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리랑 연구의 성과와 과제 -아리랑의 유네스코 등재 후 10년간을 대상으로- = Research Achievements and Research tasks on Arira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10 years after Arirang's UNESCO registration–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As of 2022, it is the 10th anniversary of Korea's Arirang being register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by UNESCO in 2012.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search achievements on Arirang over the past 10 years, and to explore future research tasks for Arirang based on the results. The number of studies on Arirang that has been conducted over the past 10 years amounted to 200 in total. We can name the study of Arirang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Arirang Studies.
    Arirang studi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rirang tradition theory and Arirang culture theory. Arirang tradition theory is further divided into Arirang Policy Theory, Arirang Characteristics Theory, Arirang Media Theory, Regional Arirang Theory, and Arirang Information Theory according to important themes of the study. Arirang culture theory is divided into Arirang Literature Theory, Arirang Content Theory, Arirang Healing Theory, and Arirang Education Theory according to the pattern of accepting or utilizing Arirang. After Arirang was registered as UNESCO, there were many discussions to suggest cultural policies to utilize Arirang as cultural assets or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In the midst of this, the need for a rigorous academic discussion on regional Arirang was raised, and critical views on the phenomenon of institutions leading folk songs also appeared. Opinions on regional cultural branding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regional Arirang's identity were also presented. Studie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Arirang were also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Studies on records and scores related to early Arirang, research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rirang and its character as a subculture, a study on the discourse of Arirang, a study on the popularization or folk song of Arirang, and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rirang in North Korea and abroad were conducted. In relation to Arirang Media Theory,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Arirang spread through media such as records and broadcasting. Above all, research on regional Arirang has been very active. While research on the well-known Jeongseon Arirang, Miryang Arirang, and Jindo Arirang continues, interest in Incheon Arirang, Mungyeong Saejae Arirang, Yeongcheon Arirang, Gongju Arirang, Asan Arirang, and Cheongju Arirang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lso, discussions about Daegu Arirang and Dongnae Arirang, which were relea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newly held. With the Arirang Information Theory,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DB and archive to systematically preserve and utilize Arirang-related data, and there was also an experimental study using the Arirang information algorithm.
    As one of the Arirang cultural theory, research on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literature of Arirang has been conducted, while research on cultural contents using Arirang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research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in connection with regional Arirang has been the mainstream. Research on creative music that embraces Arirang, research on gymnastics and dance using Arirang, and research on festivals related to Arirang are also meaningful in that they increase and expand interest in Arirang culture. Arirang Healing Theory, a study that proves the psychological healing effect of Arirang singing, has formed a new research trend. A study on th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of Arirang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there remains a task for the joint registration of Arirang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academic dialogue is needed for the unified use of Arirang-related terms. While research on Arirang related to new media such as electronic media is requested, academic debate on regional Arirang-related issues needs to be revitalized. It should be urgently supplemented to show the actual utilization results of the Arirang archive estab...

    더보기

    한국의 아리랑이 유네스코에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지 2022년 현재 10주년을 맞았다. 이 글은 지난 10년 동안 진행된 아리랑에 관한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아리랑 연구의 과제를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10년 동안 이루어진 아리랑에 관한 연구는 전체 200편에 이를 정도로 많았다. 아리랑에 관한 연구는 독립된 학문 영역인 아리랑학으로 명명할 수 있다.
    아리랑학은 크게 아리랑전승론과 아리랑문화론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아리랑전승론은 연구의 중요 주제에 따라 다시 아리랑특질론, 아리랑미디어론, 지역아리랑론, 아리랑정보론, 아리랑정책론으로 구분되고, 아리랑문화론은 아리랑을 수용 또는 활용하는 양상에 따라 아리랑문학론, 아리랑콘텐츠론, 아리랑치유론, 아리랑교육론으로 나누어진다.
