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지하수자원 확보를 위한 지하수보전구역 지정 연구: 외국의 지하수보전구역 사례 분석 = Designation of Groundwater Conservation Districts (GCDs) for Sustainable Groundwater Resources: A Review of Case Studi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주제어
KDC
500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60(60쪽)
제공처
This work is to consider some policy implications of improved regulations of the Groundwater Conservation Districts (GCDs) for sustainability of groundwater resources in Korea by analyzing cases of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first reviewed currently designated domestic GCDs and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It seems that GCDs are hardly effective in Korea as there have been only two cases of GCDs over the 20 years of nation`s groundwater regulatory law history. They are Moo-Ahn Subsidence GCD appointed in 2002, and Hap-Duck GCD in 2005. Besides, there have been few scientific studies done on assessment/delineation methods of areas/criteria associated with designation of GCDs. It is noted that Groundwater Law, which is at the highest level in the regulatory hierarchy, has a fatal drawback to be compatible with other laws to control the GCD areas. As GCDs designations become ineffective when other regulated areas such as Spring Water Conservation Districts (SWCDs) or Hot Spring Wellhead Protection Areas (SWPAs) are in place. This paper also reviewed GCDs in the U.S. The case studies included GCDs in Texas, Soil Source Aquifers (SSAs) in U.S. EPA Region 6, and Critical Aquifer Recharge Areas (CARAs) in Washington. Reviews communicate demands for improving GCDs of Korea in the following aspects: (1) Delineation of boundaries; (2) Infrastructure for designation and management; and (3) Methodologies. First, authority needs to categorize GCDs and/or indicate each category with area boundary and an independent name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namely, CARAs, SSA, etc. For sound infrastructure, human resources are needed to administer (un)designation and management processes. Also, public petitioning for new GCDs is needed. For methodologies regarding GCDs delineation, research should be done to develop assessment tools for prioritizing GCDs for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management. Comprehensive case studies are also required to formulate valid policy directions.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velop policies to support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GCDs for promoting sustainable groundwater uses in consideration of its susceptibility and vulnerability to contamination, which can be further complicated due to climate changes and/or disasters-hazard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