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서사시의 전통 양식 수용과 변용 -김지하, 서정주, 신경림의 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cception and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genre -Focused on Epic Poems of 1970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주제어
KDC
700
등재정보
미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3-78(46쪽)
제공처
This study focuses on Seo Jeong-Joo``s 『Jilmajae Myth』, Kim Jiha``s 『Five Thieves』, Shin Kyung Rim``s 『Sae-Jae』 all of which are epic poems of 1970s, and figuring out their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acception and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genre. These works have things in common in that they use forms of epic poems and apply traditional literature style. By basing on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s at the status quo, this study would figure out how these poems were written in order to find out the periodic breakthrough from old literature style which contains ethnic tradition, figure out the narrative oriented tendency, and study how the process has been made. This study is aimed at figuring out the differences between method of the era we are focusing on and the method of accepting traditional style of the former era, and find out the attempts and results of the works mentioned above which tried to escape from existing Western literature type and find out the possibility of new literature types of their own. For this, we would figure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y searching for factors of accepting the traditional style within the works, and focus more on the differences. The works dealt in this study have not only accepted traditional literature styles such as Pansori, folk songs, folk paintings, fables and succeeded them, but also used, consciously changed and perceived the styles deliberately by the authors; we would like to study on the new results these works have created. In particular, these works are the ones that could be judged as showing the possibility of self-generating avant-guard and postmodernism, since they have tried expansion of mixed imitation, parody, mix of genre, all of which show aspects of postmodernism, and tried to reach the point in which escape from modernistic aspect, in the 1970s. This study will focus deeply on these points, and figure out how the poets`` attempt after writing the works mentioned above affected other poets. From this, a suggestive meaning can be given once again by pointing out how these works, which have attempted to perform creative communication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era, have widened the possibility of literature.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