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사회의 시기 및 계층간 복지국가 지지 변동에 관한 종단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Welfare Attitudes among Social Classes and across Periods in South Korea
저자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4
작성언어
Korean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39-164(26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소장기관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은 세 가지이다. 첫째, 복지국가와 관련된 주요 정책 이슈들에 대한 견해를 바탕으로 복지국가에 대한 지지와 반대를 구성하는 한국사회의 인식의 내적 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둘째, 복지국가에 대한 지지가 한국사회에서 시기적으로 변화하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셋째, 계층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토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복지국가 지지에 대한 측정과 관련해 정책관련 설문조사에서 흔히 문제가 될 수 있는 차별기능문항(differencial item function)문제의 극복과 아울러 설명변수가 결과변수에 대해 지니는 평균적 효과와 분포에 미치는 효과를 종단자료에 적용하여 검토하는 두 가지 측면에 방법론적 주안점을 두었다.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의 2007년, 2010년, 2013년의 세 차례에 걸친 복지인식 부가조사 데이터를 결합하여 활용했다. 분석은 크게 두 단계로 진행했다. 먼저 정책 인식 측정에 공간 모형(spatial model)을 적용한 기법 중에 하나인 Aldrich-McKelvey 척도법을 활용하여 복수의 관련 문항을 바탕으로 복지국가에 대한 시민의 지지를 측정했다. 다음으로 패널데이터에 대한 분위회귀분석의 적용이라고 할 수 있는 선형분위혼합모형(linar quantile mixed effect model)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사회에서 복지국가에 대한 인식의 내적 차원은 무상보육과 같은 보편적 공공서비스에 대한 지지와 의료 서비스 공급에서 시장 역할의 강조를 양끝으로 여러 정책 이슈들이 나열되는 양상을 보였다. 아울러 복지 수급자나 빈곤자와 같은 정책의 주요 대상 집단에 대한 인식도 복지국가 지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적으로 보았을 때, 복지국가에 대한 시민의 지지가 전반적인 수준에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소득과 복지지위와 같은 계층 변수의 경우 복지국가 지지의 특정 수준에서 영향력이 포착됨으로서 이들 변수의 수준 변화에 따라 복지인식의 분포가 달라지는 양상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에서 복지인식은 국가책무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국가와 시장의 역할 강조를 양극단으로 하는 스펙트럼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했다. 아울러 전반적 수준에서 점진적으로 복지국가에 대한 지지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계층에 따라 특정 수준의 분위의 변화에 따른 인식이 분포변화가 발생하는 일종의 과도기적 특성을 보인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더보기There are thre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The first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welfare attitudes and measure them in South Korea. The second i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trends in welfare attitudes. The third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lass on welfare attitudes. This study is focused in particular on the different item functioning (DIF) problem that can be found in survey studies in political and policy sciences, and focused on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period and class on the distribution as well as the mean effects of welfare attitud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ldrich -McKelvey Scaling spatial modeling for policy attitudes, and a linear quantile mixed model that is an application of quantile regression to a linear mixed effects model. This study found that the spectrum of welfare attitudes in South Korea is composed of agreement on providing free public social services such as childcare on one side and agreement on providing private social services such as medical services that require relatively more public interven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spectrum, and attitudes towards the main policy target groups such as the poor are also important in determining welfare attitud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re has been a trend of positive movement in welfare attitudes in South Korea for the past five years. Finally, this study found partial effects of social class by income level and welfare status measured by public transfer income replacement rate. Finall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are transactional characteristics to welfare attitudes in South Korea.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9 | 1.32 | 1.39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