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종합편성채널 메인 뉴스의 차별화에 관한 연구 : 주제와 논조를 중심으로

      • 저자

        유수정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2016. 8. 졸업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0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Main News Programs : Focused on topics and tones

      • 형태사항

        x, 213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유의선
        참고문헌: p. 188-207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미디어 환경 변화로 뉴스 플랫폼이 다양해지고 종편 4개 채널이 도입되면서 방송 뉴스 시장의 경쟁이 증가하고 있다. 이윤을 추구하는 상업 미디어들은 시장 주도적 저널리즘(Market-driven journalism)의 압력 속에서 시청자 확보를 위한 차별화 요구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신생매체로서 종편의 메인뉴스가 기존의 지배적 사업자인 지상파 뉴스와 어떻게 차별화하며 경쟁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뉴스가 다른 채널과 차별화될 수 있는 부분을 다루는 주제와 이념적 태도인 논조로 파악하였다. 먼저 차별화 행위의 성과로서 뉴스의 주제 다양성과 구성의 이질성을 측정하여 주제가 채널 간 어떻게 차별화되어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 갈등적 이슈를 선정하여 각 채널들이 어떤 이념적 논조를 취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채널 간 논조 차별화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맥마너스(McManus, 1994)의 <상업적 뉴스 생산 모형>의 시장 경제적 요인을 종편 뉴스의 차별화 과정에 적용함과 동시에 이념, 규제적 요인 등이 차별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종편 메인 뉴스의 주제는 어떻게 구성되었으며, 차별화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1-1. 메인 뉴스의 주제 다양성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1-2. 주제 구성은 채널 간에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연구문제 2: 종편 메인뉴스는 특정 이슈에 대해 어떤 논조를 표방하였으며, 채널들 간 논조는 어떻게 차별화되었는가?
      연구문제 3. 종편 메인 뉴스의 차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3-1. 종편 메인 뉴스의 주제 차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3-2. 종편 메인 뉴스의 논조 차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분석기간 4년 동안 주제의 양적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종편은 지상파에 비해 다루는 주제가 다양하지 못했으며, 종편 채널 간 차이는 없었다. 종편 4개 채널이 전반적으로 지상파처럼 다양한 뉴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종편에 특화된 정치 주제 등을 집중적으로 보도함으로써 지상파와 차별화하고 있었다. 주제 구성에 있어서 종편은 다른 종편 채널과는 유사하게 주제를 구성하고 있는 반면 지상파와는 다른 구성을 나타내었다. 개국 당시 종편의 다양성 지수는 지상파와 비슷했다. 대통령 선거가 있었던 2012년 4분기 지상파 뉴스는 다양성 지수의 변화가 없었으나 종편이 선거 관련 뉴스에 집중하는 보도 전략을 취함에 따라 다양성 지수가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 때 종편은 정치 뉴스에 집중하는 차별화 전략을 실행하면서 시청률이 상승하였으며,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종편 뉴스는 지상파처럼 다양한 뉴스를 구성하기보다는 특정 주제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보도 관행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구성 순서나 주요 뉴스 포함 여부를 살펴봤을 때 종편은 지상파에 비해 상대적으로 북한 주제를 앞쪽에 많이 배치하며 차별화되고 있었다. 뉴스 가치로서 북한 뉴스가 갖는 중요성 외에도 북한 뉴스가 갖는 선정성과 자극성에 따른 시청률 성과는 시장주도적 저널리즘 환경에서 북한 뉴스 집중이라는 차별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또한, 종편 메인 뉴스는 인터뷰와 대담 형식을 주로 활용함으로써 지상파와 형식적으로도 차별화를 꾀하고 있었다. 종편 메인 뉴스는 정치와 사건사고 주제 등에 대해 외부 인사나 취재 기자가 앵커와 대담하는 형식을 사용하며 많은 시간을 할애함에 따라 주제 다양성이 지상파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채널별 논조 차별화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보도된 무상복지 관련 기사의 논조를 분석하였다. 무상복지 이슈에 대해 지상파 3개 채널과 MBN은 비교적 중립적인 논조를 나타내는 가운데 나머지 종편 3개 채널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며 차별화되고 있었다. 개국 당시, JTBC와 MBN은 중도적인 논조를 취한 반면, TV조선과 채널A는 보수 논조로 지상파와 차별화하며 진입하였다. 연도별 논조를 비교한 결과 JTBC는 무상복지 이슈에 대해 지속적으로 찬성하는 입장으로 논조를 변화시키며 지상파, 종편 채널들과 차별화하였다. 이는 JTBC의 시청자들이 상대적으로 젊고 진보 성향이 많기 때문으로 많은 채널들이 경쟁하는 중도 논조를 유지하기 보다는 진보 논조로 변화시키는 것이 유리한 선택이 된다. 또한 종편 채널들의 논조 차별화는 다양한 취재원의 활용을 통해서가 아니라 앵커나 기자의 목소리를 통해 이뤄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지상파에 비해 종편의 의견 개진이 두드러지는 것은 시장주도적 저널리즘의 결과로서 미디어 기업들이 앵커나 기자를 상품화하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주제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을 찾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출액과 방송길이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경영 상태를 나타내는 매출액이 큰 채널은 주제의 다양성이 높아지고 구성도 차별화되지만, 매출액이 적은 채널은 다양성이 떨어지고, 주제 구성이 유사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취재기자 인력이 주제 다양성과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아니었다. 한편 방송길이가 길어질수록 더 다양한 주제를 보도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방송길이는 주제 다양성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종편 뉴스가 지상파에 비해 한 아이템을 집중적으로 보도하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 나타난 결과로서, 종편이 단순히 많은 아이템을 보도하는 전략보다는 하나의 아이템을 집중적으로 보도하는 차별화 전략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논조 차별화 요인을 찾기 위해 시장 변인, 미디어 조직의 이념 변인, 규제 변인 등이 논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매출과 경쟁 뉴스 프로그램의 수가 증가할수록 전체 방송시장에서의 논조는 다양해지며 채널 간 차별화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 프로그램 수가 증가할 때는 한정된 시청자를 1/n로 나누는 것보다 다른 시청자 층을 공략하여 새로운 시청자를 확보하는 것이 유리한 전략이 되기 때문이다. 논조가 중립에서 멀리 떨어지는 정도는 매출액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이 높은 채널이 중립적인 보도를 해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지상파의 매출액이 종편에 비해 크다는 점으로 인해, 중립 보도가 요구되는 지상파의 매체 특성에 따른 결과인지 매출액 요인인지에 대해서는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종편 채널 내에서는 매출액이 낮은 채널들이 보수적인 논조를 나타냈는데 이는 중장년층의 시청자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전략을 실행하기 때문이다. 반면 매출액이 상대적으로 높은 채널은 종편의 안정적이고 고정적인 시청자가 아닌 새로운 시청층을 흡수하려는 차별화 전략을 실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념적인 요인으로서 모기업 출신 데스크가 많은 채널과 적은 채널의 논조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기업 출신 비율이 높은 채널이 보수적인 논조를 나타냈다. 다만, 모기업 비율이 낮은 채널에 TV조선이 포함되기 때문에 보수적인 논조에 대한 설명력이 떨어지는 한계가 지적되었다. 하지만, JTBC의 경우 모기업 출신 데스크의 비율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확인되면서 모기업 출신 데스크가 감소함으로써 보수적인 논조에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는 규제 요인으로서 불공정 보도에 대한 심의 제재가 논조의 편향을 막을 것이라고 가정하였지만,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공정성 규정과 관련하여 종편 채널의 보도 교양 프로그램에 내린 법정 제재 건수와 논조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규제 요인은 논조 차별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JTBC의 사례에서 기존의 뉴스 관행을 바꿀 수 있는 경영진의 등장이 논조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경영진의 보도 방향 등과 같은 요인들도 차별화 모형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종편 뉴스는 시장주도적 저널리즘에 기반하여 시청자 확보를 위해 특정 주제에 집중하거나 특정한 논조를 표출하는 방식으로 지상파와 차별화되고 있다. 