    아리랑의 유네스코 등재 이후 아리랑의 특질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초기 아리랑 관련 기록과 악보 연구, 아리랑의 문화형질과 하위문화로서의 특성 연구, 아리랑 담론 연구, 아리랑의 대중화 과정 연구, 북한과 해외에서의 아리랑 인식에 관한 연구 등이 진행되었다. 아리랑미디어론과 관련하여, 음반이나 방송 등 미디어를 통해 확산된 아리랑의 음악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졌다. 무엇보다 지역아리랑에 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기존에 잘 알려진 정선아리랑,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는 한편, 인천아리랑, 문경새재아리랑, 영천아리랑, 공주아리랑, 아산아리랑, 청주아리랑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으며, 일제강점기에 발매된 대구아리랑과 동래아리랑에 관한 논의가 새롭게 이루어졌다. 아리랑정보론으로 아리랑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보존, 활용하기 위한 DB와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연구가 관련 성과의 축적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아리랑 정보 알고리즘을 활용한 시도적 연구도 있었다. 아리랑의 유네스코 등재 이후 아리랑을 문화재로 활용하거나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한 문화정책을 제안하는 논의들이 많았다. 이런 가운데 지역아리랑에 대한 엄격한 학문적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관요화(官謠化) 현상에 대한 비판적 견해도 나타났다. 지역아리랑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이에 기반을 둔 지역문화 브랜딩에 관한 견해도 제시되었다.
    아리랑문화론의 하나로 아리랑의 문학 수용과 변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한편 아리랑을 활용한 문화콘텐츠에 관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진행되었다. 특히 지역아리랑과 연계하여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아리랑 수용 창작 음악에 관한 연구, 아리랑 활용 체조와 무용 연구, 아리랑 관련 축제 연구도 아리랑 문화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확장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아리랑의 가창이 갖는 심리치유적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인 아리랑치유론이 새로운 연구 경향을 이루었다. 음악교육을 중심으로 아리랑의 효과적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향후 아리랑의 남북 공동 등재의 과제가 남겨져 있고, 아리랑 관련 용어의 통일적 사용을 위한 학문적 대화가 필요하다. 전자매체 등 새로운 미디어 관련 아리랑 연구가 요청되는 한편, 지역아리랑 관련 쟁점에 대한 학문적 토론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 구축된 아리랑 아카이브는 실제 활용성과를 보이도록 시급히 보완되어야 하며, 아리랑문화 ...

    더보기
    • 1 이영식, "횡성군 <아라리>의 전개 양상과 과제" 강원민속학회 29 : 135-150, 2015
    • 2 박애경 ; 이민규, "횡단하는 아리랑 - 일본의 아리랑 유입과 오키나와 아리랑" 열상고전연구회 (53) : 167-194, 2016
    • 3 김승우,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의 아리랑 논의에 대한 분석적 고찰"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43-80, 2012
    • 4 문주석, "현행 중학교 음악교과서 소재(所載) <아리랑> 고찰" 국립국악원 (27) : 75-97, 2013
    • 5 김영운, "해외 동포사회의 아리랑계 악곡 연구 - 중․러 한인 동포사회 <아리랑>을 중심으로 -" 한국민요학회 48 (48): 39-82, 2016
    • 6 임경화, "해방 후 재일조선인 사회의 문화 자립 운동과 <아리랑>"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17) : 41-74, 2014
    • 7 양지선, "항일가극 <아리랑>을 통해 본 한유한의 예술구국활동" 한국근현대사학회 (83) : 205-238, 2017
