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교감국역)甘華集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목차
    • 일러두기 = 15
    • 서문 / 이동춘 = 17
    • 해제 / 최석기 = 19
    • 국역 감화집 제1권
    • 시(詩)
    • 감화정 팔영(甘華亭八詠) = 27
    • 순지(蓴池) = 29
    • 문영동(文英洞) = 29
    • 자불곡(慈佛谷) = 30
    • 석천(石泉) = 30
    • 오류동(梧柳洞) = 30
    • 율정(栗亭) = 30
    • 독암(獨巖) = 31
    • 시암(柴巖) = 31
    • 마고암(麻姑巖) = 31
    • 와석(臥石) = 32
    • 몽천(蒙泉) = 33
    • 간암(艮巖) = 33
    • 설파(雪坡) 손성악(孫星岳)의 운에 받들어 화답함(奉和雪坡孫戚丈星岳韻) = 34
    • 호와(好窩) 정경(鄭炅)의 운에 받들어 화답함(奉和好窩鄭戚丈炅韻) = 34
    • 구암서사 십육영(舊巖書社十六詠) = 35
    • 서사운(書社韻) = 39
    • 부백(府伯) 박종경(朴宗京)의 귀경을 전별하면서(奉餞朴府伯宗京歸京) = 40
    • 원운(原韻)을 부기(附記)함(附原韻) = 40
    • 부백(府伯) 김노응(金魯應)이 내부(萊府)로 관직을 옮기는 것을 전별하면서(奉錢金府伯魯應移職萊府) = 40
    • 김백(金伯)이 내백(萊府)으로 옮긴 지 몇 달 되지 않아 또 도백(道伯)으로 옮기니, 지나는 길에 시를 지어 하례하다.(金伯移萊伯 不數月 又移道伯 歷路以詩賀之) = 41
    • 부백(府伯) 윤우열(尹羽烈)의 옥산(玉山) 운을 받들어 차운함(奉次尹府伯羽烈玉山韻) = 42
    • 집안 사람 선장(善長) 이원상(李元祥)이 침랑(寢郞)이 되어 가는 길에 줌(贈宗君善長元祥寢郞之行) = 42
    • 설파(雪坡)의 동축(東竺) 운에 차운함(次雪坡東竺韻) = 43
    • 구강(鷗江)의 운에 차운함(次鷗江韻) = 43
    • 입암정(立巖亭) 운에 차운함(次立巖亭韻) = 44
    • 불국사(佛國寺) 운에 차운함(次佛國韻) = 44
    • 풍영정(風詠亭)에서 죽리(竹籬) 손병노(孫秉魯)·몽수(蒙수) 박정원(朴鼎元)·설파(雪坡) 손성악(孫星岳)·무은(霧隱) 임만제(任晩濟)·치암(癡庵) 남경희(南景羲)와 함께 각각 정(亭)자 운으로 읊다.(風詠亭同孫竹籬秉魯朴蒙수鼎元孫雪坡星岳任霧隱萬濟南癡庵景羲各賦亭字韻) = 45
    • 도와(陶窩) 최경지(崔景至)의 남복(南復) 백련정(白蓮亭)운에 차운함(次崔陶窩景至南復白蓮亭韻) = 45
    • 칠인정(七印亭) 운에 차운하여 유백(孺伯) 장응걸(張應杰)에게 화답함(次七印亭韻和張孺伯應杰) = 46
    • 성산사(聖山寺)에 신주를 봉안할 때의 운에 차운함(次聖山詞奉安時韻) = 46
    • 다시 한 수(再疊) = 47
    • 최씨(崔氏)의 팔우정(八友亭) 유허(遺墟)에 돌을 세울 때에 월성(月城)향음례(鄕飮禮)의 운에 차운함(次崔氏八友亭遺墟立石時月城鄕飮禮韻) = 47
    • 동호(東湖) 병자각(丙子閣) 운에 차운함(次東湖秉子閣韻) = 48
    • 동호팔경(東湖八景)의 운에 차운함(次東湖八景韻) = 48
    • 장유백(張孺伯)의 인정(印亭) 오언시에 화답하는 십영(十詠)(和張孺伯印亭五言十詠) = 50
    • 또 칠언시에 화답한 이십육절(又和七言二十六絶) = 52
    • 또 쌍계구곡음(雙溪九曲吟)에 화답한 절구 열 수(又和雙溪九曲吟十絶) = 59
    • 다산사(茶山詞) 봉안(奉安)시의 운에 차운함(次茶山詞奉安韻) = 61
    • 입춘 때 불사(佛寺)에서 마침 무은(霧隱)과 이야기한 시 두 수(佛寺立春會話霧隱二首) = 62
    • 유유자적하면서(自遺) = 63
    • 송경 회고(松京懷古) = 63
    • 선죽교(善竹橋) = 64
    • 만월대(滿月臺) = 64
    • 화석정(花石亭) = 64
    • 동암(桐庵) 서경문(徐景文)의 화산정사(華山精舍)운에 차운함(次徐桐庵景文華山精舍韻) = 65
    • 또 십경(十景)에 차운함(又次十景) = 65