현재의 종편 뉴스가 길이만 긴 것인지, 실제로 심층 보도를 하는지에 대해서는 별도의 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종편 뉴스가 다양한 뉴스를 다루기보다는 특정 주제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지상파와 경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양한 뉴스를 제공하기에 어려운 조건에서 종편이 지상파에 대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신문 저널리즘의 특성을 살려 특정 주제를 심도 깊게 다각도로 다루는 방식으로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다양성 실현이라는 정책 목표의 실현과 함께 보다 심층적이고 질 높은 뉴스에 대한 관심 또한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차별화 분석은 종편 뉴스가 어떻게 차별화해야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며, 앞으로 종편 뉴스의 경쟁 전략 및 정책 방향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더보기

      Due to the change of media environment and the introduction of four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competition on broadcasting news market is intensifying. Commercial media which pursue profits are now expected to provide differentiated contents in order to secure viewers under the pressure of market-driven journalism. In consideration of this situation,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main news programs of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 differentiate themselves to compete with the national terrestrial broadcasting which used to be existing market dominant enterprise.
      First, the study tried to measure topic diversity and compositional heterogeneity of news to understand how news topics were differentiated as the performance of channel’s product differentiation conduct. Second, the study selected social conflict issues to search which ideological tone was chosen by each channel and analyzed degree of differentiation between channels. Based on preceeded analysis, the study applied <A model of commercial news production> of McManus(1994) on comprehensive channels’ differentiation process to search the influence of not only market economical factor but also ideological and regulation factor on differentiation of topic and ton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are as below.
      RQ 1. How the main news topics of comprehensive channels were composed and how the differentiation appeared?
      1-1. How the main news’topic diversity appeared?
      1-2. How the differentiation of topics between channels were composed?
      RQ 2. Which tone the main news of comprehensive channel claimed on certain issue, and how tones are differentiated between channels?
      RQ 3. Which factor influenced on differentiation of main news of comprehensive channels?
      3-1. Which factor influenced on differentiation of topic of main news?
      3-2. Which factor influenced on differentiation of tone of main news?
      To examine how the topic of main news was differentiated, the study analyzed contents of topics that main news managed and measured quantitative diversity and compositional heterogeneity. Moreover, to examine how each channel is differentiated ideologically, considered the ideological stance of each channel on free welfare issue. And with the result value, analyzed determinants which influence the differentiation, as market economical factor, ideological factor and regulation factor that each channel possesses operate differently. This is because each channel’s report strategy facing competitive composition is different.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below.
      According to a four-year analysis on quantitative diversity of main news contents, comprehensive channel’s news did not show topic diversity compared to terrestrial broadcasting’s new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omprehensive channels. The differentiation of comprehensive channels was brought out from focused reports on specialized issues such as political issues. Concerning the topic of main news, comprehensive channels composed similar topics among them, however these topics were different from the topics selected by terrestrial broadcasting. At the time of set up, the diversity index of comprehensive channel was similar to the index of terrestrial broadcasting, however at the fourth quarter of 2012, when the presidential election was held, while the diversity index of terrestrial broadcasting has not changed, the index of comprehensive channel was plummeted as its report heavily focused on presidential election. At this time, comprehensive channels’ rating rose as it focused on political reports and based on this result, comprehensive channels still maintain this report routine to focus on specialized topic, instead of composing diverse topics as terrestrial broadcasting.
      About compositional ordering and headlines, comprehensive channels arranged North Korean issues at the front compared to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Not only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North Korean issues as news value, but the sensationalism that North Korean issues possess gave rise of rating, and in market-driven journalism this led the differentiation of comprehensive channels to focus on North Korean issues. Also, in form, the main news of comprehensive channels utilized mainly talk and interview to differentiate from terrestrial broadcasting’s news and this form which spends long time on discussion between anchor and reporter or panels on specific issues caused low diversity index.
