(箕城) 가는 길 = 175
    • 바다를 보며 = 176
    • 진주(眞珠) 가는 길에 = 176
    • 죽서루(竹西樓)에서 율곡선생(栗谷先生)이 지은 시의 운자(韻字)에 따라서 = 177
    • 두타산(頭陀山) = 177
    • 임영(臨瀛) 가는 길에 느낌이 있어 우연히 읊어 = 178
    • 한산사(寒山寺) = 178
    • 경포대(鏡浦臺) = 179
    • 월정사(月精寺) = 179
    • 오대산 적멸보궁(寂滅寶宮) = 180
    • 현산(峴山)을 지나며 = 181
    • 양양(襄陽) 가는 길에 한식을 지나며 = 181
    • 오봉산(五峰山) 낙가사(洛迦寺) = 181
    • 낙산사(洛山寺) 빈일료(賓日寮)에서 숙종(肅宗) 임금님께서 남긴 현판(懸板) 위의 운자(韻字)를 삼가 이어서 = 182
    • 낙산사(洛山寺) 이화정(梨花亭) = 183
    • 이화정(梨花亭)에서 사옥(思玉) 스님에게 준 시 = 183
    • 설악산(雪岳山) - 두 수 - = 183
    • 신흥사(神興寺)에서 아무렇게나 읊어 = 184
    • 설악산(雪岳山) 눈 오는 밤에 우연히 읊다 = 184
    • 토앙성폭포(吐仰城瀑布) = 185
    • 설악산(雪岳山) 오세암(五歲菴)에서 자심(自諶)스님에게 준 시 = 185
    • 설악산(雪岳山) = 186
    • 만경루(萬景樓) = 186
    • 운근정(雲根亭)에서 백연(百淵)의 시에 차운(次韻)하여 = 187
    • 진주(眞珠 : 三陟) 운흥사(雲興寺) = 187
    • 금강산 조제암(鳥啼菴) = 188
    • 고성(高城) 삼일포(三日浦) = 188
    • 사선정(四仙亭) = 188
    • 발연사(鉢淵寺) = 189
    • 통천(通川) 총석대(叢石臺) = 189
    • 환선정(喚仙亭) = 190
    • 흡곡(흡谷) 시중대(侍中臺) - 두 수 - = 191
    • 폭포암(瀑布菴) = 192
    • 산영루(山暎樓) = 192
    • 송림암(松林庵) = 193
    • 마하연(摩하衍) - 두 수 - = 193
    • 개골산(皆骨山) = 194
    • 안심암(安心庵) = 194
    • 정심암(淨心庵) = 195
    • 진불암(眞佛菴) = 195
    • 상백운암(上白雲菴) = 195
    • 영원동(靈源洞) = 196
    • 표훈사(表訓寺)에서 회포가 있어 우연히 읊다 = 196
    • 장안사(長安寺) 산영루(山映樓)에서 청집(淸什)스님의 시에 차운(次韻)하여 = 197
    • 수미동(須彌洞)에서 성일(性一)스님에게 준 시 - 두 수 - = 197
    • 망군대(望軍臺) = 198
    • 내수점(內水岾)을 넘어서 = 198
    • 영랑대(永郞臺) = 198
    • 남한산성(南漢山城) = 199
    • 종루(鍾樓)를 지나며 = 199
    • 속리산(俗離山) 사리각(舍利閣)에서 되는대로 읊어 = 200
    • 회포를 읊어 = 200
    • 옛날 일에 느껴 = 201
    • 백마강(白馬江) = 201
    • 아들에게 인(仁)을 구할 것을 가르치며 = 201
    • 허학응(許學膺)에게 부쳐 주는 시 = 202
    • 허군칙(許君則)에게 부치는 시 = 202
    • 진사(進士) 임훈(林薰)의 시에 차운하여 = 203
    • 돌아간 형님을 그리워하여 = 203
    • 황류(黃柳) 나루를 지나며 = 204