    • 자성(子成) 최옥(崔옥)의 용담정사(龍潭精舍)의 운에 차운함(次崔子成옥龍潭精舍韻) = 68
    • 또 차운한 이십육영(又次二十六詠) = 68
    • 가을에 느낀 바 있어(感秋) = 74
    • 계유년 가을 이광뢰(李廣瀨) 건지(健之) 야순(野淳)이 나를 찾아 왔는데, 내가 마침 외출중이라 만나지 못하고 갔다. 올해년 가을에 또 운을 보내니 망도(望道) 사온(士溫) 한보(漢寶) 제족과 더불어 화답하다.(癸酉秋 李廣瀨健之野淳訪余而來 余適出外 不遇而去 乙亥秋 又送韻 興望道士溫漢寶諸族和之) = 80
    • 건지(健之)의 운을 사용하여 유상(有常) 이동항(李東恒)형과 경승(景升)동문(東文)에 화답함(用健之韻 奉和李兄有常東파景升東文) = 81
    • 또 두 형에게 화답함(又和二兄) = 81
    • 설파(說破)의 운을 받들어 화답함(奉和雪坡韻) = 82
    • 기현(기縣)에서 자고 다음날 바다를 구경함(宿기縣 翼日觀海) = 82
    • 만귀정(萬歸亭) 판(板) 위의 운에 차운함(次萬歸亭板上韻) = 83
    • 지평(持平) 성응(聖應) 이근오(李覲吾)의 석천정(石川亭)운에 차운함(次李持平聖應覲吾石川亭韻) = 83
    • 국역 감화집 제2권
    • 시(詩)
    • 퇴겸(退兼) 최사진(崔思晉)의 「성학십도(聖學十圖)」에 차운하여 읊다.(次崔退兼思晉星學十圖吟) = 85
    • 친구가 목단을 부쳐 온 것에 감사하며(謝友人牧丹見寄) = 88
    • 목단을 심으며 지은 세 수(栽牧丹三首) = 88
    • 향나무를 심으며(栽香) = 89
    • 작약을 옮기며(移芍藥) = 89
    • 진사(進士) 한 천약(韓天若) 문건(文健)에게 받들어 화답한(奉和韓上舍天若文健) = 89
    • 이 성응(李聖應)에게 받들어 화답함(奉和李聖應) = 90
    • 이군(李君)은 형(殷衡)이 꿈에 김 각간(金角干)을 보았다는 말을 듣고 대략 서투른 말을 엮어서 창수함(聞李君殷衡夢見金角干說 略구拙語以酬) = 91
    • 이 성응(李聖應)에게 수창한 네 수(酬李聖應四首) = 91
    • 봄이 와 만물이 생기가 나니(春來物物好) = 92
    • 4월 18일 보고를 듣고 기뻐서 절구 두 수를 읊다.(聞四月十八日報 喜詠二節) = 93
    • 가뭄을 근심하며(悶旱) = 93
    • 구강(鷗江)의 배 속에서(鷗江舟中) = 94
    • 학성(鶴城)의 달에게 장난으로 지어 주다.(戱贈鶴城月) = 94
    • 좌막(佐幕) 이덕영(李德永)에게 장난으로 부치다.(戱寄李佐幕德永) = 94
    • 오도(烏島)에서 돌아오는 길에 서곽(西郭) 이기응(李箕應)에게 만들어 화답하다.(烏島歸路 奉和西郭李箕應) = 95
    • 고라현(古羅峴)에서 창려(蒼廬) 사온(士溫) 정기(鼎基)에게 화답함(古羅峴和蒼廬士溫鼎基) = 95
    • 행정(杏亭) 지한(之翰)에게 수창하다.(酬杏亭之翰) = 95
    • 주왕산(周王山)에서 운을 뽑아 한 절구를 지음(周王山拈韻一絶) = 96
    • 가암(佳巖)에서 돌아오는 길에 비를 만나 말 위에서 읊다.(佳巖歸路遇雨 馬上口號) = 96
    • 율리(栗里)에서 비에 막혀 매산집(梅山集)에 차운하다.(滯雨栗里次梅山集韻) = 96
    • 귀양간 참의(參議) 홍시제(洪時濟)에게 줌(贈洪參議時濟謫中) = 97
    • 관동 임지로 가는 도사(都事) 최인간(崔仁簡)에게 주다.(贈崔部事仁簡之任關東) = 97
    • 족제(族弟)에게 주어서 명령을 정병(鼎秉)이 유배가 있는 곳에 전하게 하다.(贈族弟而執令鼎秉謫所) = 98
    • 오월 십일 홀로 후원을 거닐다 음죽(음竹)이 죽간(竹竿)을 밀어내는 것을 보고 기뻐하며(五月十日獨步後庭喜음竹抽竿) = 98
    • 을해년 봄 절에 있으면서 무은(霧隱)에 화답하다.(乙亥春寓佛寺和霧隱) = 99
    • 또 읊음(又) = 99
    • 수암(壽庵)에서 명응(鳴應) 남봉양(南鳳陽)을 기다리나 이르지 않다.(壽庵待南鳴應鳳陽不至) = 100
    • 명응(鳴應)이 이른 것을 기뻐하며(喜鳴應至) = 101
    • 산사(山寺)에서 소일하며(山寺遺悶) = 102
    • 손자가 배움을 게을리함을 꾸중하다.(責孫兒懶學) = 102