      To examine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of tones between channels, this study analyzed reports on free welfare from 2012 to 2015. On free welfare issue, while three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one comprehensive channel, MBN took relatively neutral tone, the rest three comprehensive channels showed different ideological tones. At the time of set up, JTBC and MBN took neutral tone and TVChosun and ChannelA took conservative tone differentiating from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ring tones by year, JTBC changed tone from neutral to agreement on free welfare continuously, differentiating unlike other comprehensive channels and terrestrial broadcasting. This choice of JTBC is based on the progressive tendency of the channel’s viewer, so that for JTBC, it is more favorable to change to progressive tone than to maintain the neutral tone. And the differentiation of tones of comprehensive channels was derived from not by using diverse sources but by the voice of anchor or reporter. Putting forth of its opinion is more striking on comprehensive channels than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this is caused in consequence of market-driven journalism and supports the argument which anchors or reporters are instrumented by media enterprise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factor of determination confirmed that sales and the length of news program as significant factors. As sales increased quantitative diversity increased and channel composed topics different from other channels and as management condition got worsened and sales decreased topic diversity declined and channel composed topics similar to other channels. The manpower of news reporte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opic diversity, however it did not influence directly to topic diversity. Meanwhile, contrary to the common expectation that the topic diversity would increase along with the length of news, the length of news program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opic diversity in comprehensive channels. This is because comprehensive channel reports one item intensively compared to terrestrial broadcasting, which means that is the consequence of differentiation strategy of comprehensive channel.
      To find the differentiation factor of tone, the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market economical factor, ideological factor and regulation factor. As sales and the number of competitive news programs increased, the diversity of tones in whole broadcasting market increased and differentiations among channels were achieved. Especially, JTBC which has a lot of simultaneous competitors took opposite tone from other channels and tried product differentiation. That’s when competitive programs increase, and it becomes more favorable to secure new viewers than share the limited viewers with other channels.
      The degree of distance from neutrali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ales. It might be read that channel with high sales take a neutral position, however it needs a closer examination as terrestrial broadcasting has absolutely higher sales compared to comprehensive channel and it might be caused also by media characteristics. In comprehensive channels market, channels with low sales represented conservative tones and this is because they run the strategy to secure middle-aged class viewers, whereas channels with relatively high sales differentiated themselves by trying to attract other viewers than fixed viewers of other comprehensive channels.
      The result of analysis on ideological factor showed that comprehensive channel with high ratio of the desk from Mother Company exhibited more conservative tone. It is confirmed with JTBC as it changed its tone with sharp decline of ratio of the desk from Mother Company, only, this explanation might be limited as TVChosun is classified also as channel with low ratio of the desk from Mother Company. Meanwhile, this study assumed that restriction by deliberation on unfair reporting might prevent the biased tone, however the result of analysis on restriction by the Korean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on comprehensive channels programs related to Article9(Fairness) and tone of comprehensive channels showed no correlation, which confirmed that regulation factor did not affect on differentiation of the tone.

      더보기
      • Ⅰ. 서론 1
      • A. 문제 제기 1
      • B. 연구 문제 및 연구 목적 4
      • C. 논문의 구성 11
      • Ⅱ. 문헌 연구 13
      • A. 미디어 환경 변화와 종편 뉴스의 특성 13
      • 1. 뉴스 플랫폼의 다변화 13
      • 2. 신규 채널로서 종편 뉴스의 특성 17
      • B. 시장 주도적 저널리즘(Market-driven journalism)에 의한 뉴스의 상업적 생산 26
      • 1. 시장 관점에서 뉴스 상품의 특성 26
      • 2. 시장 주도적 저널리즘에 따른 뉴스의 변화 27