    • 8 김보희, "한인 디아스포라 아리랑의 원형과 파생관계 연구" 한국국악학회 51 : 5-34, 2012
    • 9 반혜성, "한유한의 가극 《아리랑》에서 불린 〈한국행진곡〉의 실체-〈韓國進行曲〉·〈서곡〉·〈대한국행진곡〉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음악연구소 25 (25): 101-135, 2021
    • 10 조미술 ; 김광훈, "한류(韓流) 콘텐츠 K-POP의 아리랑 활용 양상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2661-2676, 2021
    • 11 이호은, "한국적인 소리: BTS와 아리랑" 우리신학연구소 26 : 178-184, 2020
    • 12 백현순, "한국무형문화재춤 지정의 흐름과 과제: 밀양아리랑 보존과 가치전망을 중심으로" 한국무용연구학회 39 (39): 57-75, 2021
    • 13 박애경, "피트 시거의 <아리랑> 수용을 통해 본 아리랑의 정치학" 한국시가학회 47 (47): 165-198, 2019
    • 14 목진요,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문화공연, 아리랑의 은유와 서사- <아리랑: 시간의 강> 프로젝션매핑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31 (31): 203-213, 2018
    • 15 장경석, "평전(음악과 연극으로 조국광복을 노래한 독립운동가)" 산지니 2020
    • 16 이창식, "태백문화권과 문경새재아리랑의 가치" 한국문학언어학회 (57) : 283-322, 2012
    • 17 김영봉, "태백 아라레이(아리랑)의 특징" 강원민속학회 29 : 197-224, 2015
    • 18 이창식, "충청권 아리랑 유산의 실상과 전승" 충청북도 21 : 108-131, 2019
    • 19 조순현, "충북지역 아라리의 전승실태와 음악적 특성 연구" 한국민요학회 39 : 329-360, 2013
    • 20 손태룡, "최계란 명창과 “대구아리랑” 고찰"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13 (13): 67-85, 2014
    • 21 안상경, "청주아리랑의 전승과 스토리텔링의 가능성" 어문연구학회 52 : 93-122, 2006
    • 22 이옥희, "진도아리랑의 민속문학적 자질과 특징" 남도민속학회 (26) : 47-75, 2013
    • 23 나경수, "진도아리랑의 기능적 전환과 문화예술적 의미"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4) : 85-106, 2013
    • 24 서해숙, "진도아리랑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의 필요성과 설계" 인문콘텐츠학회 (29) : 219-240, 2013
    • 25 김혜정, "진도아리랑 교육의 문제와 개선방안" 남도민속학회 (27) : 29-46, 2013
    • 26 이승은,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 콘텐츠 사례와 전망 : 정선아리랑을 중심으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8 : 27-57, 2019
    • 27 이주영, "지역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무형문화유산 역할 고찰 : 공주아리랑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189-203, 2021
    • 28 이주미, "중국조선족 서신을 통해 본 조선족의 경계인 의식과 민족 정체성 - 문화대혁명 이후 한중 수교 전까지의 서신에 나타난 ‘아리랑’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35) : 415-439, 2020
    • 29 김성희, "중국 조선족 아리랑의 전승 기반과 양상" 인문학연구원 82 : 277-307, 2020
    • 30 임동철, "중국 조선족 문화와 청주아리랑" 집문당 2004
    • 31 임동철, "중국 연변의 청주아리랑" 민요학회 7 : 311-329, 2003
    • 32 안상경, "중국 동북지역 ‘아리랑’의 전승과 자료 집적의 방향성 연구" 온지학회 (31) : 347-382, 2012
    • 33 안상경, "중국 동북지역 ‘아리랑’의 전승 양상"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11) : 289-320, 2012
    • 34 안상경, "조선족 아리랑의 무대 수용 사례 연구 - 연변조선족자치주 정암촌 ‘청주아리랑’의 공연화를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소 (55) : 233-258, 2015