    • 속언(俗言)에 이르기를, 2월 20일에 비 내리면 풍년 든다 했는데, 올해 이날 과연 비가 내려, 기쁜 마음에 한 수 지어 이 다음에 확인해 볼 것에 대비한다.(俗云, 二月二十日雨, 其兆爲豊, 今年是日果雨, 喜題一首, 以備後來之驗) = 103
    • 산중에서 즉흥적으로 지음(山中卽事) = 103
    • 광목암(光目庵)에서 노닐며(遊光目庵) = 104
    • 물레방아(水대) = 104
    • 까마귀를 미워하며(憎烏) = 105
    • 가암(稼庵) 치옥(穉玉) 최수(崔琇)와 함께 향산(香山)시 「춘심(春深)」 운에 차운한 다섯 수(與崔稼庵玉琇 次香山詩春深韻 五首) = 106
    • 향산(香山)의 시 「난망주(難忘酒)」 운에 또 차운한 다섯 수(又次香山詩難忘酒韻五首) = 107
    • 향산(香山)운에 또 차운한 다섯 수(又次香山韻五首) = 109
    • 수암(壽庵)에서 가암(稼庵)을 송별하며(壽庵送別稼庵) = 111
    • 최경심(崔景深)·정사양(鄭士揚)·최퇴겸(崔退兼)·남명응(南鳴應)·제우(諸友)의 방문을 받은 것에 감사하여(謝崔景梁鄭士場崔退兼南鳴應諸友見訪) = 111
    • 여러 친구와 더불어 학성(鶴城)에서 놀고 막 화산(華山)의 읍정료(읍淸遼)에 이르다.(因與諸友遊鶴城 初到華山읍淸遼) = 112
    • 연못(池塘) = 112
    • 효문동(孝門洞) = 113
    • 월봉암(月峯庵) = 113
    • 어풍대(御風臺) = 114
    • 구강(鷗江)의 애우당(愛友堂)에서(鷗江愛友堂) = 114
    • 구원(鷗院)에서 여러 벗들과 송별하다.(鷗院贈別諸益) = 114
    • 문정(汶亭)에서 또 최경심(崔景深) 정사양(鄭士揚)과 이별하다.(汶亭又別崔景深鄭士揚) = 115
    • 나물을 먹으면서(咬菜) = 116
    • 시통(詩筒)을 읊음(題詩筒) = 116
    • 필통을 읊음(詠筆筒) = 116
    • 서행(西行)의 귀로에 신녕(新寧)의 경계에 들어갔는데, 화산(華山) 주막에서 비를 만나 횡당(횡堂)에서 유숙하다.(西行歸路 入新寧界 遇雨華山店 就宿횡堂) = 117
    • 삼가 향음례(鄕飮禮)운에 차운하여 부윤(府尹) 이채(李采)에게 수장하다.(謹次鄕飮禮韻 奉酬李府尹采) = 117
    • 부윤(府尹) 이덕현(李德絃)을 전송하며(奉餞李府尹德鉉) = 118
    • 동각(東閣)의 매화 화분을 읊어 부윤(府尹) 이로(李潞)에게 드리다.(詠東閣盆梅 奉呈李府尹潞) = 119
    • 남루(南樓)의 운을 받들어 화답한 두 수(奉和南樓韻二首) = 119
    • 임기를 마치고 돌아가는 부윤(府尹) 이로(李潞)를 전별하며(奉신李尹潞瓜歸) = 120
    • 남명응(南鳴應) 형제와 함께 선동(仙洞)에 갔다가 비가 내려 문정(汶亭)에 머물면서 '장(長)'자 운을 부르다.(與南鳴應兄弟 作仙洞行 滯雨留汶亭 呼辰字) = 121
    • 비 갠 후 선동(仙洞)으로 향하면서 말 위에서 읊다.(雨晴後向仙洞 馬上口呼) = 121
    • 율리(栗里)의 문회(文會)에서 김군(金君) 한영(漢瑛)에게 창수함(栗里文會酬金君漢瑛) = 122
    • 또 연(煙)자 운에 화운함(又和煙字) = 122
    • 신계(新溪)에서 돌아오는 길에 남 명응(南鳴應)과 함께 문정(汶亭)에서 자면서 지은 두 수(新溪歸路 與南鳴應宿汶亭 二首) = 122
    • 문정(汶亭)의 시축(詩軸)에 있는 운에 차운함(次汶亭軸中韻) = 123
    • 무인년 원일(元日)에 무은(霧隱)에 화답함(戊寅元日和霧隱) = 124
    • 입춘에 족제(族弟) 향와(香窩) 정진(鼎搢)과 함께 읊음(立春和族弟香窩鼎搢韻) = 124
    • 율리(栗里) 서재에서 여러 벗과 함께 창수함(栗里書齋與諸益唱酬) = 124
    • 운주산(雲住山)교제 모임에서 운을 뽑아 함께 읊음(雲住山居接會拈韻共賦) = 125
    • 늙은이와 함께 이야기를 함(耆老同話) = 125
    • 운주산(雲住山) = 126
    • 기상인(琦上人)이 표창려(瓢蒼廬)에 기숙하여 각 한 수씩 지어 줌(琦上人寄瓢蒼廬 各贈一栗) = 126
    • 세덕사(世德祠)에서 창수함(世德詞唱酬) = 127
    • 서 청여(徐淸汝)의 만포정(晩浦亭)운에 차운함(次徐淸汝晩浦亭韻) = 127