      • 3. 상업적 뉴스 생산 모형의 메커니즘과 한계 32
      • C. 경쟁 전략으로서 뉴스 차별화 35
      • 1. 과점시장에서의 뉴스 동질화 35
      • 2. 경쟁의 증가와 뉴스의 차별화 전략 필요성 40
      • D. 방송 뉴스의 차별화 유형 48
      • 1. 주제의 차별화 48
      • 2. 논조의 차별화 54
      • E. 방송 뉴스 주제와 논조 차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62
      • 1. 시장 경쟁 요인 62
      • 2. 미디어 기업 조직 요인 64
      • 3. 정책 및 규제 요인 68
      • Ⅲ.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72
      • A. 연구모형 72
      • B. 분석 대상 및 자료 수집 방법 74
      • 1. 분석 대상 74
      • 2. 자료의 수집 77
      • C. 주요 변인의 조작적 정의 80
      • 1. 뉴스 차별화의 측정 80
      • 2. 뉴스 차별화 요인 91
      • D. 코더 간 신뢰도 99
      • Ⅳ. 연구결과 101
      • A. 방송 뉴스의 주제 차별화 101
      • 1. 기술적 분석 결과 101
      • 2. 주제 다양화에 따른 차별화 107
      • 3. 주제 구성의 차별화 113
      • 4. 소결론 126
      • B. 방송 뉴스의 논조 차별화 130
      • 1. 무상복지 이슈에 대한 채널별 보도 특성 130
      • 2. 무상복지 이슈에 대한 채널별 논조 차이 134
      • 3. 소결론 151
      • C. 지상파와 차별화된 주제와 논조, 그 메커니즘 154
      • 1. 주제 차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4
      • 2. 논조 차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59
      • 3. 소결론 166
      • V. 결론 170
      • A. 요약 및 논의 170
      • 1. 주제 차별화 170
      • 2. 논조 차별화 177
      • B. 연구의 의의 182
      • C. 한계 및 제언 186
      • 참고문헌 188
      • Abstract 208
      더보기
      • 1 정갑영, "<산업조직론>", 서울: 박영사, 2004
      • 2 이수복, "<산업조직론>", 서울: 율곡출판사, 2001
      • 3 김강석, "",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4 배선영, 이상우, "미디어 다양성",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 5 유의선, "미디어 다양성", 한국방송학회, <방송통신연구>, 69호, 42-68, 2009
      • 6 김영세, "<게임이론>. 제6판", 서울: 박영사, 2013
      • 7 천관율, "손석희교수 인터뷰", 시사인. http://m3.sisainlive.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6417, 2013
      • 8 최영재, 홍성구, "언론자유와 공정성",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48권 6호, 326-342, 2004
      • 9 안동근, "황색 저널리즘의 회귀", 한국언론학회, <저널리즘 비평>, 25호, 52-55, 1998
      • 10 김문환, "", 다인미디어, 서울: 다인미디어, 1999
      • 11 김지운, 정회경, "<미디어경제학의 이해>", 나남출판, 서울: 나남출판, 1999
      • 12 정인숙, "방송정책이론과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 13 은준수, "‘흥미’좇는 북한 보도", KBS 미디어 인사이드. http://news.kbs.co.kr/news/view.do?ncd=2249218, 2011
      • 14 최진봉, "『미디어 정치 경제학』",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15 장우성, "종편 보도국 구성 '고심'", 한국기자협회.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23844, 2010
      • 16 마동훈, 박소라, "지역방송 뉴스 비교연구", 한국언론재단, 서울: 한국언론재단, 2000
      • 17 이재경, "<한국저널리즘 관행 연구>", 나남출판, 서울: 나남출판, 2003
      • 18 이완수(Wan Soo Lee), 배재영(Jae Young, Bae), "영상보도의 기계적 공정성",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 이론>, 10권 4호, 365-403, 2014
      • 19 김정아, 채백, "언론의 정치 성향과 프레임",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41호, 232-267, 2008
      • 20 한동섭, 최진호, "언론의 정파성과 권력 개입",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12권 2호, 534-571, 2012
      • 21 이민웅, "저널리즘: 위기, 변화, 지속", 나남, 서울: 나남출판, 2003
      • 22 나미수, "정치 뉴스와 의견의 다양성", 서울: 한국언론재단, 2002
      • 23 박홍원, "편집권 독립과 언론의 자유",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11권 1호, 123-156, 2011
      • 24 최낙진, "제주지역 방송뉴스의 다양성", 동서언론학회, <동서언론>, 10권, 69-107, 2006
      • 25 송은지(Eun Ji Song), 이건호(Gunho Lee), "대통령의 선거개입 이슈 보도",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8권 3호, 228-250, 2014
      • 26 홍성일, "종편 저널리즘. <신문과 방송>", 12월호, 2013
      • 27 이준웅, "언론 체계와 신문의 가치 창출",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4권 4호, 253-275, 2010
      • 28 박재영, 이진영, "한국 신문 보도의 다양성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4권 3호, 301-325, 2010
      • 29 김경모, 황유리, "한국형 방송 뉴스 도식의 발견",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18권 3호, 232-292, 2004
      • 30 이상복, "KBS MBC 9시 뉴스 시청률 추락 왜?", 중앙일보.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270654, 2006
      • 31 윤호진, "[KBI 칼럼] 방송뉴스의 미래전략", 이슈 저널리즘. http://www.kocca.kr/cop/bbs/view/B0000141/1216302.do?searchCnd=&searchWr d=&cateTp1=&cateTp2=&useAt=&menuNo=200898&categorys=0&subcate=0&c ateCode=&type=&instNo=0&pageIndex=10, 2010
      • 32 이기형, "`종편 저널리즘`의 위상과 함의", <문화과학>, 104-128, 2014
      • 33 허만형, "사회복지 이데올로기 정향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3권 2호, 99-118, 2009
      • 34 하주용(Ju-Yong Ha), "종합편성채널의 초기 성과 분석", 한국방송학회, <방송통신연구>, 85호, 37-67, 2014
      • 35 김창남, "채널A TV조선, 4년 만에 흑자전환", 기자협회보.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38274, 2016
      • 36 김숙, "방송 시청률 동향: 2015년 1사분기", <방송 트렌드 & 인사이트>, 1호, 83-90, 2015
      • 37 이진로, "언론 민주화 얼마나 진화했는가?", <신문과 방송> 2007년 6월호, 2007
      • 38 신중섭, "‘무상급식’의 정치철학적 함의", 철학문화연구소, <철학과 현실>, 150-163, 2010
      • 39 반현, 홍원식, "국내 지상파 방송 뉴스 포맷 연구", 한국방송공사 방송문화연구소, <방송문화연구>, 21권 1호, 9-38, 2009
      • 40 윤영철, "권력이동과 신문의 대북정책 보도", 성곡언론문화재단, <언론과 사회>, 27호, 48-81, 2000
      • 41 이준웅, "미디어 정치시대, 언론의 공정보도", 관훈클럽, <관훈저널>, 130호, 43-49, 2014
