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교양체육의 참여동기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Intent to continue sports based on the Participant`s motivation
저자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2008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08. 8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기타서명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of general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Intent to continue sports based on the Participant`s motivation
형태사항
iv, 56 p.p. 26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김승재
참고문헌 : p.
소장기관
본 연구는 대학 교양체육의 참여동기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운동지속의사의 관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양체육의 참여동기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운동지속의사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수업만족도와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참여동기에 따른 수업만족도의 관계, 참여동기에 따른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수업만족도와 운동지속의사의 관계를 밝혀 향후 평생체육으로의 연결에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교양체육의 질적 향상과 체육활동에 긍정적 인식을 갖게 하고, 교양체육 수업의 활성화를 통해 대학생들의 교양체육에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며 평생체육활동으로의 연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C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2개교의 남?여 재학생을 본 연구의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표본을 추출하였다. 표집방법은 편의 표본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539명을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본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보완 하여 제작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와 Cronbach's α를 이용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기법은 t-검증(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고, 각 가설의 유의수준은 p= .05에서 판단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수업만족도의 교육적요인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예체능계열의 학생들의 수업만족도가 다른 계열학생들보다 모든 하위요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의 수업만족도가 높았으며, 모험레포츠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수업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운동지속의사는 예체능계열과 4학년 그리고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들일수록 높았으며, 모험레포츠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이 운동지속의사가 높았다.
셋째, 대학 교양체육의 참여동기는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 교양체육의 참여동기는 운동지속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수업만족도는 운동지속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satisfaction and the intent to continue sports according to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elected physical education at University. By examining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sports for all in the near future, improve the quality of the elected physical education, and explore ways to contribute to lifelong physical activities by encouraging university students to take part in the elected physical education class.
To achieve this purpose, 539 students at 2 universities in C in Kang-won Province were decided as a population and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questionnaire was used, and it was revi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tent validity of an expert group and Cronbach’s α were used to prov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is questionnaire and the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through self-administration method. One-way ANOVA,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each hypothesis was examin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P=o.o5.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ose conclusions are suggested.
1) Female students obtained higher scores than male counterparts on the class satisfaction factor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class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majoring in art and physical education was higher.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thought themselves fit and had taken a leisure-adventure class before obtained higher class satisfaction in general.
2) Senior students and students majoring in art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e students who thought themselves fit and had taken a leisure-adventure class before had stronger intent to continue sport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3)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an elected physical education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4)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an elected physical education clas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 to continue sports.
5) The class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 to continue sport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