    • 35 김성희, "조선족 민요 정암촌본 ‘청주아리랑’의 전승 현황과 자원화 방안" 한국민요학회 56 : 7-31, 2019
    • 36 정창관, "정창관의 ‘아리랑’ 채널로 감상하는 아리랑" 한국고음반연구회 (29) : 64-93, 2019
    • 37 서종원, "정선아리랑의 콘텐츠 활용 방안" 강원민속학회 29 : 73-134, 2015
    • 38 정우택, "정선아리랑의 정립과 기원의 창조" 국제어문학회 (65) : 37-72, 2015
    • 39 박경수, "정선아리랑의 문화 수용 양상과 과제-현대시와 대중가요의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민요학회 55 : 85-123, 2019
    • 40 이정민, "정선아리랑의 교육 현황과영역별 교육 방안" 한국민요학회 57 (57): 223-250, 2019
    • 41 박관수, "정선아리랑의 감각적 가사가 가창자에게 미치는 심리치유적 효과" 한국민요학회 63 (63): 271-304, 2021
    • 42 조원형, "정선아리랑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분석 - 텍스트 구조와 간텍스트성" 한국수사학회 (24) : 285-312, 2015
    • 43 맹문재, "정선아리랑 가사의 주제 고찰- 긴아리랑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2) : 419-446, 2013
    • 44 김학용, "정보 알고리즘 기반 아리랑의 계통도 및 상관관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4 (14): 407-417, 2014
    • 45 엄용현, "전통시나위를 왜곡한 밀양아리랑 표준 플래시몹에 대한 고찰"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5 : 107-133, 2016
    • 46 박경수, "재중 한인 디아스포라 시의 아리랑 수용과 담론 양상"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135-173, 2012
    • 47 유영민, "재일코리안의 아리랑 여정(旅程)" 음악연구소 24 (24): 79-108, 2020
    • 48 최은숙, "일제강점기 아리랑 탐구의 한 방향 - 민중적 관심을 중심으로" 동남어문학회 1 (1): 203-226, 2019
    • 49 정서은, "일제강점기 소리미디어에 등장하는 지역아리랑 연구" 한국음악사학회 (60) : 119-153, 2022
    • 50 최은숙, "일제강점기 <아리랑> 관련 민족담론의 구성 양상과 의미" 한국민요학회 40 (40): 197-222, 2014
    • 51 유명희, "인제 뗏목아리랑 전승 현황과 전망" 무형유산학회 3 (3): 99-120, 2018
    • 52 표정옥, "이청준 소설에 내재된 아리랑의 신화적 상상력과 영화 <서편제>의 문화적 놀이성 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51-77, 2012
    • 53 김혜정, "음악학적 관점에서 본 아리랑의 가치와 연구의 지향" 한국민요학회 39 : 139-156, 2013
    • 54 정수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체제 하의 아리랑" 실천민속학회 (29) : 179-214, 2017
    • 55 최은숙, "외국인 유학생 대상 아리랑 관련 문화교육의 현황과 교육 내용 설계" 한국민요학회 45 (45): 179-203, 2015
    • 56 김병오, "영화 주제가 <아리랑>을 통해 살펴본 20세기 민요 반주(伴奏) 변천 과정" 한국민요학회 50 (50): 7-32, 2017
    • 57 남강연, "영월아리랑의 전승과 공연"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소 19 : 75-95, 2020
    • 58 이창식, "영월아리랑의 발굴과 보존" 한국민요학회 12 : 209-231, 2003
    • 59 최은숙, "영남지역의 아리랑 전승 활동과 지역문화브랜딩" 한국민요학회 54 (54): 43-71, 2018
    • 60 권오경, "영남지역 아리랑의 지역정체성 확보 전략" 택민국학연구원 (24) : 211-242, 2019
    • 61 조순현, "연변지역 <청주아리랑>의 음악적 연구 - 청주지역 아라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민요학회 13 : 241-266, 2003
    • 62 김남석, "연극 <아리랑고개>의 창작 과정에 수용된 영화 <아리랑>의 영향 관계 연구 -<아리랑> 모티프의 복고적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동서사상연구소 33 : 1-23, 2020
