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중국 晉商의 상업 활동에 관한 史的 연구 = A Historical Study on the Business of Jin Shang in Chin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주제어
KDC
35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9-33(25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본 논문은 중국 明, 淸시대의 민간 자유 상인으로서 최대의 商人 집단인 진상(晉商)의 상업 활동에 관한 사적(史的)연구이다.
논문의 연구대상 시기는 중국의 명, 청 시대이고 주요내용은 진상의 상업 활동사, 특히 러시아와의 차 교역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논문은 후속연구 주제인 조선 상인과 중국 상인의 비교연구를 위한 선행연구로서의 필요성이 있으며, 한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이웃한 같은 한자문화권의 상인을 연구함으로써 중국 상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한국에 중국의 상인과 상업 활동을 연구제시하여 한국의 상인과 상업사 연구가 국지적인 한계를 벗어나 더욱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함에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진상의 對러 차 무역을 맹아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그들의 상업 활동을 사적으로 연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과 특징을 분석해냈다. 첫째, 진상의 상업경영은 계속적으로 진화되었음을 볼 수 있다. 초기의 산서상인의 수익창출의 방법은 독점적 매점매석을 통한 부등가 교환이었다. 그러나 더 발전하여 상품을 전국적으로 유통시켜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 양자 모두에게 경제적 이익을 획득할 기회를 확대하였다. 더 진화된 것은 화폐 환전 정도에 머물러 있던 금융업을 상품유통에 따른 대금결재를 원활하게 하는 환업무를 포함한 금융서비스업으로 발전 시켰다는 점이다. 둘째, 진상은 청조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그러므로 청조의 중상정책은 준비되어 있었던 산서상인에게 많은 기회와 이윤을 가져다주었다. 몽고와 러시아의 차 무역도 청정부가 산서상인에게 준 특권인 용표(龍票)를 근거로 한 독점무역이었고 산서 표호(票號)의 최대 고객 또한 청 정부였다. 상업경영에 뛰어났지만, 정부와 관계라는 한계를 뛰어넘지는 못하고 청조와 러시아의 힘겨루기에서 청조가 열세에 처하면서 러시아 상인과의 차 전쟁에서 패하고 혁신적으로 설립한 산서 표호도 청조가 멸망하면서 자취를 감추었다. 셋째, 높은 상업이윤을 실현하였다. 독점으로 인한 이윤도 크지만 유통경로를 단축시킴으로써 획득한 이윤 또한 높았다. 중국의 대외무역 경로 특히 차의 수출 경로는 차를 재배하는 농민(茶農) – 차 도매상인 차행(茶行) – 차를 파는 상인 차상(茶商) – 13행(十三行商) – 양행(洋行) – 외국 소비자로 비교적 잘 구성된 분업생산유통체계였다. 넷째, 많은 도시들의 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하였다. 진상의 상업 활동의 범위는 광범위 했으며 특히, 러시아와의 차 무역 경로를 따라 많은 도시들이 번창하였다. 산서 상인은 이 도시들을 지나면서 많은 사람을 고용하여 그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시켰으며, 상단(商團)사람들의 소비로 인한 경제효과도 상당히 컸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진상의 상업 활동을 사적으로 연구 고찰을 토대로 위와 같은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어느 시대나 혁신은 많은 기회를 동반한다는 것과 끊임없는 개척과 도전정신, 글로벌 차원에서의 네트워크 구축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기업경영활동에 유효한 의미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부의 정책과 기업경영활동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므로 경영자는 항상 정보수집과 환경 분석을 통한 미래지향적인 전략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historical study investigating commercial activities of Jin Shang which was the greatest merchant group as free civilian merchants in the era of the Chinese Ming and Ching. The main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 commercial activities by periodically classifying the trade with Russia. Especially it aimed at the systematic consideration the trade with Russia. This study analyzed Jin Shang’s tea trade with Russia by dividing the tea trade periods into germinal, growing, maturing and declining stages. The results of historical examination of their commercial activities are as follows; First, the Jin Shang’s commercial management was found to have evolved continuously. In the early stage, Shan Xi merchants generated revenues by non-equivalent exchanges through the monopolistic cornering and hoarding. In the next stage, the opportunity has been expanded to acquire economic benefits in both producer and consumers by distributing products nationally and combining producer and consumers. Specifically, financial business was developing into financial service business involving exchange business that smoothed the money settlement following product distribution. Second, Jin Shang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ing dynasty. Therefore, prepared Shan Xi merchant could take a lot of opportunities and profits due to the Ching dynasty’s mercantilism. The Mongolian and Russian tea trade was monopolistic trade based on Long Piao, a privilege which Ching government has given Shan Xi Piao Hao. The Ching dynasty was defeated in the tea war with Russia, and innovatively established Shan Xi Piao Hao disappeared without a trace after the fall of Ching dynasty. Third, merchants gained lots of commercial profits which included profits from monopoly and profits arising from shortening distribution channels. Fourth, they developed many cities. The area of Jin Shang’s commercial activities was far-reaching. In particular a large number of cities developed along the trade channel with Russia. Shan Xi merchants passed through these cities and developed regional economy by, say, employing local people. A few academic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nnovations, in every age, are accompanied by many opportunities, and unceasingly pathfinding and challenging mind and network construction in global market dimension still provide effective meaning to corporate activities even these days. Furthermore, managers should constantly build up future-oriented strategies by means of information collection and environment analysis since there are inseparable relationships between the government policies and corporate policies.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