      • 42 남효윤, "언론보도와 통제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6권 1호, 115-146, 2006
      • 43 배현석, "지역 TV 뉴스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46권 4호, 141-176, 2002
      • 44 강명구, "한국 언론의 구조 변동과 언론전쟁",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48권 5호, 319-348, 2004
      • 45 여지훈(Yeo, Ji Hun), "한국의 복지균열 부상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구 서울디자인포럼학회), <현대정치연구>, 8권 1호, 181-217, 2015
      • 46 김성태, 이창호, "공적 이슈에 대한 미디어 보도 분석",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40-68, 2007
      • 47 조유빈, "(216. 3. 17). 개국 5년 종편이 살아났다", 시사저널.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148388, null
      • 48 이진우, "그들만의 출입처에 좌절하는 기자들", 기자협회보.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39245, 2016
      • 49 김세옥, "생존한 종편 '이런 성장' 괜찮습니까", 피디저널.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57558, 2016
      • 50 이동훈, 김원용, "프레임은 어떻게 사회를 움직이는가", 삼성경제연구소, 2012
      • 51 최선규, "경쟁으로 뉴스의 중립화 가능성 높아", <신문과 방송>, 9호, 24~27, 2009
      • 52 김경희, "인터넷 쇼핑몰 이미지 포지셔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8권 1호, 48-58, 2008
      • 53 Tuchman, G., "Making news: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reality", Free Press, Free Press. 박흥수 역(1995). <메이킹 뉴스>. 서울: 나남출판, 1978
      • 54 김연식, 박홍원, "방송 저널리즘 통제 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언론학회, <언론학연구>, 15권 1호, 5-30, 2011
      • 55 정철운, "3년 만에 반 토막, KBS 뉴스 영향력 급락", 미디어오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7266, 2016
      • 56 조성호, "지상파TV 뉴스와 보도 시청행태의 변화",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12권 3 호, 455-492, 2012
      • 57 도준호,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미디어시장 변화", 관훈클럽, <관훈저널>, 118호, 11-17, 2011
      • 58 주은선, "한국 보수언론의 복지담론 전략과 기술",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65권 2 호, 357-384, 2013
      • 59 강원택, "한국의 이념 갈등과 진보ㆍ보수의 경계", 한국정당학회, <한국정당학회보>, 4권 2호, 193-217, 2005
      • 60 금준경, 정철운, "시시콜콜, 김정은의 모든 것을 알려주마", 미디어오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4069, 2015
      • 61 강경수, 최진호, 정성호, 이화행, 이정기, "한국언론은 통일을 어떻게 바라 보는가?", <한국방송학보>, 29권 2호, 220-259, 2015
      • 62 김영주, 정재민, "「신규 채널의 시장 진입에 관한 연구」", SBS문화재단, <미디어 경제와 문 화>, 11권 1호, 120-170, 2013
      • 63 금준경, "KBSMBCSBS 메인뉴스, 국정원 해킹 보도 '0건'", 미디어 오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4055, 2015
      • 64 강명현(Myung-Hyun Kang), "지상파와 종편채널의 뉴스특성 비교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16권 1호, 5-36, 2016
      • 65 Lipmann, W., "Public Opinion. New York. 이충훈 역(2012). <여론>", 서울: 까 치, 1922
      • 66 박기묵(Gi-Muk Park), 김광재(Gwang-Jae Kim), "방송시장의 경쟁구조와 뉴스 콘텐츠 품질",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권 12호, 706-722, 2014
      • 67 우형진, 이창훈, "방송심의규제의 공정성 적용에 관한 연구", SBS문화재단, <미디어 경제와 문화>, 9권 3호, 7-56, 2011
      • 68 황성연, "방송환경 변화와 시청률 조사방식의 변화", 한국방송공사 방송문화연구소, <방송문화연구>, 26권 1 호, 63-84, 2014
      • 69 박상준, 천도정, "제품차별화는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는가?", 한국마케팅학회, <마케팅연구>, 20권 2호, 119-137, 2005
      • 70 원희영(Hiyoung Won), 윤석민(Sugmin Youn), "종합편성채널의 보도 공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한국방송학보>, 29권 1호, 117-148, 2015
      • 71 조영신, 최민재, "<종합편성 채널과 방송 정책>(연구서 2009-04)", 서울: 한국 언론재단, 2009
      • 72 김선진, "종합편성 채널 메인 뉴스 차별화 요인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권 3호, 321-330, 2012
      • 73 김세은, "한국 보수신문의 유사성과 차별성. <미디어", 젠더&문화>, 15호, 37-78, 2010
      • 74 김사승, "『저널리즘 생존 프레임: 대화, 생태, 전략』", 커뮤니케이션북스,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 75 김경모(Kyungmo Kim), 서상현(Sanghyeon Seo), 이연경(Yeon-Kyung Lee), "가차 저널리즘의 뉴스결정 과정에 대한 탐색", 한국공간구조학회, <언 론과학연구>, 15권 2호, 245-284, 2015
      • 76 김건우, 김균, "사주의 퍼포먼스와 신문 조직의 문화적 통제",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 학보>, 223-243, 2013
      • 77 고영철, 이지현, "제주지역 TV 방송 뉴스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 연구>, 8권 4호, 514-556, 2008
      • 78 박재영, 전형준, "독자 중심의 신문 제작과 독자의 실제 열독률",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 보학보>, 35호, 211-249, 2006
      • 79 김동윤, 유용민, 김성해,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 한국지역언론학회, <언 론과학연구>, 13권 3호, 75-122, 2013
      • 80 최현주(Hyun-Ju Choi), "한국 신문 보도의 이념적 다양성에 대한 고찰", 韓國言論學會, <한국언론학보>, 54 권 3호, 399-426, 2010
      • 81 윤홍근(Hong Keun Yoon), "종합편성채널의 브랜드 정체성와 브랜드 체계",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 지>, 14권 2호, 161-171, 2014
      • 82 구지혜, 정수영, "지상파 TV 뉴스의 다양성및 중복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방 송학보>, 24권 5호, 415-457, 2010
      • 83 권형둔, 하주용, 배진아, "방송의 공정성 광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방통융합정책연구(KCC-2015-35), 2015
      • 84 최영재, "언론의 정파성과 대통령 보도, 그리고 언론자유", 한국언론법학회, <언론과법>, 4권 2 호, 49-80, 2005
      • 85 조은영(Eunyoung Cho), 유세경(Sae Kyung Yu),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 학보>, 58권 3호, 433-461, 2014
