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尙書』 <洛誥> ‘復子明辟’에 대한 朝鮮 經學家의 이해 = Understanding by Confucian Scripture Scholars of the Joseon period of Paragraph ‘Bokja Myeongbyeok' in Section <Nakgo> of Sangseo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3-153(31쪽)
제공처
『상서』는 사서삼경 중 진위논쟁이 가장 분분한 儒經이요, 闕誤와 錯簡이 많아 경문 해석에도 異說이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상서학 연구에는 개별 경학가의 學的 특징을 연구하는 방법론 외에, 『상서』의 특정 대목에 대한 해석의 전반적인 흐름을 천착하는 것도 하나의 중요한 방법론이 된다. 그것이 「周書」 <洛誥> 1장 ‘復子明辟’을 선택해 蔡沈의 주장 및 조선시대 諸家의 논변들을 고찰한 본고의 목적이자 당위성이다.
‘復子明辟’에 대한 해석은 漢唐 先儒의 復政說과 朱子의 제자 蔡沈의 復命說로 양분된다. 先儒는 7년 동안 섭정하던 周公이 東都 낙양을 경영할 무렵 成人이 된 成王에게 復政한 것으로 이해했지만, 채침은 주공이 王命을 받아 낙양을 경영한 뒤 成王에게 復命한 말이라고 주장하였다.
채침은 成王 즉위 이후 天子는 항상 성왕이었기 때문에 주공의 復政이란 애초에 성립될 수 없다고 강변하였다. 물론 채침도 주공의 섭정을 인정했지만, 그가 말하는 주공의 섭정이란 幼沖한 성왕 대신에 當國했다가 후일에 復政하는 그와 같은 것이 아니라, 居喪하는 군주 대신 백관을 총괄해서 국정을 운영하는 총재로서의 역할에 불과한 것이었다. 따라서 復子明辟에 대한 復政說과 復命說의 차이는 주공이 稚弱한 성왕을 대신하여 踐祚한 것처럼 섭정했는가, 아니면 그저 백관을 총괄하는 총재로서의 섭정에 불과했는가의 시각 차이에서 출발한다고 하겠다.
조선전기는 채침의 『書集傳』에 바탕을 두고 『상서』를 궁구했으므로, 復子明辟의 해석도 채침의 복명설을 따르는 경향이 강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는 『서집전』을 비판하며 독자적인 상서학을 구축한 인물들이 등장하였다. 그 중 윤휴와 박세당은 복명설을 채택하되 채침과는 거리를 두었고, 성호 이익은 유성룡의 견해를 차용하여 채침과 유사한 논리로 복명설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古訓을 중시하는 정약용과 신작은 복정설을 주장했고, 정조 또한 복정의 가능성을 언급하였다. 특히 다산은 古訓을 바탕으로 이에 대해 상세히 분변하여 복정설을 가장 분명하게 주장한 경학가였다.
Sangseo is a Confucian scripture whose words are very difficult to interpret. Paragraph ‘Bokja Myeongbyeok' is found in Section <Nakgo> that the scripture contai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at paragraph which is interpreted in two different meanings.
In the Joseon period, an annotation that was most often used to provide guidelines for researching was Seojipjeon written by Chae Chim, a disciple of Chu-shi. Unlike prior annotations that usually interpreted ‘Bokja Myeongbyeok' according to the theory of Bokjeong, Seojipjeon relied on the theory of Bokmyeong in interpreting that paragraph. The theory of Bokjeong indicates that Jugong who had served for 7 years as a regent for the 13-year-old King Seongwang returned the political authority to that king who was adult when Nakyang was completely built up. While, the theory of Bokmyeong finds that ‘Bokjeong' was a nonsense because Jugong had never been enthroned to the Son of Heaven and that Jugong just reported the complete construction of Nakyang after he built up the city by order of the king.
Joseon was a society based on Chu-Shi's Sung Confucianism, so it generally followed the theory of Bokmyeong on which Seojipjeon stood itself. Scholars like Yoon Hyu, Park Se Dang and Lee Ik employed that theory according to their own rationale as they critically accepted Seojipjeon. In contrast, another scholars like Jeong Yak Yong and Shin Jak agreed on the theory of Bokjeong since they thought highly of prior annotations other than Seojipjeon. This study sought to help understand Sangseo and research the Sangseo studies of the Joseon period by analyzing rationales on which those scholars who followed the theories of Bokjeong and Bokmyeong, respectively, based.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