    • 가을 밤에 두보(杜甫)의 시가 생각나 누(樓)자 운을 얻어 읊음(秋夜憶杜詩得樓字) = 127
    • 달 뜬 저녁(月夕) = 128
    • 국화를 완상하며(賞菊) = 128
    • 악부(樂府) 주이곡(舟移曲)을 보고 느껴서(觀樂府舟移曲有感) = 128
    • 황창무(黃昌舞) = 129
    • 반도무(蟠桃舞) = 129
    • 처용무(處容舞) = 129
    • 서당에서 우연히 읊음(書堂偶吟) = 129
    • 스스로 애도하며(自悼) = 130
    • 동지에 읊음(冬至吟) = 130
    • 이동지(李同旨)의 수연(壽宴)운에 차운하는 두 수(次李同旨壽宴韻二首) = 130
    • 인와(忍窩) 이술현(李述賢)의 나이가 여든 셋인데도 오히려 건강하자 오죽(烏竹) 지팡이를 주고 장난삼아 절구 한 수를 지어 주다. (忍窩李丈述賢年至八十三 尙康健 寄烏竹杖 戱呈一絶) = 131
    • 신조겸(申祖謙)에게 줌(贈甲祖謙) = 131
    • 오수헌(午睡軒) 김흥석(金興錫)에게 줌(贈午睡軒金興錫) = 131
    • 용현(龍見) 윤현(尹見)의 수연석(壽宴席) 운에 차운함(次尹龍見俔壽席韻) = 132
    • 구암(懼庵) 이수인(李樹仁) 어른의 중추(中樞)의 수연(壽宴) 운에 차운함(次懼庵李丈樹仁中樞壽宴韻) = 132
    • 향와(香窩)의 둘째 아들 연상(淵祥)의 「문희연(聞喜宴)」 운에 차운함(次香窩二郞淵祥聞喜宴韻) = 133
    • 또 중추원(中樞院) 경연(經筵) 운에 차운함(又次中樞慶宴韻) = 133
    • 양동서사(良洞書社)에서 여러 노인과 이별하면서 지어 드림(良洞書社贈別諸老) = 134
    • 앞 시의 운을 거꾸로 써서 지음(回頭韻) = 134
    • 또 앞의 운자를 섞어 써서 읊음(又錯用前韻) = 135
    • 헤어질 때가 되어 또 동(東)자 운으로 읊음(臨分又拈東字) = 135
    • 절의 문회(文會)자리에서 바치고 화답을 구하다(지園文會席奉呈求和) = 136
    • 권공진(權公晉)에게 화답함(和權公晉) = 136
    • 작은 손자가 형을 부를 때 둘째·셋째라 하니 그걸 나무라는 손님이 있어 내가 해명함(小孫兒呼其兄 第二第三 客有非之者 余解之) = 137
    • 병자년 유월에 평려(平廬)·한보(漢寶) 정경(鼎炅)·남려(南廬)·망도(望道) 정엄(鼎儼)·자언(自彦)·형원(亨遠)등 여러 친족과 함께 말고삐를 가지런히 하고 학성(鶴城)에 이르러 송정(松亭)과 화산(華山)의 구정(鷗亭)과 삼일당(三一堂)에서 놀다.(歲赤鼠六月與平廬漢寶鼎炅 南廬望道鼎假 自彦 亨遠 諸族 聯비 到鶴城 遊松亭華山鷗亭三一堂) = 137
    • 삼일당(三一堂) = 137
    • 장난삼아 훈보(勳甫) 이운협(李運협)에게 차운함 戱次李勳甫運協) = 138
    • 석계(石溪)의 운에 차운하여 이 성응(李聖應)에게 드림(次石溪韻贈李聖應) = 139
    • 또 화암(花庵)의 운에 차운함(又次花庵韻) = 139
    • 남명응(南鳴應)과 더불어 남쪽에 놀러가서 창수함(與南鳴應南遊唱酬) = 140
    • 섬계(剡溪)에서 교동(校洞)으로 가면서(自剡溪向校洞) = 141
    • 교동(校洞)에서 돌아오는 길에 세 수를 읊음(校洞歸潞三首) = 142
    • 어른들과 불국사(佛國寺)에서 노닐면서(同長老遊佛國) = 143
    • 가암서사(佳巖書社)에서 비를 만나 여러 벗과 창수함(遇雨佳巖書社 與諸益唱酬) = 143
    • 우연히 읊음(偶吟) = 144
    • 원숭이를 탄심함(歎猿) = 144
    • 겨울 밤에 읊음(冬夜吟) = 144
    • 홍역의 처방을 읊음(疹方吟) = 145
    • 백촌(白邨) 충의공(忠毅公) 김문기(金文起)의 방한시(放한詩)에 삼가 차운함(謹次白邨金忠毅公文起放한詩韻) = 145
    • 이군(李君) 수상(綬常)의 선조(先祖) 다섯 효자의 전(傳)뒤에 기록함(題李君綬常先世五孝子傳後) = 146
    • 김효자(金孝子) 행록(行錄)뒤에 씀(題金孝子行錄後) = 147
    • 또 칠언시 한 구절(又七言一絶) = 147
    • 여사(餘沙)의 사인(士人)이 봉래산(蓬萊山) 학성(鶴城)에서 나에게 들렀다 가기에 두 수를 읊어 줌(餘沙士人自蓬萊鶴城過余臨去 吟贈二首) = 147