    • 63 이정민, "엮음아리랑의 음악적 특징을 활용한 영역별 교육방안" 한국민요학회 58 (58): 173-200, 2020
    • 64 전정임, "안익태 아리랑 선율 연구" 민족음악학회 (47) : 43-72, 2014
    • 65 조석연, "아산아리랑과 광복군아리랑의 기원에 대한 연구" 한국민요학회 43 (43): 149-173, 2015
    • 66 김선우, "아리랑의 하위문화적 특성과 소비형식— 개화기부터 식민지시기까지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81) : 31-58, 2020
    • 67 강등학, "아리랑의 존재양상과 국면의 이해" 민속원 359-400, 2011
    • 68 김승희, "아리랑의 정신분석-상실에 맞서는 애도, 우울증, 열락(jouissance)의 언어"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81-102, 2012
    • 69 김한순, "아리랑의 음악교육적 가치 제고를 위한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 70 유대안, "아리랑의 역사, 구(구)아리랑–자료를 통한 구아리랑 엿보기" 한국음악문헌학회 9 : 49-74, 2018
    • 71 강등학, "아리랑의 부류별 국면과 문화형질의 전승맥락" 한국민요학회 35 : 7-32, 2012
    • 72 강등학, "아리랑의 문화형질, 그리고 아리랑의 공적 관리와 사업의 문제"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9-41, 2012
    • 73 권갑하, "아리랑의 문화콘텐츠화 양상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8 (48): 303-336, 2014
    • 74 나경수, "아리랑의 문화공학과 송기숙 「오월의 미소」의 접점"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9 : 67-98, 2016
    • 75 송효섭, "아리랑의 기호학"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29-49, 2012
    • 76 김강산, "아리랑의 기원과 어원에 관한 연구"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9 : 249-287, 2015
    • 77 권갑하, "아리랑의 글로컬문화컨텐츠화 전략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 78 강등학, "아리랑의 국면 전개에 관한 거시적 조망" 남도민속학회 (26) : 7-31, 2013
    • 79 신철하, "아리랑의 ‘무위적’ 자질" 한민족문화학회 71 (71): 375-408, 2020
    • 80 이상규, "아리랑을 활용한 초등국악가창 장단 지도법" 한국국악교육학회 34 (34): 73-96, 2012
    • 81 김광희, "아리랑을 소재로 한 공연콘텐츠 개발 방안" 문화예술콘텐츠학회 (3) : 267-300, 2013
    • 82 이창식, "아리랑유산 가치와 축제형 킬러콘텐츠" 한국문학회 (73) : 55-89, 2016
    • 83 이창식, "아리랑유산 가창자의 전승과 공연" 한국공연문화학회 (32) : 171-208, 2016
    • 84 유명옥 ; 배명진, "아리랑노래 부르기가 자율신경 균형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연치유학회 4 (4): 01-09, 2015
    • 85 정우택, "아리랑과 현대시"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345-383, 2012
    • 86 백나윤, "아리랑’을 소재로 한 20세기 성악 작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 87 이창식, "아리랑, 아리랑학, 아리랑콘텐츠" 한국민요학회 21 : 203-206, 2007
    • 88 이창식, "아리랑 유산의 연구성과와 전망" 한국음악문화학회 7 : 5-28, 2015
    • 89 이창식, "아리랑 유산의 세계화와 스토리텔링"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233-277, 2012
    • 90 조용호, "아리랑 연구사" (사)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6 : 5-67, 2010
    • 91 정우택 ; 한진일, "아리랑 아카이브와 자원화" 반교어문학회 (47) : 315-345, 2017
    • 92 최은숙, "아리랑 세계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민요학회 51 (51): 155-187, 2017
    • 93 문베티, "아리랑 선율을 사용한 창작 합창곡의 전통적 요소에 관한 연구" 음악연구소 21 (21): 43-90, 2017
