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가설공사의 설계도서 필요성에 관한 연구
저자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 건축.안전공학전공 , 2021. 8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경기도
기타서명
A Study on the Necessity of Design Drawings for Temporary Construction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형태사항
ix, 74 p. : 삽도 ; 26 cm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박종용
참고문헌 : p. 65-66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5987
소장기관
최근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인적자원의 손실은 물론 기업의 성장 둔화와 수익성 등 재무제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고, 사회 · 경제적으로도 문제가 되고 있다.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원인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가설 구조물공사의 부실한 설계 · 시공 및 유지관리는 사고 발생 시 중대 재해로 이어지는 가장 큰 원인으로 조사 · 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설구조물(비계, 동바리, 거푸집) 설계를 실시설계단계에서 계획하는 것이 설계의 누락 및 부실로 인한 안전사고 저감에 영향이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2021년 3월 현재 진행 중인 건축공사 현장의 계층별, 직종별 관리감독자 및 직종별 작업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고 Jamovi 통계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하여 실효성 있는 결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System비계, System동바리, 거푸집의 가설구조물 설계도서는 모든 조사 대상에서 안전한 작업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나 System비계 및 System동바리 설계도서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거나 저 감 시키는지는 검증하지는 못하였으며 거푸집의 설계도서의 유무는 안전사고 예방 및 저 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분석되었다. 그 원인을 살펴보면 System비계 및 System동바리 가설 기자재의 품질 수준이 기술개발 등으로 향상되었으며 조립, 설치의 방법 또 한 보편화 되어 난이도 없이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거푸집의 조립 설계도는 거푸집에 작용하는 하중이 비교적 복잡하여 반드시 구조계산에 의한 설계도서 유무가 거푸집의 무너짐 및 작업자 떨어짐 사고와 직접적인 영향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가설구조물의 설계도서 작성 및 시공관리는 현재 시행 중인 안전관리계획서에 포함하여 작성, 관리하는 가설구조물 설계를 실시설계에 포함하여 작성·관리하고 관리감독자와 작업책임자의 설계도서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쉽게 하면 “가설구조물 안전에 관한 평가·심사” 국토 안전관리원의 안전관리계획서 심사
자료의 활용도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며 시공 검측 및 유지관리의 기준 자료로 활용 함으로써 가설구조물에 의한 떨어짐 및 무너짐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afety accidents that occur at construction sites in recent years affect not only safety accidents of human resources, but also financial statements such as slowdown in corporate growth, and are becoming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There are various causes of safety ac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and poor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emporary structure construction are being investigated and analyzed as the biggest cause leading to serious disasters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lanning the design of temporary structures (scaffolding, moving bars, formwork) at the detailed design stage has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safety accidents due to omissions and insolvency of the design. A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workers by class, management supervisor by job category, and job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ite currently underway in March 2021,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istical program Jamovi, effective results could be presented. As a result, design drawings of temporary structures of system scaffolding, system ridges, and formwork are considered to be essential for safe work in all survey targets, but system scaffolding and system ridge design documents have not been verified to prevent or reduce safety acciden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sign document of the formwork was analyzed to have an effect on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safety accidents. Looking at the cause, it is judged that the quality level of the system scaffolding and the temporary equipment for the system has been improved through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method of assembly and installation is also universal, so that the work can be done without difficulty. This is relatively complicated,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esign document by structural calculation had a direct effect on the collapse of the formwork and the dropping of workers.
Therefore, the design drawings and construction management of temporary structures are prepared and managed by including the design of the temporary structures to be prepared and managed in the detailed design, including in the safety management plan currently in effect, and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o the design documents of the management supervisor and the work manager is provided. If it is easy, “Evaluation and review on the safety of temporary structures” Review the safety management plan by the National Land Safety Management Agency.
It is expecte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data will be improved, and by using it as a standard data for construction inspection and maintenance,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possible to reduce the accidents of falling and collapse due to the temporary structure.
key word : Temporary structure, system scaffold, system support, Formwork, Fall accident, Collapse accident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