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항만물류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ggestion to develops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the Changwon city
ABSTRACT
A Study on the Suggestion to Develops the Port Logistics Industry in the Changwon City
by Hong-Ja, Jeung
Department of International Business
Graduate School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Major Adviser : Prof. Hae-Bum, Choi
As we, Republic of Korea, are expecting to increase the products and exporting volumes of autos, textiles, steels as a result of signing FTA with U.S and EU that is the largest integrated economic zone in the world, we should prepare new approach to meet the change to demand continuous large scale vessel, and to accelerate the establishment of global logistics networks.
and Busan new port and hinterland have been developing for many years to create port-added value and to secure new port governance that goes beyond traditional port perimeter.
therefore, under rapid changing circumstance of port logistic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logistics modernization are increased more and more. this trend will be affected greatly to Chang Won City adjacently tied with Busan New Port.
The high added value in port logistics considers as the survival key role strategy in a certain area, and the clustering of various industry will be a core measure to promote regional economy.
To expand and supply good infrastructure in port hinterland, such as low land price, roadway, electricity, traffic, port availability, and to make and promote high added value at hinter land, new strategy is required in developing port logistics as a driving factor.
This study will be contributed to practical consideration so 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to port logistics in Chang Won city with stimulating Busan new port hinterland.
Especially, not only logistics industrialization in main industry in Chang Won city, such as machinery, machinery-parts, ship building related industry, electric, electric parts, but also the developing method of port logistics at Chang Won city will be highly valued as useful strategy in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main industry logistics in Chang Won city.
Substituting Service in distribution, storage of main industry in Chang Won city, such as machinery, machinery-parts, ship building related industry, electric, electric parts, is preceded in view to cargo traffic frequency, distance and location of distribution, cargo size, and the effect of port logistics will be greatly increased with accompanied information and knowledge service.
These are reshaped the current state of main industry, cargo volume analysis/ or freight circulation between hinterland and cargo load up location, and current state of port logistics to maximize practical efficiency of logistics industralization in main industry in Chang Won city.
The phase toward logistics integration of main industry is needed to a gradual and market driven process with the set up of the master plan to look in with long term dependent strategies and functional push ahead in logistics networks improving its efficiency. Appropriated approach should be accessed to ex-import logistics, forwarding, supply of high-end logistics information.
This article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rt logistics in Chang Won city and Busan new port hinterland and gropes for the way to develop not only the development of port logistics in Chang Won city but also main industry in Chan Won city under connection with activation of port hinterland.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port hinterland is as so much important as to expand port installation. and also the way to enhance the development new port hinterland is proposed.
also, By case study to develop logistics in advanced countries, cost reduction in companies and new paradigm are submitted to be logistics industrialization in main industry linked with Busan new port hinterland.
It will rethink and broaden the development way of port logistics at Chang Won city to cope actively with the change of port governance.
First of all, in private sector, logistics industry puts vitalization, large scale-merit, enhancement forwards, such as diversified policies go to unify policy or big companies which handle own logistics should be hand over to third party.
To secure and increase logistics market sharing world widely, logistics law should be legislated to promote nation wide assistance as soon as possible, and logistics industry should be developed to key industry so as to be a resources of regional wealth source.
Second, Under legal and broad institutional base, a local autonomous entity should be attended not only to select the companies to offer the space in hinterland but also to take part in decision of port authority management.
Henceforth, logistics companies in Chang Won city could be possible to offer the space in New port hinterland. By priority, local government should take the policy to nurtures total logistics companies which have intensive technology and capability to handle containers & cargo.
To activating logistics center, Port logistics center should be constructed to join specialized logistics companies and big shippers in logist hinterland facilities .
At the same time, local government could be assist to establish the basic infrastructure and companies in hinterland would be get the proper incentives differential in grade.
Leading logistics companies should be promoted by disinter among excellent companies in logistics industry, and they would be a role model to other companies to be accompanied with each other for mutual development. and also it necessary for local government to back up for logistic specialization by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By mechan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logistics industry, the optimization of managing and operating in specialized logistics companies will be groping, if these companies have good technology and deep knowledge in logistics.
