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전통의 창안과 여성의 국민화 = The Invention of Tradition and the Nationalization of Women in postcolonial Korea -Making Shin Saimdang an Image of "Good mother-Good wif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3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5-255(41쪽)
제공처
전통적 한국여성상을 대표하는 신사임당은 1970년대에 그 지배적인 의미를 완성한 근대역사의 구성물이다. 그는 민족, 식민주의, 국가와 여성이 맺는 관계가 문제되는 역사적 국면마다 등장하여 조명되고 재해석되었다. 애국계몽기 신사임당은 ‘규식여자’의 하나로 조명되었다가 총동원체제기 황민을 욕망한 지식인들에 의해 ‘군국의 어머니’로 형상화되었다. 이후 사라졌던 신사임당은 1960-1970년대 민족중흥의 근대화프로젝트 하에서 국가와 여성운동 모두에 의해 ‘한국적 현모양처’로 부활하였다. 박정희 정권의 국가영웅화 작업을 통해 태어난 신사임당이 고난과 역경에 찬 근대화를 수행하는 국가주의적 현모양처라면, 대한주부클럽에 의해 제정된 사임당상은 가정과 사회를 넘나들며 근대화를 이끌어가는 ‘초여인’이다. 1970년대의 신사임당 상(像)은 일제말기 천황체제가 생산한 여성주체상의 흔적을 갖고 있다. 박정희 정권은 전통의 수사학을 국가주의적 발전주의와 조화롭게 결합시키는 여성상을 제시했다면, 여성운동 세력은 그에 부응하여 ‘여성의 국민화’ 프로젝트를 추구했다.
더보기Shin Saimdang who represents an image of the traditional Korean woman, is a historical construct fabricated into its dominating meanings. Her image was shed light on and was reinterpreted in historical periods. Especially when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nationalism, colonialism or state was a problematic issue in Korean modern history. During the period of Enlightenment Shin Saimdang drew attention as one of the noble women (Yangban) who was knowledgable. Then during the war mobilization under the rule of Japan she was depicted as a ‘Mother of Military State.’ After disappearing with the emancipation under the modernization project for “a rehabilitation of the nation,” she was revived as a “Korean good mother-good wife” by both the Park Jung Hee regime and a group of women`s movements. While an image of Shin Saimdang formed through making her the symbol of the ideal Korean good mother-good wife by the Park regime, another image of her was formed by the Club of Korean Housewives who thought of her as the ‘super woman’ who lead the process of the modernization in both sides of home and work. An image of Shin Saimdang in the 1970s retains traces of the subject produced by the system of the Japanese Emperor. While Park`s regime suggested that the image connected the a traditional rhetoric and statistic developmentalism, a group of women`s movements sought to ‘make women the focus of the nation.’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