      • 86 정동우, "시장지향적 저널리즘에 대한 기자들의 수용태도",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 보>, 49호, 81-98, 2010
      • 87 이인욱, "한국 언론 방송 시장의 과점화 현상에 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 학회보>, 20권 2호, 73-95, 2013
      • 88 임주리, "7, 18). 상처뿐인 MBC 파업…남은 건 반 토막 시청률", 중앙일보. http://news.joins.com/article/8787624?ctg=1200&cloc=joongang%7Chome%7Cne wslist1, 2012
      • 89 이화행, "방송뉴스의 과학보도 현황과 개선점에 관한 연구",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언론학연구>, 16 권 3호, 141-165, 2012
      • 90 손승혜, 이창현, "뉴스 아이템의 특성에 따른 TV 뉴스의 중요도 차이", 한국언론학회, <한국 언론학보>, 44권 1호, 412-440, 1999
      • 91 김경모(Kyungmo Kim), 김지현(Jeehyun Kim), 윤영철(Young Chul Yoon), "의견 다양성을 통해 본 언론매체의 이념적 지형도", 한국방송학회, <방송통신연구>, 89호, 35-64, 2015
      • 92 남궁협, 안주아, "지역방송의 뉴스양식 및 보도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언론 과학연구>, 7권 3호, 81-115, 2007
      • 93 이하늬, "창간 50주년 중앙일보, 보수색 벗고 홍정도 전면에", 미디어오 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5217, 2015
      • 94 김경희, 노기영, "한국 신문사의 이념과 북한 보도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 론학보>, 55권 1호, 361-387, 2011
      • 95 임순미, "무상급식논쟁을 통해본 보수의 담론ㆍ진보의 담론",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 보>, 45권 2호, 251-279, 2011
      • 96 윤성옥, 홍성철,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제재결정 행위와 특징 분석", 방송문화진흥회,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6권 3호, 131-171, 2015
      • 97 김택환, "저널리즘으로서 종편뉴스가 나아갈 길. <언론중재>", 2012년 봄호, 106~110, 2012
      • 98 정영권, 최창식, 채백, 정철우, "전국과 지역 TV 뉴스의 관급보도 행태에 관 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7권 1호, 117~148, 2009
      • 99 이창근, "텔레비전 뉴스 환경의 변화와 KBS 뉴스의 당면 과제", 한국방송공사 방송문화연구소, <방송문화연 구>, 5호, 113-150, 1993
      • 100 김도환, "수직적 수평적 차별화 시장에서의 서비스 요금전략", 한국경영과학회, <경영과학>, 26(3), 67-78, 2009
      • 101 최양수, 황유선 , 이연경, "다채널 환경에서의 지상파 텔레비전 시청 행태 변화",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4권 1호, 411-435, 2010
      • 102 한수연(Soo Yeon Han), 윤석민(Sugmin Youn), "종합편성채널 출범이 지상파 방송 뉴스에 미친 영향", 한국방송학회, <한국 방송학보>, 30권 1호, 169-210, 2016
      • 103 장하용, "매체 간 경쟁의 심화에 따른 안내적 저널리즘의 약화",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 보학보>, 56호, 48-70, 2011
      • 104 이영주, 하주용, "방송통신 융합 시대의 신문방송 소유 겸영 규제 정책", 한국방송학회, <방 송통신연구>, 66호, 69-99, 2008
      • 105 임양준, "집단적 갈등 이슈에 대한 방송뉴스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 보>, 53권 5호. 55~79, 2009
      • 106 임영호, "<뉴스 가치의 이해>. 김춘식 외 공편. 저널리즘의 이해", 서울: 한울, 2010
      • 107 한동섭, "북한관련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 지형과 실천방식",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언론과학연 구>, 1권 2호, 250-294, 2001
      • 108 김재영, 신태섭, "케이블TV 지역채널의 해설ㆍ논평 금지에 관한 일 고찰",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56호, 117-131, 2011
      • 109 장호순, "신문과 방송의 교차소유 규제완화에 관한 찬반론 분석", 한국언론법학회, <언론과 법>, 7권 1호, 137-167, 2008
      • 110 강형철, "한국 방송정책의 결정과정과 특징: 신제도주의적 시론", 한국방송학회, <방송통신연 구>, 75, 28-57, 2011
      • 111 김동률, "신문사 경영난: 위기와 대응방안의 문제. <신문과 방송>", 9월호, 45-49, 2004
      • 112 김원용, 이동훈, "신문의 보도 프레임 형성과 뉴스 제작 과정에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48권 4호, 351-380, 2004
      • 113 김경모, "한국 언론의 경향성과 이른바 사실과 의견의 분리 문제",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 학보>, 54권 2호, 187-209, 2010
      • 114 Belt, T., Rosenstiel, T., Pertilla, A., Just, M., Dean, W., Chinni, D., "We interrupt this newscast: How to improve local news and win ratings, too",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오태동 역(2012). <뉴스 시청률 마법의 공식>.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 115 김연식(Yeonshik Kim), "방송 저널리스트의 직능과 소속사에 따른 역할 인식 연구", 한국공간구조학회, <언론과 학연구>, 15권 1호, 88-114, 2015
      • 116 최용준, 최윤규, "전주지역 지상파3사 방송 메인뉴스의 중복성에 관한 연구",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언론학연구>, 19권 1호, 309-337, 2015
      • 117 전혜선, "케이블TV시장구조(독점과 경쟁)에 따른 행위 및 성과 분석", 한국언론학회, <한국언 론학보>, 49권 5호, 124-146, 2005
      • 118 Beebe, J., Owen, B., Manning, W., "TV Economics. DC Heath, London. 최양수 역(1996). <텔레비전 경제학>", 서울: 나남, 1974
      • 119 정연우, "한국 신문산업에 대한 사회 책임 이론적 정책에 관한 연구", 동서언론학회, <동서언 론>, 5권, 105-131, 2001
      • 120 정일권(Irkwon Jeong), 남상현(Sanghyun Nam), 장병희(Byenghee Chang), "선거여론조사 방송보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8권 5호, 150-196, 2014
      • 121 류동협(Donghyup Ryu), 홍성일(Sungil Hong), "종합편성채널 시사대담 프로그램의 차별화 전략과 그 효과", 한국방송학회, <방송통신연구>, 85호, 9-36, 2014
      • 122 이상호, "지방일간지의 지방자치 인식에 관한 경향성과 역할의 모색",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 론정보학보>, 31호, 225-259, 2005
      • 123 이준웅(June Woong Rhee), 조항제, 정준희(June-Hee Jung), 송현주(Hyun-Joo Song), "한국 사회 매체 체계의 특성 ‘민 주화 이행 모형’의 제안",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 이론>, 6권 1호, 87-143, 2010
      • 124 남궁협, "방송 뉴스 보도에 미치는 내적/외적 영향 요인에 관 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 론학회 연구보고서, 2004.1, 25-66, 2004
      • 125 임종섭, "온라인 뉴스 홈페이지 머리글 기사의 차별화와 표준화 분석", 한국언론학회, <한국 언론학보>, 55권 3호, 82-102, 2011
