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제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EU의 세관행정 선진화 프로그램의 도입과 시사점 = Customs Modernizing Plan of European Union : Its Implications and Proposals for Korea Customs Administration
저자
안재진 (한국관세무역개발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66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8-182(35쪽)
KCI 피인용횟수
1
제공처
소장기관
관세-무역환경은 FTA 체결 확대 등 무역의 글로벌화와 자유화, 이로 인한 교역규모의 증대, 실시간 물품인도 및 비즈니스와 상거래의 자동화, 테러 및 조직적 범죄 증가 등으로 인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결국 국제적인 교역규모 증가에 따른 무역원활화 조치를 확보하고 우범화물 또는 테러물품에 대한 적절한 통제를 행함으로써 국가간 교역물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세관의 역할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EU 차원에서도 테러 등으로부터 국민과 공급망을 보호하기 위한 물류보안 제도를 도입함과 동시에, IT를 이용하여 무역의 원활화를 촉진하기 위한 e-Customs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관세법을 개선 및 간소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조치를 도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5년 EU의 Directors General of the EU's Customs Administrations는 일련의 '공동임무 이행을 위한 성명서'(Joint Mission Statement)를 채택하였는데, 이의 기본 개념은 외부 국경의 관리와 전체적인 공급망보안(Supply Chain Security)을 강화함으로써 사회공동체를 보호하고 국제무역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EU에서는 이러한 전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정보과학의 발전을 고려하면서 관세관련 법을 간소화하고 합리화시키며, 둘째, 법의 적용을 개선하고 공동체 회원국간 협력을 증대하며, 셋째, 세관과 기업간 긴밀한 관계를 통해 무역업자들에 대한 서비스를 개선하며, 넷째, 세관 공무원 및 무역업자들에 대한 훈련을 개선하고, 다섯째, 글로벌 수준에서의 무역 및 세관절차의 간소화를 촉진하기 위해 국제적인 관세협력 활동을 개선하는 등의 조치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한편, 이러한 전략 달성은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목표이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 첫째, 외부 국경의 통합관리를 위한 세관의 역할(AEO), 세관 및 무역을 위한 서류 없는 환경(e-Customs), 공동체관세규약의 개정(Modernised Community Customs Code, MCC)을 포함하는 일련의 조치들을 도입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이 무역-관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EU 차원의 대응노력을 AEO, e-Customs 전략, 현대화관세법(MCC), Customs 2013 program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향후 이와 같은 제도를 추진함에 있어서의 우리나라 관세행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Until recently, the role of Customs consisted primarily of collecting Customs duties and indirect taxes at import. However, numerous developments, including increased e-commerce on one hand and growing threat of terrorist attacks and organised crime on the other, have altered the environment in which Customs operates
Today, EU customs are facing new challenges. They must ensure the smooth flow of trade whilst applying necessary controls and guaranteeing the protection of the health and safety of the EU's citizens. In other words, Customs is responsible both for protecting society and facilitating international trade through the management of external borders and by ensuring overall supply chain security.
On this ground, the Directors General of the EU's Customs administrations adopted four mission statements in July 2005: ensuring the safety and security of citizens: protecting the financial interests of the EU and its Member States: protecting the EU from unfair and illegal trade while supporting legitimate business activity(AEO): and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European Business through modern working methods supported by an easily accessible e-Customs environment.
Also, the European Council adopted the Customs 2013 programme for the period 2008-2013. The new programme aims at helping Member States to better combat customs fraud and to cut compliance costs for traders. It will support new security policy initiatives, the implementation of modernization of the customs code(MCC), and the introduction of a pan-European paperless customs (e-Customs) environment.
This paper reviews EU's the Customs modernizing program focused on the AEO program, e-Customs strategy, MCC, Customs 2013 program and presents its implications and appropriate proposals for Korea's Customs administrati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KCI후보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6-0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통상법률외국어명 : International Trade Law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6 | 0.26 | 0.508 | 0.1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