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디지털 리터러시에 관한 인식 재고(再考)와 소통을 위한 도구적 활용 = Re-recognition and Instrumental Use of Digital Literacy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저자
최혜경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3-162(3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이 연구는 차츰 비물질·비대면 형식을 매개로 접속하는 오늘날 사회의 새로운 네트워킹 도구를 설계하는 데 필요한 소통 역량을 탐색하는 데서 출발한다. 이것은 그 접속의 동력을 활용하여 학술적 층위뿐만 아니라 일상적 사회문화의 영역에서 숱한 경계로 분절된 범주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목적의식을 배경으로 한다. 즉 이 글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해 통섭과 융합적 사고를 지향하는 오늘날, 디지털 문해 역량을 특수하고 선도적인 것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미래 핵심역량으로서 디지털 리터러시가 오히려 그 유폐적 지위에 의해 사용과 접근에 있어 제한성을 지니게 됨을 언술하며,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함께 공동연구의 심화와 사회적 환원을 위한 차원에서 도구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문 분야의 분과나 연구 집단의 구성원 사이, 나아가 한국 사회의 각 로컬 사이에서 정체되어 온 단절적 소통의 양상을 활성화된 소통과 협업의 상태로 만들어 공조의 효과를 누리게 되는 것이 이 연구가 지향하는 지점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세대, 지역, 계급‧계층의 경계를 넘어 폭넓은 범위에서 오늘날의 주요한 생활자원으로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교신하고 보편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와 이 역량의 활용 공간에 주목하고 있다. 그리고 경계와 격차를 넘나드는 연대적 소통의 구조를 디지털 공간에서 구현하기 위한 방식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학술연구와 일상의 영역에서 경계를 소통의 접점으로 삼아 디지털 네트워킹 시스템의 활용을 통해 공적이고 보편적인 차원에서 선순환 가치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인지의 유효성을 타진하려 한 것이다.
그 결과, 감성 정보의 송수신 집결지로서 사이버 공간의 플랫폼을 구현한다면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성과를 일상의 삶 속에 확대하는 동시에 재귀적으로 연구 분석 데이터로 환원하는 과정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게 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 서사에 관한 디지털 정보를 빅데이터 형태로 기록·보관하고 맥락화하여 지역학 연구 또는 지역 정체성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긴다. 데이터 해석과 비평을 통해 학술·교육·일상의 장에서 경험적 지식을 교류하고 추체험을 거듭하는 과정은 디지털 리터러시라는 비물질적 역량의 영역을 넘어 신체적이고 실제적인 삶의 측면에서 구조화된 경계를 넘나드는 횡단적 수행을 한층 더 폭넓은 시공간의 축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tarts with exploring the communication capabilities necessary to design new networking tools in today's society that gradually access through non-material and non-face-to-face formats. This is set in a sense of purpos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ategories divided into numerous boundaries in the common categories of sociocultural as well as academic layers by utilizing the power of the networking. In other words,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ed the perception and perspective of digital literacy in today's convergent and interdisciplinary humanities research, while seeking an instrumental use of digital literacy in terms of deepening joint research and social expansion.
As it w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joy the effect of cooperation by turning the stagnant aspect of communication between discipline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groups into a state of activ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e reason why this article focused on digital literacy and the space to utilize this competency is to make it easier to communicate and use information as a major living resource in a wide range beyond the boundaries of generations, regions, and social classes. Therefore, in this text, the digital platform model was conceived as an implementation plan for the evolution of the chronological communication method in today's digital space, and at the same time, the focus of development and the direction of use were proposed.
Ultimatel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a digital networking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in academic research and daily life. If a platform of cyberspace is implemented as a gathering place for sending and receiving emotional information, it will be possible to use it on a daily basis and circulate it as analysis data for digital humanities research. And through this, digital information on regional narratives can be archived in the form of big data and contextualized to contribute to regional studies or regional identity research. In addition, this process will be able to expand not only digital literacy work, but also transversal performance that crosses boundaries in terms of perception to a wider axis of time and space. Another prospect that can be expected is that experiences to improve literacy skills related to digita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more diverse and closely in academic, educational, and daily fields through data interpretation and critique.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 |
202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