      • 126 유수정, 최선규, 양성은, "뉴스 시장의 경쟁과 미디어 편향성: 취재원 인용을 중심으로", 정보통신정책학회, <정보통신정책연구>, 19권 2호, 69-92, 2012
      • 127 윤태진, "방송사의 세월호 참사 보도 : JTBC 뉴스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문 화과학>, 192-212, 2014
      • 128 채정화(Jung-Hwa Chae), "포털 뉴스의 재매개 서비스 유형별 관점 다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 방송학보>, 28권 5호, 237-284, 2014
      • 129 최세경, "“종합편성채널의 편성전략, 장르 다양성 그리고 시청성과”", 한국방송공사 방송문화연구소, <방송문 화연구>, 24권 1호, 75-109, 2012
      • 130 김동윤, "방송 저널리즘 변신 미숙 차별화된 콘텐츠 부족. <신문과 방송>", 2 월호, 57~61, 2012
      • 131 김정현, 이성일, "지상파 방송사의 프로그램 시간 편성에 대한 게임 이론적 분석",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5권 3호, 201-250, 2011
      • 132 김경모, 송현진, "메시지 품질과 토론 연결망의 구조적 위치, 그리고 여론지 도력",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56호, 194-218, 2011
      • 133 김용진, "<경영학 사용설명서: 경영 원리를 어떻게 실전에 적용할 것인가>", 서울: 클라우드나인, 2015
      • 134 조연하, "방송내용 심의기준 관련법.규정의 체계성: 위임입법의 관점에서", <방 송과 커뮤니케이션>, 13권 4호, 203-236, 2012
      • 135 윤호진, "<갈등과 통합의 관점에서 본 대선 전후 방송과 신문의 논조 비교>",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제2발표, 13-35, 2003
      • 136 이이제, "송진 방송 뉴스 시장의 관점 다양성 : 대북 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5권 6호, 277-303, 2011
      • 137 전범수, "종편, 리메이크, 리얼리티 방송계 달군 3대 키워드. <신문과 방송>", 12월호, 2013
      • 138 반현(Hyun Ban), 권영순(Young Soon Kwon), "포털 뉴스와 기존 뉴스 매체의 이용행위에 대한 상관관계성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1권 1호, 399-426, 2007
      • 139 김승호, 최용호, 신진교, "최고경영자, 전략 및 구조요인이 중소기업의 성과 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연구>, 25권 2호, 103-125, 2003
      • 140 오민홍, 이완수, "미디어 논조가 기업심리, 고용 및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24권 6호, 3775-3790, 2011
      • 141 송병원(Song, Byoung-Weon), 김요한(Kim, Yo-Han), 이명천(Lee, Myoung-Chun), "지역신문의 보도자료 이용과 기사 작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14권 4호, 146-188, 2014
      • 142 이창현, "텔레비전 뉴스 아이템의 채널 간 중복률과 정보채널 및 내용적 특 성",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48권 1호, 189-206, 2004
      • 143 McQuail, D., "Mass communication theory. 양승찬 이강형 역(2008). <매스커 뮤니케이션 이론>", 파주: 나남, 2005
      • 144 최영재, "공영방송 보도국의 정파적 분열 : 민주화의 역설, 정치적 종속의 결과",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 이론>, 10권 4호, 476-510, 2014
      • 145 하주용, "방송콘텐츠산업 활성화를 위한 종합편성채널 도입 정책에 관한 연 구", 한국문화산업학회, <문화산업연구>, 10권 3호, 73-98, 2010
      • 146 김관규, "종편 저널리즘 진단: 제18대 대선 관련 시사토론프로그램을 중심으 로", <방송문화>, 376호, 39∼42, 2013
      • 147 김상우(Sang-Woo Kim), "통합 뉴스룸 도입에 따른 뉴스 생산 및 품질의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사회과학연구>, 21권 1호, 158-185, 2014
      • 148 이상우, 조익환, "경쟁 환경에 따른 신규 미디어와 기존 미디어의 프로그램 다양성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6권 6호, 177~212, 2012
      • 149 구교태, "매체간(Intermedia)과 매체내(Intramedia) 의제분석을 통한 뉴스획일 화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21권, 7-34, 2003
      • 150 이원섭, "언론의 남북문제 보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 정책 평 가",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언론정보학보>, 35호, 329-361, 2006
      • 151 윤성옥, "종편채널과 보도 프로그램의 문제점. 종편 3주년 현황 및 평가 토론 회", 2014년 12월 1일, 2014
      • 152 정재철, "한국 신문과 복지 포퓰리즘 담론: 동아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 로", 한국지역언론학회, <언론과학연구>, 11권 1호, 372-399, 2011
      • 153 이충권, 조미희, 이홍희, "다차원척도법을 활용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들의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18권 6호, 103-112, 2013
      • 154 김은혜(Eun-Hae Kim), 유세경(Sae Kyung Yu), "방송 뉴스 다채널 시대의 뉴스 프로그램 시청 동기와 충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8권 1호, 89-130, 2014
      • 155 박종태, 이충섭, 오계영, "차별화전략과 경영혁신 및 성과지표효율성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회계정보연구>, 32권 1호, 141-165, 2014
      • 156 윤정미, 임정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간 유사성과 서비스 선호도에관한 포지셔닝 분석",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6권 3호, 416-457, 2012
      • 157 손영일, 황태호, 이상훈, "[팩트체크]“세계적 인하 추세에 역행” vs “세율 낮춰도 투자 제자리”",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50206/69506360/1, 2015
      • 158 박재영, 이진영, "경쟁 신문의 등장에 따른 신문의 보도 차별화 전략: 한겨 레 창간의 경우",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4권 6호, 444-470, 2010
      • 159 정윤식, "신문 방송 겸영 논쟁에서 적용된 경쟁/산업적 관점과 다양성/공익적 관점", 문화방송,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3권 3호, 109-146, 2012
      • 160 윤재홍, "한국 보도방송 심의제도에 대한 방송기자의 인식: KBS의 사례를 중 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1권 2호, 429-474, 2007
      • 161 송종현, "<종합편성채널 시사토크프로그램에 대한 진단과 평가>. 방송통신심 의원회", 2013 방송심의 현안 토론회 발표논문, 2013
      • 162 이진영, "시장 구조 변화와 보도의 다양성 : 민주화 이후 보수 진보 신문의 전략 변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 163 김재영, "지상파와 종편 프로그램 심의 실태 비교: 방송통신심의위원회 회의 록 분석", <방송문화>, 401권, 148-161, 2015
      • 164 최민재, "TV 뉴스의 영상구성에 대한 패러다임 연구:TV카메라 기자의 인 식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방송연구>, 60호 323-349, 2005