    • 94 유명옥, "아리랑 선무 수련이 간 기능, 콜레스테롤, 혈당 수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연치유학회 4 (4): 15-21, 2015
    • 95 유명옥, "아리랑 선무 수련 후의 맥박, 비만 및 혈구 수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연치유학회 3 (3): 147-153, 2014
    • 96 강등학, "아리랑 문화사의 중심, 서울시의 아리랑문화 발전과제" 한국민요학회 40 (40): 7-32, 2014
    • 97 이소라, "아리랑 등재 후의 기(奇)현상" 비교민속학회 (56) : 9-29, 2015
    • 98 백재용, "아리랑 글로벌콘텐츠화를 위한 전략 연구" 한국문화콘텐츠학회 169-202, 2014
    • 99 유명희, "아리랑 공연 단체의 성격과 민요 전승의 방향" 한국공연문화학회 (31) : 205-225, 2015
    • 100 유명옥, "신 아리랑 체조의 개발" 한국자연치유학회 7 (7): 47-50, 2018
    • 101 김선우, "식민지시기 소리미디어와 아리랑의 존재양상-유성기와 라디오를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49) : 381-415, 2018
    • 102 장정룡, "속초ㆍ고성지역 아리랑의 전승과 특징" 강원민속학회 29 : 197-224, 2015
    • 103 오정심,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무형문화유산 공동체 지식연결망 연구 - 정선아리랑을 중심으로 -" 국립문화재연구원 52 (52): 172-187, 2019
    • 104 권 일, "성남아리랑’의 가치와 작품성에 관한 연구" 성남문화원 (19) : 177-237, 2012
    • 105 이창식, "상주아리랑의 전승과 가창자" 온지학회 (42) : 277-302, 2015
    • 106 강등학, "분단 전후 아리랑의 전개 국면과 민족공동체 복원을 위한 아리랑의 활로 모색" 한국민요학회 54 (54): 73-112, 2018
    • 107 정해영, "북한의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변화 연구: <아리랑>(2005)과 <빛나는 조국>(2018)을 중심으로" 심연북한연구소 23 (23): 123-163, 2020
    • 108 권갑하, "북한의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의 변화 양상 연구" 한국문화콘텐츠학회 (15) : 5-50, 2015
    • 109 김영운, "북한에 전승되는 민요 아리랑 연구-음원․악보자료에 의한 악곡유형 분류-" 한국민요학회 39 : 83-137, 2013
    • 110 배인교, "북한 아리랑류 민요풍 노래의 의미" 한국민요학회 47 (47): 37-63, 2016
    • 111 박경수, "부산지역 아리랑의 전승 양상과 생성 국면 연구"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33) : 335-381, 2017
    • 112 정정훈, "밀양아리랑의 전승에 대한 재인식: 발리 수박(Subak)관념체계 전승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아연구소 40 (40): 245-275, 2021
    • 113 서정매, "밀양아리랑의 변용과 전승에 관한 연구" 한국민요학회 35 : 131-166, 2012
    • 114 박경수, "밀양아리랑의 문학문화 수용과 문화 창출-현대시와 대중가요의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민요학회 53 (53): 111-138, 2018
    • 115 박은옥, "민족의 민요 아리랑과 모리화" 한국국악학회 53 : 29-48, 2013
    • 116 박슬기, "민족의 노래로서의 아리랑, 발명과 수행 - 아리랑과 조선 민요 담론"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9-28, 2012
    • 117 김혜정, "민요에서의 ʻ아리ʼ 사용 양상과 아리랑의 범주 확장" 기전문화연구소 39 (39): 113-127, 2018
    • 118 김영운, "민요 <아리랑>에 대한 북한의 인식 태도-1990년대 이후 북한의 신문․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54 : 5-30, 2013
    • 119 이문성, "민속콘텐츠 밀양아리랑의 고유성과 확장성" 인문사회 21 12 (12): 1521-1530, 2021
    • 120 이동희, "미래 전승을 위한 아리랑 중등교육 점검 및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동양음악연구소 51 : 173-207, 2022
