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1970년대 농촌 주거공간의 변화와 소비자 농민– 인테리어 공간과 텔레비전 소비를 중심으로 – = Televisions and the New Interior Space: The Transformation of Rural Housing and Farmers as Consumers in 1970s South Korea
저자
김성조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02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07-341(35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A succession of rural housing initiatives during the New Village Movement in 1970s South Korea not only altered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farmhouse and village, but also restructured the interior space of the individual hom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re-created domestic space was, most of all, a vehicle for farmers’ private consumer desires; at the same time, it served as a kind of commercial showcase where farmers as consumers were making material-cultural dynamics among themselves through the new commodities. The farmers revealed their aspiration and mutual competition for brand-new commodities inside their new homes. This aspect was in clear conflict with the farmers’ financial strain and apathy produced by the ‘modernization’ projects. However, this seeming contradiction helps account for how the New Village projects were able to advance throughout the 1970s despite the farmers’ continued complaints regarding their fatigue and hardship. Rather than simply forcing farmers to submit to state policy, a number of the New Village projects indeed depended on mobilization, not only of their labour and funds, but also of their consumer desires.
As this article illustrates, the most prominent changes of the new interior space resulted from the installation of electricity and the enlargement of house size. The spacious interior of homes with electricity was optimized to bring various cutting-edge furniture and electric home appliances. Now, the interior space of the reconstructed houses was swiftly transforming farmers into customers of a more diverse collection of commodities. A television was the most popular and overwhelming commodity, and was always positioned literally at the center of interior space and domestic life. In 1971, only 10% of farm households had a television, but by 1979 that percentage had gone up to 80%. In the midst of this television boom in the countryside, the Samsung Electronics Group established its initial business foundation. Today, Samsung Electronics is the most representative transnational corporate group in South Korea, but it was a late entry into the electronics industry of the early 1970s. Samsung sought for a way to expand its market share in the growing television consumption in the countryside, and developed marketing strategies targeting farming consumers. This article reveals that Samsung Electronics’ rapid growth in the 1970s was due to the farmers’ purchasing power. Yet, this disposable capital largely came from usurious loans offered by retailers under the façade of a burden-free instalment sale.
1970년대의 새마을 농촌주택개량사업은 농가와 마을의 외형을 바꾸는 데 그치지 않고 주택 내부의 공간도 재배치했다. 이렇게 재탄생한 농촌의 실내공간은 곧 농민들의 소비 욕망을 담는 그릇으로 기능하게 된다. 텅 빈 실내공간을 채울 각종 가전제품과 현대적 가구를 구입하면서, 이제 농부는 전통적인 의미의 생산자일 뿐만 아니라 첨단 제조업 상품의 ‘소비자’로서 등장한다.
이 논문은 기존의 새마을운동 관련 연구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1970년대 농촌주택 실내공간의 변화와 그 새로운 공간을 채워나간 구체적인 상품들, 또 이들 상품을 향한 소비 욕망의 주체로서의 농민과 제조업 자본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다. 새로운 실내공간에서 벌어지는 ‘농민 소비자들’ 사이의 관계, 이들과 텔레비전 등 첨단의 상품이 만들어내는 산업화시대 물질문화의 역동성이 주요한 논의 대상이다.
특히, 이 글은 새롭게 탄생한 주거공간 속에서도 여전히 가난했던 농민들이 최신의 상품에 대한 소비 욕망을 매우 모순적으로 경쟁하고 있는 모습에 주목한다. 이렇듯 경쟁하는 소비 욕망이 고도 산업자본주의 시대의 국가동원사업을 이끈 농민들 내부의 한 동인은 아니었을까? 이 연구는 새마을운동이 단순히 농민들에게 국가의 정책을 추수하도록 강요하며 그들의 노동력과 자본의 동원에만 의지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소비 욕망마저도 동원하고 이를 동력으로 삼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1970년대의 농민을 전통적 의미의 생산자로서 뿐만이 아닌 새로운 ‘소비자’로 바라보는 관점을 통해서 새마을운동, 한국경제성장사, 현대사회의 농민, 거대 국가계획 등의 문제에 대해 좀 더 새로운 역사학적 이해와 서술의 한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소비자 농민’이라는 시각 속에서, ‘정부와 농민’ 혹은 ‘박정희와 농민’ 사이의 평면적이며 정치화된 관계에 입각한 새마을운동 서술방식을 극복하고자 하며, 기존의 농민 배제적인 남한 경제성장사의 서술방식을 수정하고자 하며, 현대 농민의 비전형적 입체성을 드러내 헤게모니적 국가계획의 균열 지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5 | 1.15 | 1.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1 | 1.16 | 2.615 | 0.53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