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알쯔하이머병 환자 뇌의 해마피질내 rab6 단백의 발현 =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GTP-binding Rab6 Expression in the Hippocampal Cortices of the Alzheimer Brain
저자
전영희(Young-Hee Cheon) ; 강영중(Yeong-Jung Kang) ; 이지혜(Ji-Hye Lee) ; 표정수(Jung-Soo Pyo) ; 백태경(Tai-Kyoung Baik)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5
작성언어
-주제어
KDC
510
등재정보
KCI등재,ESCI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51-459(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베타 아밀로이드는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이 β-secretase 및 γ-secretase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생성된 후 세포 밖으로 배출되어 뇌의 다양한 부위에 축적되어 신경세포 독성을 나타내므로 알쯔하이머병의 주요한 원인 물질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GTP 결합 단백질인 rab 단백은 물질이동에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rab6 단백은 골지복합체에서 형질내세망으로 물질의 역전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이 rab6 단백에 의해 역전달되어 이동될 경우 골지복합체에 존재하는 β-secretase와 형질내세망에 존재하는 γ-secretase의 순차적인 작용에 의하여 베타 아밀로이드의 생성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알쯔하이머병의 병리학적 병기에 따른 신경세포내 rab6 단백의 활성 변동을 조사하여 베타 아밀로이드 생성과 rab6 단백 활성의 연관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알쯔하이머 뇌는 손상 정도에 따라 임상전기와 임상기로 분류한 후 인지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해마피질에서 질병의 경과에 따른 rab6 단백의 발현여부를 관찰하고자 항rab6 단백 항체를 이용한 면역 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알쯔하이머병의 특징적 병리소견인 베타 아밀로이드는 관통경로를 따라 치아이랑의 분자층에서 다수 관찰되었고, 알쯔하이머병이 진행될수록 해마피질내 모든 구획의 피라밋세포에서 rab6 단백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알쯔하이머 뇌의 해마피질내 CA1 및 CA3 구획이 CA2 구획에 비해 rab6 단백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이는 내후각뇌피질에서 치아이랑의 분자층을 경유하여 CA3 구획에 도달한 후 다시 CA1 구획으로 투사되는 기억회로의 관통경로 손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ras-related GTP binding protein, rab6, is located in late Golgi compartment. Modulation of β-and γ-secretase activity may lead to production of β-amyloid fragments that are ultimately deposited in senile plaques at the brain of Alzheimer patients. Because modulation of rab6-mediated intracellular transport has been known to affect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processing, we investigated the rab6 immunoreactivity on the hippocampal neurons in the Alzheimer brains, according to the pathological staging of the disease.
A total of 30 brains were used for this study. Campbell’s silver stain for β-amyloid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rab6 protein were employed. The cortices of the hippocampal formation and the neighboring temporal neocortex were observed.
The results are obtained as follows:
1. In normal elderly brains, no amyloid plaque is seen. In Alzheimer brains, a number of amyloid plaques are seen at the temporal neocortex and dentate gyrus.
2. In normal elderly brains, the perikaria of the pyramidal cells at the CA1 sector shows weak rab6 immunoreactivity.
At the CA2 and CA3 sectors, trace immunoreactivity is observed in the pyramidal cells.
3. In preclinical Alzheimer brains, the perikaria of the pyramidal cells at the CA1 sector shows moderate rab6
immunoreactivity and the cells at the CA2 sector show weak immunoreactivity. A weak to moderate immunoreactivity
is seen in the pyramidal cells of the CA3 sector.
4. In clinical Alzheimer brains, the pyramidal cells at the CA1 and CA3 sectors show strong rab6 immunoreactivity, but the cells at the CA2 sector shows moderate immunoreactivity.
It is suggested that alteration of intracellular protein transport caused by abnormal rab6 activity may modulate
amyloid precursor protein processing, which results in β-amyloid production.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2-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해부학회지 -> Anatomy and Cell Biology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Anatomy -> Anatomy and Cell Biology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등재유지)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5 | 0.15 | 0.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 | 0.09 | 0.223 | 0.0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