    • 봉래산(蓬萊山) 가는 네 벗을 전송하면서(送四友之蓬萊) = 148
    • 이 자옥(李子玉) 언호(彦灝)에게 받은 것에 수창함(酬李子玉彦灝見寄) = 149
    • 장효자(張孝子) 정려(旌閭)운에 차운함(次張孝子旌閭韻) = 149
    • 국역 감화집 제3권
    • 시(詩)
    • 정무공(貞武公) 최 선생께 나라에서 제사를 내릴 때의 운에 삼가 차운함(謹次貞武公崔先生賜祭時韻) = 151
    • 참의에 추증된 이공(李公) 몽성(夢星)의 비문의 운에 차운함(贈參議李公夢星立石韻) = 152
    • 지연 정사(止淵精舍)에서의 문회(文會)때 수창함(止淵精舍文會時唱酬) = 152
    • 화계 서사(花溪書社)에서의 문회 때 문집 중의 운자를 차운함(花溪書社文會時拈集中韻) = 153
    • 최 자성(崔子成)에게 화답함(和崔子成) = 153
    • 구산 서원(龜山書院)에서 수창함(龜山書院唱酬) = 154
    • 용담(龍潭)에서 수창함(龍潭唱酬) = 154
    • 오후에 용담(龍潭)에서 쉬고 다시 제락당(濟樂堂)에서 잠(午憩龍潭更宿濟樂堂) = 155
    • 화계(花溪) 유공(柳公) 의건(宜健)의 비문의 운에 추가로 차운함(追次花溪柳公宜健立石韻) = 155
    • 손홍구(孫弘九)어른의 회혼(回婚)을 경하하는 자리의 운에 추가로 차운함(追次孫丈弘九回婚慶席韻) = 156
    • 구충당(求忠堂) 이공(李公) 의립(義立)의 유사 뒤에 씀(題求忠堂李公義立遺事後) = 156
    • 임오년 입춘에 문정(汶亭)에서 문회를 엶(壬午立春設文會于汶亭) = 157
    • 계미년 섣달 그믐날 밤(癸未除夕) = 157
    • 문정(汶亭)에 모여 옛 일을 이룩함(汶亭會踵成故事) = 158
    • 병중에 부질없이 읊음 2수(病中만詠二首) = 158
    • 달성관(達城관)의 성대한 모임에서 한 연(聯)을 지어 금당(金塘) 이 사겸(李士謙)에게 줌(盛會達城관拈一聯與塘李士謙) = 159
    • 복시(覆試)가 끝난 뒤 이별할 때의 운에 따라(覆試後臨別拈韻) = 159
    • 충주(忠州) 단월(丹月)을 지나다 우연히 읊음(過忠州丹月偶吟) = 160
    • 다시 지나다 느낀 점이 있어(重過有感) = 160
    • 골굴(骨窟)을 읊음(骨窟吟) = 161
    • 서당에서의 강회 때 읊음(書堂講會吟) = 161
    • 눈을 읖음(詠雪) = 162
    • 괴로운 비(苦雨) = 162
    • 노끈 꼬는 일을 읊음(索繩吟) = 162
    • 정축년 봄에 한보(漢寶)가 악원(岳院)의 장석(長席)으로 가다가 중간에 마침 병이 나 부(府)의 관저에서 머물며 요양을 했으나 곧바로 몸이 회복되지 않아 교체되어 달려가며 지은 작은 시(丁丑春漢寶以岳院長席行到中路適憂銜궐仍留府邸調治未卽궁診替走小詩) = 163
    • 불국사에서 옛날을 회고하며(佛寺懷古) = 164
    • 산사에서 중양월(重陽月)에 벗을 기다리며 회포를 적음(山寺重陽月待友人書懷) = 164
    • 용천동(龍川洞) 의창 서사(議創書社)(龍川洞議創書社) = 165
    • 상사(上舍) 최익지(崔翊之) 기영(祈永)의 와룡암(臥龍庵)운에 차운함(次崔上舍翊之祈永臥龍庵韻) = 165
    • 남명응(南鳴應)·최익지(崔翊之)와 함께 술을 가지고 월성(月城)에서 노닐다가 '뇌(雷)'자를 가지고 화답을 구함(與南鳴應·崔翊之휴酒遊月城拈雷字求和) = 166
    • 진사 최붕원(崔鵬遠)의 용강(龍岡)의 운에 차운함(次崔進士鵬遠龍岡韻) = 166
    • 남초(南草)를 읊음(南草吟) = 167
    • 재종 동생 정자(正字) 구보(九甫) 만사(挽再從弟正字九甫) = 172
    • 남상사(南上舍) 만사(挽南上舍) = 173
    • 족형 대헌공(大憲公) 정규(鼎揆) 만사 2수(挽族兄大憲公鼎揆 二首) = 173
    • 족형 참의공(參議公) 만사(挽族兄參議公) = 174
    • 상사(上舍) 남척장(南戚丈) 경채(景采) 만사 2수(挽南上舍戚丈景采 二首) = 175
    • 치암(癡庵) 남척형(南戚兄) 만사 3절(挽癡庵南戚兄 三絶) = 175
    • 족형 정채(鼎采) 만사(挽族兄鼎采) = 176
