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체 중심핵의 가역적 손상이 공포의 습득과 표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Reversible Lesions of the Central Amygdaloid Nucleus on the Acquisition and Expression of Fear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작성언어
Korean
KDC
180.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0-82(13쪽)
제공처
중단사유
※ KISS의 원문 서비스 중단에 따라, 학술지명을 클릭하여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장기관
지난 수년간 여러 보고들은 편도체가 무조건공포 및 조건공포에 관여함을 시사해 왔는며 근래에 들어서는 이 구조물을 하부핵군으로 구분하여 기능적으로 특정화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편도체 중심핵은 이들 하부핵군들 중 여러 가지 공포반응을 지배하는 뇌간 영역들에 가장 광범위한 투사를 하기 때문에 공포의 표현에 관여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공포의 습득에서 편도체 중심핵의 역할에 대해서는 상반된 주장들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포나 불안을 측정하는 여러 동물모형중에서 상승된 경악반응 절차를 사용하여, 편도체 중심핵의 가역적 손상이 공포의 습득과 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공포학습에서 편도체 중심핵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포의 습득장면과 표현장면을 분리하여 연구하기 위해 국소마취제 리도카인이 사용되었다. 실험집단으로는 리도카인의 미세 주입 시기를 훈련 직전과 검사 직전으로 구분한, 리도카인-식염수 집단, 식염수-리도카인집단, 식염수-식염수집단, 리도카인-리도카인집단이 사용되었다. 실험결과, 훈련전이나 혹은 검사전에 리도카인을 투여받은 피험동물들은 경악반응의 상승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같은 결과를 상황의존적 인출실패 때문이라고 볼 수 없다. 왜냐하면 리도카인-리도카인 집단 역시 상승된 경악반응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편도체 중심핵이 공포의 표현뿐만아니라 공포의 습득에도 중대하게 관여함을 시사한다.
더보기For the past years there have been not a few reports that suggested the amygdala is responsible for conditioned fear as well as for unconditioned fear. In recent years the attempts have been made to divide the amygdala into several sub-structures and to specify each of them in view of its function. And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among the sub-divisions the central amygdala takes part in the expression of fear because it projects its fibers most expensively to the brainstem areas which control a variety of fear responses. But with respect to the acquisition of fear, the role of the central amygdala is of much controversy.
The present study is therefore to investigate what effects the reversible lesions of the central amygdaloid nucleus have on the acquisition and the expression of fear, using the fear-potentiated startle paradigm as an animal model for measuring fear or anxiety, and accordingly to identify the role of the centra amygdala in fear conditioning.
To separate conditioning trial from test trial, the local anesthetic lidocaine was used, and so the experiment consisted of four groups on the basis of lidocaine micro-injected right before the conditioning trial or just before the test trial: lidocaine-saline group, saline-lidocaine group, saline-saline group, and lidocaine-lidocaine group.
As a result, the animals which had been lidocaine-injected either before the conditioning trial or before the test trial, showed little increase in the startle responses. But the result cannot be due to the state dependent retrieval failure since the lidocaine-lidocaine group showed no fear-potentiated startle responses either. Thus, the result of the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the central amygdala is involved not only in the expression of fear but also in the acquisition of fear.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