    • 121 Hilary V. Finchum-Sung ; 최지연, "미국에서의 아리랑의 의미와 역할" 남도민속학회 (26) : 101-141, 2013
    • 122 허중욱, "문화유산 진흥 전략으로서의 축제의 변화 양상 - 정선아리랑제를 중심으로 -" 동북아관광학회 9 (9): 163-178, 2013
    • 123 이사랑, "문화소비로서의 <아리랑> 뮤지킹(musicking) - 국악방송 출연자와 청취자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소 (23) : 5-26, 2019
    • 124 조정현, "문경지역 민요전승의 기반과 아리랑의 재발견" 한국구비문학회 (36) : 235-272, 2013
    • 125 권갑하, "문경의 <아리랑>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 한국문화콘텐츠학회 (8) : 5-44, 2012
    • 126 배경숙, "문경새재아리랑의 영남아리랑사적 고찰" 한국음악문헌학회 4 : 125-186, 2013
    • 127 배경숙, "문경새재아리랑연구-『영남전래민요집』 소재 아리랑을 중심으로-" 택민국학연구원 (7) : 135-171, 2011
    • 128 최 헌, "문경새재아리랑 위상의 음악적 검토" 문경시 2011
    • 129 심상교, "문경새재아리랑 가사의 특성 연구" 비교민속학회 (71) : 219-247, 2020
    • 130 이창식, "무형문화조사사업의 의미와 아리랑유산 지정" 한국민요학회 36 : 297-334, 2012
    • 131 최자운, "마을사람들의 아리랑 전승 양상과 가능성" 민속학연구소 (36) : 361-385, 2018
    • 132 최은숙, "마을공동체의 아리랑 전승과 의미화 양상-문경 하초리를 대상으로-" 한국민요학회 61 (61): 229-254, 2021
    • 133 김정환, "루마니아 발라드 「어린 양」과 민요 아리랑 비교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103-134, 2012
    • 134 강혜석, "동원의 기획으로서의 북한 민족주의: 다부작예술영화 <민족과 운명>과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 심연북한연구소 20 (20): 138-179, 2017
    • 135 유대안, "대구아리랑의 음악양상" 한국민요학회 51 (51): 67-98, 2017
    • 136 이정호, "대구아리랑을 위한 국악관현악" 한국음악문헌학회 8 : 257-302, 2017
    • 137 장유정, "노랫말로 본 유성기 음반 속 「흥타령」과 「경흥타령」의 양상과 ‘인천 아리랑’" 한국민요학회 53 (53): 211-237, 2018
    • 138 정우택, "남․북의 아리랑 표상과 그 차이" 민족문학사연구소 (70) : 225-255, 2019
    • 139 유명옥, "나선창법으로 아리랑 노래 부르기의 기본 분석과 치유 효과" 한국자연치유학회 3 (3): 119-126, 2014
    • 140 권갑하 ; 김영만 ; 김용범, "국가 문화브랜드 아리랑의 글로벌 콘텐츠화 전략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53) : 5-28, 2014
    • 141 기미양, "구술생애사에서 본 송옥자의 <문경아리랑> 재현" 한국구술사학회 2 (2): 11-53, 2011
    • 142 서정매, "공주지역에 전승되는아리랑의 음악적 특징" 한국민요학회 57 (57): 73-120, 2019
    • 143 이걸재, "공주 아리랑의 채록과 보급 사례" 한국민요학회 52 (52): 209-228, 2018
    • 144 서광일, "개화기 인천아리랑의 기록을 통한 전승 양상과 문화자원화 방안 연구"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2
    • 145 남강연, "강원지역 아리랑의 문화콘텐츠 연구–원주ㆍ영월ㆍ평창을 중심으로" 세명대학교 대학원 2021
    • 146 이창식, "강원아리랑 유산의 가창자 공동체와 활용" 강원민속학회 29 : 159-196, 2015
    • 147 이운혜, "강원도 지역의 정선아리랑춤에 대한 고찰" 한국무용연구학회 11-13, 2017
    • 148 이윤정, "강원도 <고성아리랑>의 음악적 특징" 한국민요학회 44 (44): 151-177, 2015
    • 149 박은영, "강릉아리랑의 존재 양상과 전승 실태" 강원민속학회 29 : 39-72, 2015
    • 150 유명옥 ; 이형환, "民謠 아리랑의 認識, 선호도와 自然治癒 체험에 관한 硏究" 한국자연치유학회 1 (1): 46-54, 2012
    • 151 기미양, "梅泉野錄 소재 ‘아리랑’기사의 실상과 의미" 한국민요학회 36 : 71-112, 2012
    • 152 윤영옥, "『아리랑』에 나타난 ‘개념적 혼성’과민족적 인지구성" 한국언어문학회 (87) : 359-389, 2013
