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학 의사소통 교육의 영속과 변천 : 레토릭, 오라토리, 스피치와 스피치 커뮤니케이션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 The Permanence and Transformation of U.S. College Communication Education: From Rhetoric, Oratory, and Elocution, to Speech, to Speech Communication, and to Communication Studies
저자
이상철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5-114(30쪽)
제공처
이 글은 18~19세기 근대 미국 대학에서 의사소통 교육이 레토릭, 오라토리와 엘로쿠션으로 소개되고, 20세기 초반에는 스피치로, 20세기 후반에는스피치에서 스피치 커뮤니케이션으로, 21세기에는 스피치 커뮤니케이션에서 커뮤니케이션으로 학문의 명칭이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현대 커뮤니케이션 학문의 정체성을 이해하고 교양교육으로서 혹은 전공 과정으로서 그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미국 독립 전후인 18세기 중반부터 대중교육이 획기적으로 확산하기 이전 1900년대까지 로마의 오라토리와 영국의 엘로쿠션 전통이 미국 대학의 의사소통 교육에 천착하고 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보며, 이러한 교육이 초기 미국식 민주주의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를 논의한다. 둘째, 19세기 후반, 루이지애나령 매입 이후 영토 확장, 새로운 이민자의 급속한 증가, 자본주의와 산업화로 인해 대중사회 출현에 맞추어 레토릭 교육이 변화하는 과정을 살핀다. 셋째, 20세기 들어와 스피치 교육이 퍼브릭스피킹을 앞세우며 대학이 소수 엘리트 교육에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검토하고 스피치의자유를 통한 시민의 권리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논의한다. 넷째,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정치 ․ 사회적 배경을 검토하며 사회과학 방법론인 정량적, 경험적, 실험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스피치라는 개념에서 스피치 커뮤니케이션으로 변하며, 학문적 관심사와 분절화가 어떻게 진행되는가를 탐구한다. 다섯째, 21세기 들어와 학문의 명칭을 스피치 커뮤니케이션에서 커뮤니케이션이라고 개정하며 대인 커뮤니케이션, 소그룹커뮤니케이션, 조직 커뮤니케이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등의 분야로 확산하면서 다른 학문과의 융합과 공생을 하는 과정을 탐색한다.
더보기This paper explores the change and continuity of communications education in contemporary American universities. Early American communication education bega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ith the words of rhetoric, oratory, and elocution. These words were transformed into speech in the early 20th century, from speech to speech communic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from speech communication to the study of communication in the 21st century. Firs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Roman oratory and the British elocution tradition developed in communication education in American universities from the mid-18th century, before and after American independence, to the 1900’s, before popular education spread dramatically. It also discusses how it relates to early American-style democracy. Second, it looks at the process of changing rhetoric education according to the emergence of mass society following territorial expansion after the Louisiana Purchase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rapid increase in new immigrants, and capitalism and industrialization. Third, in the 20th century, speech education put ‘public speaking’ at the forefront, reviewing the process of universities shifting from a minority elite education to the general public, and discussing how civil rights education through freedom of speech was achieved.
Fourth, it examines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after World War II and explores the change from the concept of speech to speech communication as researchers of quantitative, empirical, and experimental communication, which are social science methodologies, increase. And it investigates academic interests and how segmentation progresses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Fifth, in the 21st century, the name of the study was revised from speech communica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and the process of spreading to the field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mall group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nonverbal communication, and business communication is examined. It also explores convergent and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mmunication studies and other studi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