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프랑스 2D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표현력과 연출의 가능성 연구 -실뱅 쇼메의 작품을 중심으로- = The Paper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Expressiveness and Direction in France 2D animation -Focused on the works of Sylvain Chomet-
저자
최민규 (대구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3-192(10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In the recent animation industry, the most conspicuous tendency in the animation making techniques is 2D cell animation, which traditionally had been used for long, is decreasing more and more and being changed to 3D animation. It is the phenomenon of the changes that appear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which are the largely main axis in the animation industry. With the successful start of the first feature length 3D animation, <Toy Story (1995)>, which was produced by Disney's Pixar, the most theatrical animations in the United States are being produced in 3D animation and currently, it is hard to see the 2D animations. Also, the technique of the previous 2D animation, which is based on ‘Anime’ in Japan is being changed to 3D techniques or decreased gradually. Unlike this, French animation, which has continuously produced the artistic and experimental animations, has been developed its own creative artistry and acknowledged about the quality of works and popularity mainly in Europe and abroad, too,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traditional 2D animation of the experimental attempts based on the authorship, French animations have been developed the originality and expressiveness technique and recognized the artistry much different from the United States or Japan. The unique expressiveness of 2D animation that appears in the each works and the experimental direction i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France animation. In particular, led by Sylvain Chomet, the artistry and quality in 2D animation is not only successful in the homeland, but also get noticed by a significant role in the United States. The works and role of Sylvain Chomet mainly affected France 2D animation to be spotlighted in the 2000s,too. Thus, this paper intends to study the possibility about expressiveness and direction through analyzing how the classical works of Sylvain Chomet could recongnized as popularity and artistry and stays on in 3D animation industry.
더보기최근의 애니메이션산업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경향을 본다면 제작기법에 있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2D 셀 애니메이션의 제작방식들이 점차 감소하고 3D애니메이션으로의 표현기법이 전환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변화는 애니메이션 산업에서 크게 두 축을 이루고 있는 국가인 미국과 일본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디즈니의 픽사(Pixer)에서 제작한 최초의 장편 3D애니메이션 <토이스토리(Toy Story)(1995)>의 성공을 시작으로 미국의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대부분이 3D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현재의 시점에서 기존 제작방식의 2D애니메이션들을 보기란 쉽지 않다. 일본 역시 3D의 전환이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니메(Anime)’를 기반으로 한 기존의 2D애니메이션들은 제작방식이 변경되거나 조금씩 축소되고 있다. 이와는 다르게 예술적이고 실험적인 애니메이션을 지속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프랑스의 애니메이션은 미국이나 일본과는 다른, 그들만의 독창적인 예술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유럽을 중심으로 해외시장에서도 그 작품성과 대중성을 인정받으며 굳건히 애니메이션 산업의 기틀을 다져오고 있다. 전통적인 2D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작가주의 기반의 실험적인 시도를 통한 프랑스의 애니메이션들은 미국이나 일본과는 확연히 다른 독창성과 표현기법으로 애니메이션의 예술성을 인정받으며 발전해왔다. 작품마다 나타나는 독특한 2D애니메이션의 표현력과 감독의 역량이 묻어나는 실험적인 연출들은 프랑스 애니메이션이 가지는 가장 큰 특성이다. 특히 실뱅 쇼메(Sylvain Chomet)를 필두로 한 2D애니메이션들은 자국만이 아니라 미국은 물론, 해외에서도 작품성과 예술성을 인정받으며 선전하고 있다. 2000년대에 이르러서도 프랑스의 2D애니메이션이 주목받을 수 있었던 데에는 단연 실뱅 쇼메의 작품과 역할이 크게 자리 잡고 있다. 이에 실뱅 쇼메의 작품 분석을 통해 어떻게 고전적인 2D애니메이션이 디지털이 차지한 3D애니메이션 산업의 세계에서도 작품성과 대중성을 인정받으며 꿋꿋이 자리할 수 있었는지를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표현력과 연출의 가능성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9 | 0.32 | 0.52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