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高句麗의 樂浪·帶方 故地 영역화 과정과 지배방식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5-169(45쪽)
KCI 피인용횟수
17
제공처
이 글은 고구려가 樂浪·帶方 故地를 지배하는 방식을 검토하여, 이 지역에 대한 지배가 단순히 일부 중국계 망명인이나 토착 유력자들과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진 특수한 지배가 아니라, 4~5세기 고구려의 지방지배의 틀 속에서 타 지역과 공유되는 하나의 지배 유형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2郡 지역의 郡縣民 상당수가 漢人으로서의 정체성이 분명하지 않거나 중원 왕조에 대한 귀속 의식이 불분명한 다수의 토착 원주민들로 구성되었던 지역이었다는 점, 고구려가 1세기부터 2郡 지역을 집요하게 공략하여 4세기 전반 이래로 그 전역을 확고하게 장악하여 지배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4세기 초반 고구려가 2郡 故地를 장악해 가는 과정과 고고학적인 양상을 고려할 때, 이 지역의 토착적 기반으로 인해 오랜 기간 일부 중국계 유력자에게 2군 고지의 지배를 상당 부분 위임해야 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고구려는 4세기 전반 2郡 故地 권역을 관할하는 거점성을 두는 가운데 군 지휘관적 성격이 강한 지방관을 파견하였고, 새로 2군 고지에 안치된 중국계 망명인이나 土着 漢人, 혹은 非漢系 토착 유력자로 이루어진 수장층을 통해 예하의 주민들을 관할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 수장층은 고구려로부터 일부 지역의 주민들에 대한 관할권을 부여받았으나, 정식으로 중앙에서 관직을 받아 지방관으로 활동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예하 주민집단들처럼 스스로 이끌고 온 세력을 기반으로 존립하였을 것이다.
427년 평양 천도라는 특수한 사정으로 인해 이 지역에 대한 지배는 4세기 후반 이후 직접 지배 형태로 전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구려가 그 이전까지 2郡 故地 권역에 거의 1세기 가까이 지배력을 점진적으로 확대해가는 과정에 있었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장기간 지속된 하나의 지배 유형이었을 가능성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by examining Goguryo"s ruling methods regarding the Nakrang and Daebang areas, I sought to raise the possibility that rule over this area was not a unique form of rule simply made possible through the relationships of Chinese refugees or native potentates, but rather a form of rule that was shared with other areas within the framework of 4th~5th century Goguryo"s district rulership. For this purpose, I developed my discussion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many of the people living in the area of the two gun (2郡) were mostly natives, neither sure of their identities as han (漢人) nor possessed of belongingness to the Kingdom; and the fact that Goguryo had targeted the two gun region with tenacity from the 1st century onwards and decisively taken over and dominated the entire area after the earlier part of the 4th century.
When we take into consideration both Goguryo"s domination process over the two old lands, or go to of the two gun (2郡故地) in the early 4th century, and the archaeological presentation,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native foundations of this area were cause for the deferment of domination over the two gun"s old lands to a few Chinese potentates. In the early 4th century Goguryo had foothold castles whose jurisdiction included the specific area of the two gun"s go to, dispatched local officials strongly reminiscent of military commanders, and ruled residents under the banner of a group of leaders formed of Chinese refugees, naturalized han, or non-han native potentates. This group of leaders were granted jurisdiction over residents in some areas of Goguryo, but they do not seem to have acted as local officials from the central state, and they probably existed on the basis of forces they themselves had led or brought, such as the residents under their banner.
Due to the unique circumstances of the change of the capital to Pyongyang in the year 427, domination over this area probably underwent transition to direct rule form after the latter part of the 4th century. But it is nevertheless difficult to say that Goguryo was in the process of incrementally expanding its power of rule over the two gun"s go to area for up to a full century, so the possibility that this was a form of rule sustained over a long term must be considered.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