    • 153 김미향, "「인천아리랑」의 가치와 대중화 방안" 인천학연구원 1 (1): 37-62, 2021
    • 154 이도경, "「경기아리랑」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스트레스와 노래 부르기 상관관계 연구" 언어과학회 (87) : 417-435, 2018
    • 155 조성원, "“디아스포라” 민요와 민요의 “디아스포라”- 한국민요 ‘아리랑’과 아일랜드 민요 “대니 보이” 비교연구" 한국비교문학회 (61) : 329-363, 2013
    • 156 안상경, "‘청주아리랑’의 역사성과 문화콘텐츠 활용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11) : 167-190, 2008
    • 157 안상경, "‘청주아리랑’의 다큐멘터리 제작 사례를 통한 아카이브 구축의 방향성 연구" 역사문화학회 11 (11): 69-107, 2008
    • 158 유안나, "‘정선아리랑제’의 보존 동력과 장애 요인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91-96, 2019
    • 159 박관수, "‘정선아리랑’의 심리치유적 효과에 대한 연구 토대 마련을 위한, ‘정선아리랑’ 가사와 실생활의 연관성 연구" 한국문학치료학회 51 : 85-125, 2019
    • 160 김연갑, "‘아리랑고개’의 실지(實地) 규명" 아시아강원민속학회 32 : 191-232, 2019
    • 161 신진숙, "‘아리랑’디아스포라 서사를 통해 본 국민서사의 탈영토화 과정 - 다큐영화 고려 아리랑: 천산의 디바와 디아스포라의 노래: 아리랑 로드 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3 (43): 85-104, 2021
    • 162 강준수, "‘아리랑’ 전래 이야기를 통한 문화관광 콘텐츠 고찰" 한국관광연구학회 32 (32): 81-93, 2018
    • 163 최희영, "Beyond Nostalgia: “Arirang” in Early Twentieth-Century Hawai‘i" 세계음악학회 (43) : 141-168, 2020
    • 164 이용식, "<진도아리랑>의 대중화 과정에 끼친 대중매체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민요학회 39 : 215-240, 2013
    • 165 허경진, "<인천아리랑>이 소개된 ≪조선회화≫" 대한출판문화협회 (309) : 46-47, 2001
    • 166 서광일, "<인천아리랑>의 최초 기록과 선율에 관한 연구" 국립국악원 (44) : 35-65, 2021
    • 167 유대안, "<영천아리랑>의 귀환과 그 전개 양상" 한국민요학회 60 (60): 103-148, 2020
    • 168 이용식, "<아리랑>의 토속성과 통속성" 열상고전연구회 (51) : 15-35, 2016
    • 169 김연갑, "<아리랑>의 성격 변화와 정체성 확립과정 고찰"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11) : 199-254, 2012
    • 170 이소영, "<아리랑>의 문화적 변용에 따른 음악적 특징: 유성기 음반의 아리랑을 중심으로" 한국음악학학회 21 (21): 39-78, 2013
    • 171 권갑하, "<아리랑>을 활용한 문경시의 장소마케팅 방안" 한국문화콘텐츠학회 5-24, 2014
    • 172 곽동현, "<밀양아리랑>의 유형과 시대적 변천 연구" 한국음악문헌학회 3 : 105-138, 2012
    • 173 기미양, "<문경아리랑> ‘대표사설’의 실상과 확산 연구" 한국민요학회 42 (42): 7-38, 2014
    • 174 노재명, "<문경새재아리랑> 1935년 녹음 음반 가사지 고찰" 한국고음반연구회 (30) : 291-296, 2020
    • 175 김기현, "<문경새재소리아리랑>의 아리랑사적 위상" 한국민요학회 29 : 63-92, 2010
    • 176 박경수, "<동래아리랑>의 전승 맥락과 정체성 문제" 한국민요학회 46 (46): 47-74, 2016
    • 177 김혜정, "2015 개정 음악교과서의 아리랑 수록 현황과 교육적 지향" 한국민요학회 56 : 33-53, 2019
    • 178 이정표 ; 박재록, "2000년대 이후 한국 대중가요에 나타난 아리랑 수용 및 변용 양상" 민족음악학회 (56) : 169-193, 2018
    • 179 허경진, "19세기 인천에서 불려졌던 <아리랑>의 근대적 성격" 국학연구원 (115) : 253-271, 2002
    • 180 유대안, "1896년 헐버트 채보 <아라릉(A-ra-rúng)>과 플레처 채록 <아라랑(Ar-ra-rang)>의 실상과 음악양상" 한국민요학회 44 (44): 103-134,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