    • 오사호(吳思湖)가 지은「정동계(鄭桐溪)가 제주도(濟州島)로 귀양가는 것을 전송한 시」에 차운(次韻)하여 = 204
    • 창해(滄海) 허격(許格)이 지은「식암(息庵) 김석주(金錫胄)가 연경(燕京 : 北京)에 사신가는 것을 전송하는 시」에 차운(次韻)하여 = 205
    • 의곡사(義谷寺)에서 놀면서 = 205
    • 하택점(河澤漸)의 초당(草堂)에서 꽃을 읊어 = 206
    • 하성휴(河聖休)의 집 벽 위에 쓰인 시에 차운(次韻)하여 = 206
    • 생질 강지은(姜趾殷)과 더불어 의곡사(義谷寺)에서 놀면서 = 206
    •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이 지은「병산(屛山)」시에 차운(次韻)하여 = 207
    • 삼연(三淵)이 지은「장안사(長安寺)」시에 차운(次韻)하여 = 207
    • 의곡사(義谷寺)에서 묘향산(妙香山)의 성일(聖一) 스님에게 준 시 - 세 수 - = 208
    • 우연히 읊어 = 208
    • 관수루(觀水樓)에서 신황고(愼黃皐)와 작별하며 준 시 = 209
    • 자신을 경계하여 = 209
    • 『주역(周易)』을 보면서 = 210
    • 백마강(白馬江) = 210
    • 우연히 읊어 - 세 수 - = 210
    • 그윽한 회포 - 두 수 - = 211
    • 일봉(一峯) 조현기(趙顯期)가 우리 아버지와 작별하면서 준 시에 세월이 한참 지난 뒤에 차운(次韻)하여 = 212
    • 도흥(道興)의 강가 정자 = 212
    • 선유동(仙遊洞)에서 유상곡수(流觴曲水)하며 = 212
    • 삼장사(三莊寺) = 213
    • 장항동(獐項洞) = 213
    • 삼장사(三莊寺)에서 운(運)스님에게 준 시 = 213
    • 나의 스승 노정옹(露頂翁)께서 오셨는데, 얼굴과 머리가 노쇠하여 허옇게 되어 내가 책을 끼고 다니며 배우던 때의 모습은 이미 아니었다. 느낌이 있어 이 시를 읊었다 = 214
    • 회포를 읊어 - 두 수 - = 214
    • 등불 아래서 느껴 읊다 = 214
    • 박미숙(朴美叔)과 정중운(鄭仲雲)에게 준 시 = 215
    • 백운암(白雲庵) = 215
    • 그윽한 거처 = 215
    • 세심정(洗心亭) = 216
    • 『주역(周易)』을 읽고 = 216
    • 진잠(鎭岑)으로 돌아가는 문서(文瑞)와 작별하면서 준 시 = 216
    • 유선요(遊仙謠)를 본떠 = 217
    • 여러 아들들에게 보여준다. = 217
    • 비 온 뒤에 혼자 앉아서 = 217
    • 말을 조심해야 = 218
    • 불일암(佛日庵) = 218
    • 마음에 맞아 = 218
    • 꾀꼬리를 읊어 꿈속에서 지었다 = 218
    • 도심(道心) = 219
    • 뜰의 매화 = 219
    • 떨어진 도포(道袍) = 219
    • 대보단(大報壇) = 220
    • 매월당(梅月堂)이 지은「평해(平海) 월송정(越松亭)」시에 차운(次韻)하여 = 220
    • 봄날 낮에 = 220
    • 이기(理氣)를 두고 읊어 = 221
    • 두견새 소리를 듣고 = 221
    • 선암사(仙巖寺) 천불전(千佛殿)에서 등원(等遠) 스님에게 준 시 = 221
    • 금산(錦山) = 221
    • 도솔암(도率庵) - 두 수 - = 222
    • 보리암(菩提庵) = 223
    • 구정봉(九井峯) = 223