    • 장사현(蔣士顯) 석민(錫民) 만사(挽蔣士顯錫民) = 177
    • 최이보(崔而輔) 만사(挽崔而輔) = 177
    • 이학수(李學수) 운현(運賢) 만사(挽李學수運賢) = 178
    • 족형 경도(耕道) 정임(鼎任) 만사(挽族兄耕道鼎任) = 181
    • 종군(宗君) 수찬(修撰) 선장(善長) 만사(挽宗君修撰善長) = 181
    • 신조겸(申祖謙) 만사 3절(挽申祖謙 三絶) = 182
    • 손명여(孫明汝) 치동(致東) 만사 2수(挽孫明汝致東 二首) = 182
    • 최경지(崔景至) 만사(挽崔景至) = 183
    • 집안 동생 정건(鼎健) 만사(挽舍弟鼎健) = 184
    • 손장(孫丈) 홍구(弘九) 만사(挽孫丈弘九) =184
    • 김장(金丈) 휘조(輝祖) 열경(悅卿)만사(挽金丈輝祖悅卿) = 184
    • 족제 한보(漢寶) 만사(挽族弟漢寶) = 185
    • 족질 백심(伯心) 관상(觀祥) 만사(挽族姪伯心觀祥) = 186
    • 족질 심와(深窩) 정제(鼎濟) 만사(挽族弟深窩鼎濟) = 186
    • 최 성집(崔聖執) 사건(思健) 만사(挽崔聖執思健) = 187
    • 족질 차야(次野) 만사(挽族姪次野) = 193
    • 족제 형숙(亨叔) 만사(挽族弟亨叔) = 193
    • 인와(忍窩) 이장(李丈) 만사(挽忍窩李丈) = 194
    • 구암(懼庵) 이장(李丈) 만사(挽懼庵李丈) = 194
    • 임지국(任持國) 만사(挽任持國) = 195
    • 임중약(任仲若) 만사(挽任仲若) = 195
    • 윤용현(尹龍見) 만사(挽尹龍見) = 196
    • 장유백(張儒伯) 만사 3절(挽張孺伯 三絶) = 196
    • 장선여(蔣先予) 일민(逸民) 만사(挽蔣先予逸民) = 197
    • 질암(質庵) 최 중온(崔仲온) 벽(璧) 만사(挽崔質庵中온璧) = 197
    • 박문일(朴文一) 만사(挽朴文一) = 198
    • 한덕능(韓德能) 만사(挽韓德能) = 198
    • 정광복(鄭光復) 만사(挽鄭光復) = 199
    • 홍우룡(洪宇龍) 만사(挽洪宇龍) = 199
    • 이진환(李震煥) 만사(挽李震煥) = 200
    • 석가산(石假山) 연구(聯句)(石假山 聯句) = 200
    • 옥성루(玉成樓) 영춘회(迎春會) 연구(聯句)(玉成樓迎春會聯句) = 206
    • 시축(詩軸)에 있는 '귀(歸)'자의 운을 써서 평량자(平凉子)에게 줌(贈平凉子軸中歸字韻) = 215
    • 가(歌)
    • 구암정 산수가(龜巖亭山水歌) = 218
    • 서(書)
    • 방백(方伯) 김노응(金魯應)에게 줌(與金方伯魯應) = 223
    • 이성응(李聖應)에게 줌(與李聖應) = 224
    • 백형(伯兄)께 울림(上伯兄) = 225
    • 이성응에게 줌(與李聖應) = 225
    • 생질 최세칭(崔世秤)에게 답함(答甥姪崔世秤) = 226
    • 국역 감화집 제4권
    • 기(記)
    • 봉사 손공 부인 최씨 정려각 중수기(奉事孫公配崔氏旌閭重修記) = 229
    • 암재기(巖齋記) = 232
    • 영광정기(影光亭記) = 233
    • 구암서당기(龜巖書堂記) = 234
    • 불능암기(不能巖記) = 237
    • 감화정기(甘華亭記) = 240
    • 장효자 정려 중수기(張孝子旌閭重修記) = 243
    • 기몽(記夢) = 245
    • 몽란기(夢蘭記) = 245
    • 발(跋)
    • 구충당시발(求忠堂詩跋) = 247
    • 향약조목후발(鄕約條目後跋) = 248
    • 서주서절요초후(書朱書節要抄後) = 250
    • 서낙육재동연록후(書樂育齋同硏錄後) = 252
    • 서김효자행록권수(書金孝子行錄卷首) = 252
    • 구사시판 소지(龜社詩板小識) = 256
    • 설(設)
    • '인신(忍愼)' 두 글자에 대한 설을 친척 이 화지(李和之)에게 줌(忍愼二字說贈李戚和之) = 258
    • 찬(贊)
    • 거울 속의 초상을 보고서 자찬(自贊)함(鏡中得肖像因自贊) = 260
    • 명(銘)
    • 안경명(眼鏡銘) = 261
    • 잡저(雜著) = 262
    • 자결(字訣) = 262
