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실감형 미디어아트에 나타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Surrealism in Realistic Media Art: focusing on d’strict’s work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주제어
KDC
6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09-320(1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연구는 실감형 미디어아트와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이 접목될 가능성을 분석하고 제안한다. 이를 위해 첫째,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한다. 특히 알렉산드리안과 수지개블릭의 데페이즈망 연구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둘째, 디스트릭트 작품사례를 수집 및 분석하여, 실감형 미디어아트에서 나타난 데페이즈망 표현 특성을 정리한다. 셋째, 초현실주의 표현기법이 실감형 미디어아트의 예술성 향상과 디자인 교육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제언한다. 본 연구는 디스트릭트의 6개 작품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선행연구와 사례분석의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6개의 디스트릭트 실감형 미디어아트 작품에서 '미지의 차원 열어 보이기'와 '생명 불어넣기'라는 데페이즈망 특징이 주로 활용되었다. 또한, 다양한 데페이즈망 표현 요소들은 시각적 충격을 통해 작품의 핵심 의미를 강조하며, 이로 인해 데페이즈망의 특징이 실감형 미디어 아트의 효과를 높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초현실주의 표현기법 중 하나인 데페이즈망 표현특성이 향후 미디어아트의 제작 및 디자인 교육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을 제안한다.
더보기This study analyzes and proposes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realistic media art and surrealistic expressive techniques. To do so, we first underst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urrealistic expressive techniques. In particular, we focus on Alexandrian and Suzy Gablik's work on depaysment. Secon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examples of d’strict's works, we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depaysment network representation in realistic media art. Third, we propose how sur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can be used to improve the artistry of realistic media art and design education. This study is limited to six works in the d’strict, and is conducted through the methods of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ysment network such as 'opening up the unknown dimension' and 'bringing life' were mainly utilized in the six realistic media artworks of the d’strict. In addition, various depaysment elements emphasize the core meaning of the artwork through visual impact, which confirms that depaysment features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realistic media art. Finally, this study proposes a theoretical basis for how the characteristics of depaysment, one of the surrealistic expression techniques,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art production and design education in the future.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