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조선시대 ‘海美邑城’의 축성과 기능변천 : 충청병영성에서 호서좌영으로 = Fortification of 'Haemieupsung' and its Functional Chages in Joseon Dynas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3-104(32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본 논문은 사적 제 11 6호로 지 정 되어 있는 ‘해미읍성’의 축성 과 규모, 조선시대 전·후기의 기 능변화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충청도 내포지 역에 위치한 ‘해미 읍성 ’은 원래 고을 치소성인 읍성으로 축성된 것이 아니고, 충청 병여성으로 축조된 것이다. 해미의 충청병영성은 여말선초 잦은 왜구의 출몰을 경험했던 조선초기에 내포의 외적 방어 중심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세워진 것이다. 태종은 순성된 강무를 통해 직접 이곳을 돌아보고 병여성 축성의 적지를 살펴보았다. 늦어도 세종 3년(1421)까지는 병영성이 완성되었으며, 그 규모는 하삼도의 다른 내성성에 비해 조금도 손색이 없는 것이었다.
해미 의 병영성 에 는 수렵을 익혔기 때문에 말을 잘 타고 행동이 날렵한 신백정 이 배속되 기도 했는데,이 또한 여 말부터 내포에 자주 출몰한 왜구를 의식한 조치였다. 조선전기 해미의 충청병영성 에 는 전 입 병 마절도사와 함께 병마우후, 심약, 5 명 의 군관, 375 명 의 유방병, 수십명의 나장, 차비군,공장, 다수의 이속과 수백명의 노비가 거주하고 있었다. 이러한 병영 안에는 오륙백칸에 달한 공해와 창고가 갖추어져 있었으며, 충무공 이순신이 선조 12년(1595)에 군관으로 부임했을 뿐만 아니라, 선조 28년(1595)에 병사로 부임했던 원균의 송덕비가 세워졌던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후기에는 임진왜란을 통해 확인된 내포지역의 전략적 중요성 감소, 내포에 충청 병영과 수영이 함께 위치함으로써 야기되는 병 ·수사 지대로 인한 내포지역민의 과도한 부담 경감, 충청·감영·병영·수영이 모두 충청우도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호서좌도에 생긴 치안공백의 해결등을 위해 충청병영 이 해미에 서 청주읍성으로 이치되자 반양리에 있던 해미현 치소가 해미 의 옛 내상성 안으로 옮겨졌다. 그런데 충청벙영의 청주 이치 직후 ‘ 해미읍성’ 안의 구 병영은 실화로 소진된 바 있으며, 이 후에 도 공해 의 수축이 있었으므로,
조선후기 기록에 등장하는 해미 읍성내의 공해와 창고 등 시설물은 조선전기의 병영성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조선후기 해미읍성은 현의 치소일 뿐만 아니라, 현감이 영장 겸 토포사를 겸한 호서좌영에 해당 하였으므로 일반 관아와는 디른 기능과 문화적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해미읍성’의 발굴조사 및 정비 복원은 이와 같은 점이 충분히 고려된 상황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해미읍성’을 교육자료로 활용할 때에도 조선전 후기의 달라진 기능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changes of 'Haemieupsung', the Historic Site No.116 of National designated Cultural Assets. The existing 'Haemieupsung' is a castle of barracks in Choongchung-do, which was built between the late period of King Taejong and the early period of King Sejong in order to make preparation against the invasion of Japanese pirates into Naepo.
In the banoacks in Haemi in early Joseon, there were one Provincial Army District Commander, one Vice Army District Commander, one Simyak, five commissioned officers, 375 soldiers stayed for defense, dozens of Najangs and Chabiguns, 15 craftsmen, several lower-class public officials, and hundreds of slaves, and public buildings and warehouses with 5 ~600 compartments. In Chunghuhjeong, which was built in the barracks III the 22th year of King Seongjong (1491) and continued to exist until the mid-eighteenth century, scripts of bureaucrats, poets, and calligraphers of Joseon remained. Meanwhile, Admiral Lee Sunsin worked in the Haemi Barracks as a commissioned officer, and Won Kyun was in office as Choongchung Byungsa.
In the second year of King Hyojong (1651), the Choongchung Barracks in Haemi was transfelTed to Chungjoo, and the old balTacks in Haemi became a eupsung as the Chiso (a government office) of Haemihyun was moved into it. However, the Haemjeupsung in late Joseon was not a mere Chiso (a government office) but had it own fun ctions and cultural properties di fferent from typical government offices because it was the Hoseojoayong (a government office for Hoseo region) in which the Hyungam (a small country magistrate) of Haemi was the same time Yongjang (the head of a Yong) and Toposa (an office for cathing thieves).
The hi storical changes of Haemieupsung between the early and the late Joseon should be suffi ciently considered in the excavation,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and the use of educational material of 'Haemieupsung'.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12-0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호서사학 -> 역사와 담론외국어명 : HO-SUH SAHAK -> HISTORY AND DISCOURSE(Journal of Historycal Review)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9-29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호서사학외국어명 : HO-SUH SAHAK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6 | 0.953 | 0.1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