    • 자경(自警) = 263
    • 수재 이수준(李秀駿)에게 줌(贈李秀才秀駿) = 264
    • 심경 강의(心經講義) = 264
    • 정림은 심학도 운운(程林隱心學圖云云) = 265
    • 도심위주 인심청명 운운(道心爲主人心聽命云云) = 267
    • 왕 노재 인심도심도 운운(王魯齋人心道心圖云云) = 268
    • 경이직내 의이방외 운운(敬以直內義以方外云云) = 268
    • 부주단서 운운(附註丹書云云) = 269
    • 자절사주 운운(子絶四註云云) = 270
    • 횡거 연원 운운(橫渠淵源云云) = 270
    • 안연 중궁 지위 운운(顔淵仲弓地位云云) = 271
    • 계신호기소부도 운운(戒愼乎其所不覩云云) = 272
    • 조 치도 성기도 운운(趙致道誠幾圖云云) = 273
    • 정심장부주 기사기심 운운(正心章附註幾事幾心云云) = 274
    • 공자외광인 문왕수유리 운운(孔子畏匡人文王囚유里云云) = 274
    • 독립공문 운운(獨立孔門云云) = 275
    • 사거달거 운운(舍去達去云云) = 276
    • 주자왈 모지병다재분치 운운(朱子曰某之病多在忿치云云) = 276
    • 오통신 하신 운운(五通神何神云云) = 278
    • 예악불가사수거신 운운(禮樂不可斯須去身云云) = 278
    • 부주편벽 운운(附註鞭벽云云) = 279
    • 삼국지 조조유령 운운(三國誌曹操遺令云云) = 280
    • 이천물배소상 운운(伊川勿背塑像云云) = 280
    • 군자반정장 부주동명 운운(君子反情章附註東銘云云) = 281
    • 군자락득기도장 주회두착 운운(君子樂得其道章註回頭錯云云) = 282
    • 공자불열심 운운(公子不說心云云) = 282
    • 시인함인장 운운(矢人函人章云云) = 283
    • 우산장 부주 허 순지서심담박 운운(牛山章附註許順之棲心淡泊云云) = 284
    • 서산왈 경정위일 운운(西山曰敬靜爲一云云) = 284
    • 인인심야장 소주 운운(仁人心也章小註云云) = 285
    • 서산왈 공문지언인 운운(西山曰孔門之言仁云云) = 286
    • 동중서불모기리 운운(董仲舒不謀其利云云) = 286
    • 범 난계 순척도 운운(范蘭溪舜척圖云云) = 287
    • 정자 동잠왈 습여성성 운운(程子動箴曰習與成性云云) = 287
    • 삼위삼재 운운(參爲三才云云) = 288
    • 경재잠 운운(敬齋箴云云) = 289
    • 존덕성 도문학 운운(尊德性道問學云云) = 290
    • 서산출처 운운(西山出處云云) = 290
    • 책제(策題) = 291
    • 책제(策題) = 294
    • 유주왕산록(遊周王山錄) = 297
    • 국역 감화집 제5권
    • 축문(祝文)
    • 봉산사 우락재 최공 동보 봉안문(鳳山祠憂樂劑崔公東輔奉安文) = 301
    • 상향 축문(常享祝文) = 302
    • 제문(祭文)
    • 족형(族兄) 대헌공(大憲公)께 제사하는 글(祭族兄大憲公文) = 303
    • 종군(宗君) 수찬(修撰) 선장(善長)에게 제사하는 글(祭宗君修撰善長文) = 305
    • 족제(族弟) 한보(漢寶)에게 제사하는 글(祭族弟漢寶文) = 306
    • 족숙(族淑) 계보(啓甫) 헌건(憲鍵)께 제사하는 글(祭族叔啓甫憲鍵文) = 308
    • 상사(上舍) 손성악(孫星岳)께 제사하는 글(祭孫上舍星岳文) = 310
    • 상사(上舍) 정경(鄭炅)께 제사하는 글(祭鄭上舍炅文) = 312
    • 상사(上舍) 이술현(李術賢)께 제사하는 글(祭李上舍術賢文) = 314
    • 감역(監役) 이수인(李樹仁)께 제사하는 글(祭李監役樹仁文) = 315
    • 정언(正言) 남경희(南景羲)께 제사하는 글(祭南正言景羲文) = 317
    • 칠원(漆原) 최성회(崔聖會) 심건(心健)께 제사하는 글 (祭崔漆原聖會心健文) = 320
    • 최치옥(崔穉玉)께 제사하는 글(祭崔穉玉文) = 322
    • 손명여(孫明汝)께 제사하는 글(祭孫明汝文) = 324
    • 최경지(崔景至)께 제사하는 글(祭崔景至文) = 325
    • 임지국(任持國)께 제사하는 글(祭任持國文) = 326