    • 도솔암(도率庵)에서 맹종(孟宗) 스님에게 준 시 - 두 수 - = 224
    • 벽해암(碧海庵) = 224
    • 천자암(天子庵)에 있는 우두전단향(牛頭전檀香)나무 = 225
    • 천관사(天冠寺) = 225
    • 백운산(白雲山) 황룡사(黃龍寺)에 들어가 = 226
    • 선암사(仙巖寺)에서 관운(冠雲)스님에게 준 시 = 226
    • 옥천사(玉泉寺)에서 탈원대사(脫遠大師)에게 준 시 = 226
    • 그윽하게 살아가면서 = 227
    • 월아산(月牙山) 토굴에서 월명(月明) 수좌(首座)에게 준 시 = 227
    • 여항산(餘航山) 의상대(義相臺) - 열 한 수 - = 227
    • 도흥강(道興江) 가에서 = 232
    • 어부 차만(車滿)이라는 사람이 살던 도흥강(道興江)가의 노어대(노魚臺)를 사들이고서 = 232
    • 청송사(靑松寺) = 233
    • 다시 도흥강(道興江)에서 놀면서 봉약(封若)에게 준 시 = 233
    • 우연히 읊다. = 234
    • 옛날 유람하던 일을 생각하여 = 234
    • 그윽하게 살아가면서 우연히 읊어 = 235
    • 새벽에 섬진강(贍津江)을 건너며 = 235
    • 다시 백운산(白雲山)에 들어가 회포가 있어 = 235
    • 환선정(喚仙亭) = 236
    • 무이산(武夷山)의 괴석 = 236
    • 무이정사(武夷精舍)에서 꽃과 돌을 섞어 읊다 = 237
    • 이자대(李子大)의 시에 차운(次韻)하여 = 237
    • 홍석오(洪錫五) 임상언(林祥彦) 두 어진 벗에게 준 시 = 237
    • 친구 허학응(許學膺) 허군칙(許君則)에게 준 시 = 238
    • 이희선(李希善)과 작별하면서 준 시 = 238
    • 여항산(艅航山)에서 이여삼(李汝三)과 함께 놀며 = 239
    • 돌아가신 아버지께서 일찍이 한 쌍의 갈매기를 길렀는데, 춤추는 놀이를 가르쳤다. 꽃 피는 아침이나 달 뜨는 저녁이면 부채를 두드리면서 춤추기를 권하였는데, 마주 서서 날개 죽지를 펴고서 너울너울 춤을 추었다. 내가 팔구 세 때 그것을 보았다. 이제 와서는 늙어 머리가 허옇게 되었다. 세월이 지나 옛날 일을 생각해 보니, 뚜렷이 내 눈앞에 있는 듯하다. 구슬퍼 눈물 흘리며 이 시를 읊는다. = 239
    • 정사(精舍)의 뒷 산을 무이산(武夷山)이라고 하는데, 산에는 구곡수(九曲水)가 있고, 그 동쪽은 수양산(首陽山)인데, 모두『진양지(晋陽誌)』에 실려 있다. = 240
    • 봉약(封若 : 이름은 圭)을 생각하며 = 240
    • 허군칙(許君則)의 죽음을 애도하여 = 240
    • 회암선생(晦庵先生)의「무이구곡도가(武夷九曲櫂歌)」시를 차운(次韻)하여 - 열 수 - = 241
    • 무이정사(武夷精舍)에서 우연히 읊어 = 243
    • 편지처럼 해서 박상수(朴尙수)에게 준 시 = 244
    • 유경보(柳經甫)가 도자기 학을 만들려고 하기에 = 244
    • 최윤숙(崔潤淑)에게 학문을 권면(勸勉)하면서 준 시 = 245
    • 신유(辛酉 : 1741)년 오월 이십사일 아들 셋과 손잡고 백운동(白雲洞)의 명옹대(明翁臺)에 올라 = 245
    • 어떤 사람이 내가 노어대(노魚臺)를 산 것을 비판하는 것에 사과하여 = 245
    • 임경업(林慶業)장군전을 읽고서 - 세 수 - = 246
    • 백운동(白雲洞) = 247
    • 백운동(白雲洞) 명옹대(明翁臺) = 247
    • 되는대로 읊어 = 248