      • 165 심훈, "KBS, MBC, SBS 및 YTN의 뉴스 프로그램 비교: '주제' 및 '인터뷰'의 다양성 측면에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5권 2호, 68~93, 2004
      • 166 정재진, "차별화전략, 유기적구조, 최고경영자특성의 적합성이 조직성과에 미 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산업경제연구>, 18권 5호, 2067-2085, 2005
      • 167 김성현, "호텔링 입지 모형의 균형 분석: 한계비용이 존재하는 경우. <사회과 학연구논총>", 18(단일호), 5-24, 2007
      • 168 황성기, "3분할모델에 따른 인쇄매체/방송매체의 차별적 규제를 둘러싼 논쟁 에 관한 고찰",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경제규제와 법>, 1권 2호, 215-230, 2008
      • 169 최윤정, "<주시청시간대 지상파TV채널간 경쟁구도의 변화가 뉴스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 170 고영신,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대통령 친인척 비리보도의 뉴스프레임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커뮤니케이션 이론>, 3권 1호, 156-196, 2007
      • 171 정회경, "한국 방송 저널리즘의 발전과 수용자 진화. <뉴스 수용자의 진화. 김동윤 등 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 172 설진아, 한진만 , "텔레비전 뉴스의 연성화에 관한 연구:KBS1,MBC,SBS 의 주시청시간대 뉴스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15권 3호, 333-366, 2001
      • 173 강병진, 손미나, 김도훈, "[허핑턴포스트코리아 독점 인터뷰] 손석희 " 뉴스는 새장 속에 갇혀있으면 안된다"", 허핑턴포스트코리아. http://www.huffingtonpost.kr/2015/03/03/story_n_6781400.html, 2015
      • 174 송주호, 조지연, 이봉규, "종합편성채널 도입에 따른 국내 미디어산업 변화 및 사업자 경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2권 1호, 39-53, 2011
      • 175 노기영, "다채널 방송시장의 경쟁과 집중. <방송통신연구>, 52호, 57-93. (2007). 방송산업과 경쟁", 한울, 2001
      • 176 배정근, "시장지향적 언론의 형성과 성격에 관한 비교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신문을 중심으로",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8권 1호, 1-34, 2013
      • 177 심미선, "새로운 포맷 개발롸 차별화 시사보도 편중 해결은 과제: 편성의 새 로운 시도와 한계", <신문과 방송>, 통권 516호, 27-30., 2013
      • 178 원만해, 채백, "'천성산 고속철도 관통' 보도에서 나타나는 중앙지와 지역 지의 뉴스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보>, 51권 1호, 199-228, 2007
      • 179 문성철, 양문희, "뉴스 프로그램 품질 평가의 채널 브랜드 자산과 채널 충성 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53권 3호, 197-220, 2009
      • 180 이효성, "대중언론의 이데올로기. 한국사회언론연구회, 현대사회와 매스커뮤 니케이션 (145∼165쪽)", 서울: 한울, 1990
      • 181 안민호, "<미디어 생태계에서의 컨버전스와 디버전스>(디지털 컨버전스 기반 미래연구(II) 시리즈 10-2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0
      • 182 김승수, "신문소유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46권 2호, 122-149. (2004). <언론산업의 정치경제학>", 서울: 개마고원, 2002
      • 183 이병남, "<방송사 내부의 언론자유 실천에 관한 연구: 지상파 방송3사 노조의 공정방송 활동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강원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언론학박사학위논문, 2012
      • 184 김남석, "80년대 후반 신문산업의 구조변화에 영향을 미친 사회경제적 요인 들의 구조변수화를 위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45권 2호, 5-61, 2001
      • 185 이상기, "텔레비전의 매체적 특성과 방송 저널리즘의 질: 텔 레비전 뉴스의 질(quality)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77-86, 2004
      • 186 오창우, "언론체계에 대한 Public Relations의 영향에 대한 고찰: 보도자료 반 영률과 보도자료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44권 4호, 120-171, 2000
      • 187 박세린, "종합편성채널 도입에 따른 방송시장의 관점 다양성 변화에 관한 연 구: 대북관련 보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4
      • 188 이승길, "손석희 'JTBC 뉴스룸' 8시로 옮기고 100분 확대편성. 오마이 뉴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 CNTN_CD=A0002028897, 2014
      • 189 박진우, "뉴스 생산의 유연화와 저널리스트 노동: 2000년대 한국 언론의 고용 및 노동 유연화 과정에 대한 검토",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언론정보연구>, 49권 1호, 38-72, 2012
      • 190 박기묵, 우형진, "보도교양 방송프로그램의 ‘윤리적 수준’과 ‘소재 및 표 현기법’에 관한 방송심의결정 분석 연구", <방송통신연구>, 91호, 131-164, 2015
      • 191 김민철, 윤유진, "<방송통신 서비스 경쟁의 지리적 격차에 대한 연구: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중심으로>(기본연구 09-0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9
      • 192 권상희, 오경수, 강영희, "방송프로그램 장르간의 경쟁과 효용성연구: 지상파 방송사와 뉴미디어방송간 프로그램경쟁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 42권 1호, 33-69, 2009
      • 193 원성윤, "종편 대표 프로그램 인물은?. 한국기자협회.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29899 (2013. 8. 14). 종편", 정치 이슈 선점…‘마의 시청률’ 1% 돌파: 종편 시청, 2012
      • 194 김춘식, "<종합편성채널 및 보도전문채널 뉴스: 현황, 문제점, 전망과 과제. 한국의 뉴스 미디어 2013>(연구서 2013-10)",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 195 김영주, "신문의 방송진출: 가능성과 사업성. <미디어 인사이트>, 2권, 2-41. (2010). <로동신문>에 나타난 대남보도 논조 분석", <언론과학연구>, 10권 4 호, 80-121, 2008
      • 196 금희조, 조재호, "종합편성채널 시사 토크쇼 시청이 정치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 시청의 주 효과 및 정치 성향과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 보>, 29권 3호, 5-35, 2015
      • 197 김영욱, 임유진, "언론의 정부-언론 관계와 언론 정책에 대한 담론 변화 분석: 노무현, 이명박 정부에 대한 보도 이데올로기 차원 비교 평가", <한국언론학 보>, 53권 4호, 94~115, 2009
      • 198 Munro, B. H., "Statistical methods for health care research (Vol. 1).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이은형 정영해 김진선 송라윤 황규윤 공 역(2006). <보건통계분석>", 서울: 군자출판사, 2005
      • 199 조영신, "방송 저널리즘을 둘러싼 산업지형의 변화. <방송 저널리즘 혁신: 지 속과 파괴의 현장>. (공)저: 장하용 조영신 김동윤 강석 김미경 김성 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