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경주 출토 백제계 기와 제작기술의 도입과정 = 傳 흥륜사지 출토품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56(52쪽)
제공처
경주 지역에서는 일찍부터 공주나 부여 지역에서 발견되는 와당과 유사한 와당들이 수집되어 ‘百濟系瓦當’으로 개념화되어 주목을 받아 왔다. 하지만 백제계 기와 제작기술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전래되었는지 불명확한 점이 많았다. 그런 와중에 신라 최초의 사원인 興輪寺址로 비정되는 경주공고 일대에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추정할 수 있는 와당과 암키와, 수키와가 발견되었다. 이곳에서 출토된 고식 연화문와당은 도2와 같이 11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중 1A와 1B 형식 와당은 가장 빠른 단계에 제작된 와당으로 공주 대통사지 출토 와당과 문양과 제작기법이 같다. 2형식과 3형식, 7형식과 8형식도 비교적 빠른 단계의 創建期 와당이라 할 수 있지만 1A?1B형식과는 와범이 다르고 공인차나 공방차, 시기차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중 7?8형식의 경우 경주 육통리 와요지에서 출토된 와당과 동범품이나 동계품으로 생각되기 때문에 이 사원의 창건 과정에서 육통리에서 생산된 기와들이 부분적으로 공급된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경주지역에서 발견된 백제계 기와의 도입 과정은 경주 물천리 와요지에서 출토된 무와통제작법으로 제작된 평기와가 사용되는 단계, 월성해자에서 출토된 백제계 와당 문양에 원통접합후분할법(Ⅰ1기법)으로 접합된 와당이 만들어지는 단계, 경주공고 일대에서 수습된 1A?1B형식 와당처럼 백제계 와당 문양에 수키와가공접합법(Ⅱ2a기법)으로 제작되는 단계, 3?6형식 및 9~11형식처럼 수키와피복접합법(Ⅲ기법)으로 제작되는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경주공고 일대에서 출토된 1A?1B형식 와당은 함께 출토된, 언강을 별도로 접합한 유단식수키와와 통쪽와통을 이용한 암키와 등과 세트를 이루기 때문에 단순한 도구의 이동이 아니라 백제계 기와 제작기술을 가진 와공의 이동에 따른 기술의 전파로 생각된다. 이 기와들은 535년부터 흥륜사를 본격적으로 건립하였다는 문헌기록과 부합하며, 흥륜사의 창건와라 할 수 있기 때문에 ‘흥륜사식와당’으로 부를 수 있다. 소위 흥륜사식 와당은 신라의 불교 전래 과정에서 누락되었던 백제의 영향을 처음으로 실물로써 확인시켜 주며, 6세기 전반 남조-백제-신라의 기와 제작기술이나 불교의 전파과정을 해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Roof-end tiles collected from Gyeongju area are similar as those from Gongju or Buyeo, and they have been called, "Baekje-style roof-end tiles." However, there were many uncertainties around how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Baekje-style roof tile had been introduced. Against the backdrop, roof-end tiles, convex, and concave roofing tiles, well preserved as much as their concrete shapes can be assumed, were discovered in the area of Gyeongju Technical High School, a presumably former Heung-ryun Temple site. The ancient lotus-pattern roof-end tiles excavated here can be classified into 11 types as described in Chart 2. Among them, 1A and 1B type roof-end tiles were produced at the earliest stage, and their patterns and producing techniques are same as the ones from Daetong Temple site in Gongju. Types 2, 3, 7, and 8 are also roof-end tiles at relatively early stage. However, their molds are different from 1A and 1B types, and so are craftsman, workshop, and time. In case of Types 7 and 8, since they seem to be in the same category or style as those excavated from roof tile kiln site in Yuktong-ri in Gyeongju, it is assumed that part of the roof tiles used to build the temple were produced in and supplied from Yuktong-ri.
The introduction process of Baekje-style roof tiles discovered in Gyeongju area can be divided into 4 steps of using plain roof tile, which had been produced without any mold, excavated in roof tile kiln site inMulcheon-ri, Gyeongju, making roof-end tiles with Baekje-style pattern excavated from the moat aroundWol-Seong Castle by connecting cylinder and dividing it (Technique I1), using convex roofing tile manufacturing and joining technique with Baekje-style pattern just like Types 1A and 1B roof-end tiles (Technique II2a) collected in the area of Gyeongju Technical High School, and producing roof tiles with convex roofing tile sheathing technique (Technique III) like Types 3, 6, 9, 10, and 11.
As 1A and 1B type roof-end tiles from the area of Gyeongju Technical High School go hand in hand with tiered convex roofing tile and concave roofing tile using collected wooden piece mold, it seems to be an evidence of spread of the technique in accordance with roof tile craftsman with Baekje-style roof tile manufacturing technique, not a simple change of tool. The roof tiles fit the description that Heung-ryun Temple was built from 535, making them the foundation roof tiles of Heung-ryun Temple, so they can be called, "Heung-ryun Temple style roof-end tiles." The socalled Heung-ryun style roof-end tiles reveals the impact of Baekje on introduction of Buddhism in Silla, which have been left out so far, and is a significant evidence that can explain roof tile manufacturing technique of South China-Baekje-Silla in early 6th century and introduction process of Buddhism.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