    • 느낌이 있어 = 248
    • 무이정사(武夷精舍)에서 자다가 한밤중에 일어나 홀로 앉아 있노라니, 만 가지 소리가 고요하고 산 속의 달은 창에 가득하였다. 옛날 놀던 일에 느껴 이 시를 읊었다 = 248
    • 『기아(箕雅)』를 보니, 용재(容齋) 이정승(李政丞)이 우리 방조(傍祖) 허암(虛庵)의 서거를 애도하는 시가 있었는데, 그 시는 이러하였다. "허암거사(虛庵居士)는 참된 것 찾아 떠났으니, 근심스런 세상일 날로 새로워지는 것 보지 않겠네. 상수(湘水)에 혼령이 있다면 응당 함께 조상(弔喪)하리라. 인간 세상에선 몸 감출 곳이 없었기에...." 세월이 지났지만 감격을 견딜 수가 없어 그 시의 운자(韻字)에 따라 시를 짓는다. = 249
    • 무이정사(武夷精舍)에서 아무렇게나 읊어 = 249
    • 괴석 = 250
    • 무이정사(武夷精舍)에서 자며 - 세 수 - = 250
    • 단속사(斷俗寺) 정당매(政堂梅) = 251
    • 회포를 붙여 = 251
    • 한천(寒泉) 이선생(李先生)에게 올리는 시 = 252
    • 그윽하게 살아가면서 즉흥적으로 읊어 - 두 수 - = 252
    • 설악산(雪嶽山) 계조암(繼祖庵)을 생각하며 = 253
    • 임술(壬戌 : 1742)년 삼월 십일에 무이구곡(武夷九曲)에 이름을 붙여 각 구비의 돌에다 새기고서 = 253
    • 환아정(換鵝亭) = 254
    • 여제만(呂濟萬)과 작별하면서 준 시 = 255
    • 대원동(大源洞) 골짜기에서 나오며 = 255
    • 곽인경(郭仁卿)의 시에 화답(和答)하여 준 시 = 255
    • 임술(壬戌 : 1742)년 칠월 열엿세날 손과 더불어 남강(南江) 적벽(赤壁) 아래서 배를 띄우고 놀며 = 256
    • 임술년 팔월 십사일 바위 위에 명옹대(明翁臺)라는 세 글자를 새겼다 = 256
    • 『남명집(南冥集)』가운데 하곡(荷谷) 허봉(許봉)의 소미성(少微星)에 관한 이야기는 백곡(栢谷) 진극경(陳克敬)이 기록한 것에서 나왔다. 내가 하담(荷潭) 김시양(金時讓)의『하담파적록』을 보았더니, 거기에 기록되어 있기를 "이 이야기는 정말 맹랑하다. 허봉이 과거에 합격한 것은 남명(南冥)이 이미 세상을 떠난 지 삼 년이 지났을 때이다. 남명이 세상을 떠난 해에 중국(中國)에 들어가서 '소미성이 빛이 없다'는 말을 들었다는 이야기가 있을 수 있겠는가?"라고 했다. 나도 본래 그 사실을 의심하고 있었는데 물어 볼 때가 없었다. 되는대로 절구(絶句)한 수를 읊는다. = 257
    • 명옹대(明翁臺) = 258
    • 구룡산(九龍山) 고암정사(高암精舍)에서 자면서 조룡여(曺龍如)에게 준 시 = 258
    • 만능(萬能)에게 준다 = 258
    • 계해(癸亥 : 1743)년 섣달 그믐밤에 - 두 수 - = 259
    • 우연히 읊어 = 260
    • 어떤 사람이 섣달 그믐밤에 읊은 시에 차운(次韻)하여 = 260
    • 고을원 이공(李公)에게 감사하여 드린 시 = 260
    • 계묘(癸卯 : 1723)년 삼월 이십팔일에 사무옹(四無翁)과 함께 가곡재(嘉谷齋)에서 시를 주고받으며 = 261
    • 조태로(曺台老)에게 준 시 = 261
    • 계해(癸亥 : 1743)년 섣달 그믐날 우레가 치기에 = 261
    • 회포를 적어 = 262
    • 종열(宗悅)스님에게 버선을 선물하며 준 시 = 262
    • 우연히 읊어 = 263