Moreover, green logistics, big issue in logistics industry recently, could be achieved by logistics industrialization.
Finally The activating base for port logistics industry should be prepared by followings. logistics companies in Chang Won city broadly takes part in Busan New port, and they make a consortium to support logistics dustrialization.
To expand logistics association will be leaded to build network intimately among logistic related entities, such as associations, companies and local government.
For rapid change of logistics business circumstance and to meet diversified demand in future, activating for port hinterland development will be raise the competitiveness of logistic industry in Chang Won city.
Such growth and development in port logistics will be maximized economically spill over effect by regional employment creation, income and tax increase with speed up for industry metabolism, new employments, new type job creation.
우리나라는 세계 최대 단일 경제권인 EU, 미국과의 FTA 체결로 인해 자동차, 섬유, 철강 분야에 있어서 생산 및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선박 대형화 추세,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 구축의 가속화 등 변화에 대응하고 항만의 부가가치화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부산항 신항은 배후단지 확보를 위해 개발되어 지고 있다. 그래서 항만물류산업 분야에 있어 환경변화는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물류산업의 현대화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은 증대되어 가고 있어 이러한 물류 경제환경의 변화는 부산항 신항과 연계되어 있는 창원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인다.
항만물류산업의 고부가가치화가 지역경제의 생존전략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산업의 집적화는 경제진흥의 핵심수단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저렴한 부지와 도로, 전기, 교통, 항만 등 양호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배후단지의 공급을 통하여 고부가가치의 창출을 촉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도록 항만물류산업에 있어서 새로운 형태의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활성화를 중심으로 창원시 항만물류산업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은 실무적인 기여도가 있다고 판단된다. 특히 기계·부품산업, 조선기자재산업, 전자·부품산업 등 창원시 주요산업의 물류산업화 방안과 창원시 항만물류산업의 발전방안은 실제적으로 창원시 주요 산업간의 물류산업 활동과 성장에 이용되는 전략으로 효용가치가 클 것이다.
창원시 주요산업인 기계·부품산업, 조선기자재산업, 전자·부품산업의 화물운송 빈도, 운송거리, 화물차 크기 및 형태 등을 고려하여 수·배송 및 보관 중심의 대행서비스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와 함께 정보 및 지식서비스가 수반된다면 항만물류산업화의 효과가 크게 증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창원시 경제기반을 조성하는 주요산업별 물류산업화의 실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창원시 주요산업별 현황과 기종점 물동량(O/D)분석 및 항만물류산업의 현황을 재정립하였다.
창원시 주요 산업을 물류산업화하기 위해서는 단계적인 계획이 필요하고 장기적인 사업검토 및 효율적 추진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이 선행되어야 하며 창원시의 주요 산업별 물류산업화 추진 형태, 규모 등에 따라 수출입 물류산업, 포워딩, 첨단 물류정보서비스 등의 방향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래서 창원시 항만물류산업과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와의 관계를 연구하고, 배후단지의 활성화와 연계하여 창원시 주요 산업과 창원시 항만물류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히 항만배후단지의 개발은 부두시설 확충만큼이나 중요한 과제임을 증명하였고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선진항만의 항만물류산업 발전사례를 통해 부산항 신항의 배후단지 개발과 연계한 창원시 주요 산업별 물류산업화를 통한 기업비용 절감 및 새로운 패러다임의 항만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원시 항만물류산업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미래의 급격한 물류산업 환경변화와 다양해진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활성화된 항만배후단지 개발을 통하여 부산항 신항과 가장 근접해 있는 창원시 항만물류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켜 항만물류산업 활동의 성장과 발전으로 지역산업의 신진대사 촉진, 신규고용 창출, 새로운 형태의 지속적인 일자리 창출 확대유도를 통해 지역고용 문제 해결과 소득 및 세수의 증대라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