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코퍼스 기반 특수 목적 러시아어 연구: 의료 러시아어의 어휘·문체적 특성 = A Corpus-Based Analysis of Russian for Specific Purposes: The Lexical and Stylistic Peculiarities of Medical Tex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1-98(2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Recently, language researches using the corpus has become active, but most of them are limited to English education. In the case of the Russian corpus, it is mainly used to provide examples that serve as primary data for researchers. However, the type of corpus, which computerized a large amount of actual data, can be evaluated not only as a source of data complementing the abstraction of language theory, but also as an efficient research and teaching methodology.
This study examined the Russian vocabulary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in the subcorpus of health and medicine. The lexical characteristics of medical Russian identified through corpus are as follows. In medical subcorpus, the incidence of nouns and adjectives appeared relatively high, and the frequencies of verbs and personal pronouns were relatively low. In addition, for English medical text, the high incidence of prepositions was characterized, but the rate of prepositions of medical subcorpus and basic corpus in Russian was similar in percentage. However, some prepositions indicating cause or purpose showed a higher incidence rate in medical subcorpus than in basic corpus. Stylistically, the use of passive sentences and participles was high, but the appearance of complex sentences using gerund or conjunction was relatively low in the written medical subcorpus. Except for the low frequency of use of exclam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medical subcorpus and ordinary spoken corpus were the same.
The languages used in a particular field are largely distinguished from those used in everyday life. Therefore, specialized methodology distinguished from general language education is needed for language education and use as well as specialized language research in the field, and corpus linguistics can be an alternative.
최근 코퍼스를 사용한 언어 연구는 활성화되어가고 있지만, 대부분 영어 교육 등에 한정되어 있을 뿐 러시아어 코퍼스의 경우는 주로 연구자들에게 1차 자료가 되는 예문을 제공해 주는 데 그치고 있다. 그러나 다량의 실제 자료를 전산화한 형태의 코퍼스는 언어 이론의 추상성을 보완해 주는 자료 공급원으로서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연구 및 교육 방법론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러시아 국립 코퍼스에서 건강 및 의료 분야의 하위 코퍼스를 설정하여 해당 영역에서 사용되는 러시아어의 어휘, 문체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코퍼스를 통해 확인된 의료 러시아어의 어휘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의료코퍼스에서는 명사와 형용사의 출현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동사와 인칭대명사의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영어 의료 텍스트의 경우 전치사의 높은 출현 비율을 특징으로 하지만 러시아어는 의료코퍼스와 기본 코퍼스에서의 전치사 출현 비율은 유사했다. 다만, 원인이나 목적 등을 나타내는 일부 전치사의 경우는 기본 코퍼스보다 의료코퍼스에서 높은 출현 비율을 보여주었다. 문체적으로 문어 의료코퍼스에서는 피동 구문과 형동사의 사용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동사나 접속사를 사용한 복문의 출현은 상대적으로 낮았고, 구어 의료 코퍼스에서는 감탄문의 낮은 사용 빈도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구어체의 양상이 나타났다.
특정 분야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크게 구분된다. 따라서 해당 분야의 전문적인 언어 연구뿐만 아니라 언어 교육 및 사용을 위해서는 일반적 언어 교육과 구분되는 특화된 방법론이 필요하며, 코퍼스 언어학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목적에 맞는 코퍼스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며, 러시아국립 코퍼스에 대한 형식적 해석 작업 역시 필수적이다. 러시아국립코퍼스에 제시되어 있는 정보는 대부분 품사와 어휘 의미에 한정되어 있으며, 구조나 기능에 대한 분류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영어를 포함한 다른 언어의 방법론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러시아어의 본질을 나타내는 데 한계가 있다. 구조 및 기능적 관점에서의 러시아어 분석과 함께 특정 언어 사용역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더욱 설득력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5-09-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슬라브학회 ->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lavic Studies -> The Korean Association of Slavic-Eurasian Studies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5 | 0.583 | 0.1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