    • 통영(統營) 제승루(制勝樓)를 두고 지은 시 = 263
    • 무이산(武夷山) 그윽한 거처 - 다 섯 수 - = 263
    • 무이정사(武夷精舍) 벽에다 쓴 시 = 265
    • 권사(卷四)『명암집(明庵集)』
    • 서(書)
    • 이도암(李陶庵)에게 주는 서신 = 267
    • 감사(監司) 김공에게 올리는 서신 = 272
    • 고을원 김공(金公)에게 올리는 서신 = 281
    • 김명숙(金明叔)에게 주는 서신 = 284
    • 신준(申埈)에게 준 서신 = 287
    • 조사여(趙史汝)에게 주는 서신 = 289
    • 조청지(趙淸之)에게 답하는 서신 = 291
    • 조태로(曺台老)에게 답하는 서신 = 292
    • 하회일(河會一)에게 주는 서신 = 294
    • 총관(摠管) 한범석(韓範錫)에게 주는 서신 = 297
    • 하여천(河汝天)에게 주는 서신 = 298
    • 생질 강지은(姜趾殷)에게 준 서신 = 299
    • 집안 조카 중여(仲與)에게 준 서신 = 301
    • 곽인경(郭仁卿)에게 답하는 서신 = 303
    • 허군칙(許君則)에게 주는 서신 = 305
    • 박상수(朴尙수)에게 답하는 서신 = 307
    • 김대집(金大集)에게 답하는 서신 = 308
    • 어떤 사람의 물음에 답하는 서신 = 309
    • 기(記)
    • 명암기(明庵記) = 311
    • 안곡정사기(安谷精舍記) = 312
    • 수월루기(水月樓記) = 316
    • 촉석루중수기(矗石樓重修記) = 319
    • 용두대기(龍頭臺記) = 322
    • 의암비기(義巖碑記) = 325
    • 의상대중수기(義相臺重修記) = 327
    • 발(跋)
    • 엄자릉(嚴子陵)의 유상(遺像) 뒤에 쓴 글 = 331
    • 제갈무후(諸葛武候)의 유상(遺像) 뒤에 쓴 글 = 334
    • 삼가 회암주선생(晦庵朱先生)의 유상(遺像) 뒤에 쓴 글 = 338
    • 이백(李白)이 달을 잡는 그림 뒤에 쓴다 = 343
    • 권오(卷五)『명암집(明庵集)』
    • 록(錄)
    • 관동록(關東錄) = 347
    • 청학동록(靑鶴洞錄) = 358
    • 두류록(頭流錄) = 365
    • 가야산록(伽倻山錄) = 376
    • 금산록(錦山錄) = 383
    • 월출산록(月出山錄) = 391
    • 전(傳)
    • 명암전(明庵傳) = 404
    • 무성공전(無聲公傳) = 405
    • 상량문(上樑文)
    • 와룡암(臥龍庵) 상량문(上樑文) = 410
    • 제문(祭文)
    • 형님 처사공(處士公) 영전(靈前)에 드리는 제문(祭文) = 418
    • 장인(丈人) 허공(許公)의 영전(靈前)에 드리는 제문 = 424
    • 이성겸(李聖謙) 영전(靈前)에 드리는 제문(祭文) = 427
    • 고을원 윤후(尹侯)의 작고(作故)를 애도하는 글 = 428
    • 권육(卷六)『명암집(明庵集)』
    • 부록(附錄) = 429
    • 가장(家狀) = 429
    • 행장(行狀) = 441
    • 묘갈명(墓碣銘) = 452
    • 묘지명(墓誌銘) = 458
    • 본도(本道 : 慶尙道) 감사(監司 : 趙엄)가 올린 장계(狀啓) = 463
    • 교지(敎旨) = 469
    • 찾아보기 = 4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