    • 종숙부(從叔父) 처사공(處士公) 헌질(憲質)께 제사하는 글(祭從叔父處士公憲質文) = 328
    • 재종형 정태(鼎台)께 제사하는 글(祭再從兄鼎台文) = 330
    • 재종제 정간(鼎幹)에게 제사하는 글(祭再從弟鼎幹文) = 332
    • 백형 처사공(處士公)께 제사하는 글(祭伯兄處士公文) = 333
    • 중형 처사공께 제사하는 글(祭仲兄處士公文) = 335
    • 죽은 동생 정건(鼎健)에게 제사하는 글(祭亡弟鼎健文) = 336
    • 죽은 자식 노상(老祥)에게 제사하는 글(悼亡子老祥文) = 338
    • 상량문(上樑文)
    • 구암서당 상량문(龜巖書堂上樑文) = 339
    • 봉산사 묘우 상량문(鳳山祠廟宇上樑文) = 342
    • 임중소(任仲素) 회(繪)의 사제(私第) 상량문(任仲素繪私第上樑文) = 346
    • 전(傳)
    • 월성이씨오효자전(月城李氏孝子傳) = 350
    • 묘갈명(墓碣銘)
    • 우헌 정공 묘갈명 병서(愚軒鄭公墓碣銘 幷序) = 355
    • 증통정대부 공조 참의 이씨 묘갈명 병서(贈通政大夫工曹參議李公墓碣銘幷序) = 359
    • 국역 감화집 제6권
    • 부록(附錄)
    • 가장(家狀) = 363
    • 행장(行狀) = 367
    • 묘갈명 병서(墓碣銘 幷序) = 370
    • 비음소지(碑陰小識) = 373
    • 만사(挽詞)
    • 이헌석(李憲錫)의 만사 = 373
    • 이정진(李鼎搢)의 만사 = 374
    • 이정엄(李鼎儼)의 만사 = 374
    • 이정관(李鼎寬)의 만사 = 375
    • 이정기(李鼎基)의 만사 = 375
    • 이정병(李鼎秉)의 만사 = 376
    • 이택상(李宅祥)의 만사 = 376
    • 이악상(李岳祥)의 만사 = 376
    • 이건상(李健祥)의 만사 = 377
    • 이갑상(李甲祥)의 만사 = 378
    • 남봉양(南鳳陽)의 만사 = 381
    • 최옥(崔옥)의 만사 = 383
    • 이근오(李覲吾)의 만사 = 385
    • 최인락(崔仁樂)의 만사 = 386
    • 남경우(南景愚)의 만사 = 386
    • 남홍양(南鴻陽)의 만사 = 387
    • 임상계(任尙啓)의 만사 = 387
    • 손윤구(孫綸九)의 만사 = 388
    • 한문건(韓文健)의 만사 = 388
    • 최석현(崔錫賢)의 만사 = 389
    • 최기영(崔祈永)의 만사 = 389
    • 유상익(柳相翼)의 만사 = 390
    • 최숙(崔琡)의 만사 = 390
    • 임목(任목)의 만사 = 390
    • 장연학(張淵學)의 만사 = 391
    • 손성위(孫星渭)의 만사 = 391
    • 이수자(李樹滋)의 만사 = 392
    • 최사엄(崔思儼)의 만사 = 393
    • 임정(任楨)의 만사 = 394
    • 김퇴(金퇴)의 만사 = 394
    • 이복한(李復漢)의 만사 = 395
    • 윤병항(尹秉恒)의 만사 = 395
    • 윤병이(尹秉이)의 만사 = 396
    • 주채약(朱采若)의 만사 = 397
    • 이기택(李箕宅)의 만사 = 398
    • 이복응(李復膺)의 만사 = 398
    • 이복륜(李復倫)의 만사 = 398
    • 김성두(金聲斗)의 만사 = 399
    • 최세형(崔世衡)의 만사 = 399
    • 최위(崔瑋)의 만사 = 400
    • 안태중(安泰重)의 만사 = 400
    • 최붕원(崔鵬遠)의 만사 = 401
    • 이효영(李孝永)의 만사 = 401
    • 이관영(李觀永)의 만사 = 402
    • 최사득(崔思得)의 만사 = 402
    • 임치언(任致彦)의 만사 = 403
    • 김의련(金宜練)의 만사 = 404
    • 이언기(李彦基)의 만사 = 404
    • 이서택(李書宅)의 만사 = 406
    • 최종설(崔宗卨)의 만사 = 408
    • 최세칭(崔世秤)의 만사 = 410
    • 문집후소지(文集後小識) = 412
    • 발(跋) = 414
    • 원본 영인(原本 影印) = 417
    • 후기(後記) = 5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