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복리 및 지연손해금의 약정에 대한 이자제한법의 규율 = Restrictions on Compound Interest Agreement and Overdue Interest Agreement by Interest Limitation Act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1-48(18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원금 1억 원을 대여기간 24개월, 이자 월 1.5%(매월 말 변제)로 정하여 대여하면서 이자 지급을 지체할 경우에는 이를 원본에 산입하여 복리를 지급하기로 약정하는 경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리에 관한 이자제한법의 해석 문제는 ‘손해배상액의 예정으로서 지연손해금의 약정’ 및 ‘지연손해금이 간주이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해석 문제와도 연관되어 있다.
먼저 금전소비대차계약에서 약정지연손해금률이 이자제한법상 최고이자율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하는지는 이자제한법 제4조의 간주이자에 지연손해금이 포함되는지 여부에 관한 해석의 문제로 귀착되는데, 이자제한법 제4조에 적시된 ‘예금, 할인금, 수수료, 공제료, 체당금’ 등은 열거가 아닌 예시에 불과한 점, 지연손해금 역시 ‘명칭에도 불구하고 금전의 대차와 관련하여 채권자가 받은 것’에 해당하는 점이나 이자제한법의 입법 목적 등을 고려하면, 지연손해금도 간주이자에 포함되고 이에 따라 금전소비대차계약의 약정지연손해금률 역시 이자제한법상 최고이자율의 범위로 제한된다고 해석함이 타당하다고 본다.
또한 현행 이자제한법 제5조의 복리약정제한 규정의 적용범위에 관하여는, ① 이자의 변제기가 도래한 후 새로운 합의로 이자를 원본에 산입하기로 하는 약정(사후복리약정)과 ② 이자의 변제기가 도래하기 전에 미리 복리에 관한 약정을 하면서 이자 지급의 지체를 정지조건으로 원본에 산입하기로 하는 약정(정지조건부 사전복리약정)의 경우에는 그 이율 자체가 제한최고이율의 범위 내에 있는 이상 유효하지만, ③ 이자 발생과 동시에 지체 여부를 불문하고 당연히 원본에 산입하기로 하는 약정(무조건부 사전복리약정)에서는 원본에 산입된 당초의 이자와 그 이자에 대한 복리의 합계액이 최초 원본에 대한 관계에서 제한최고이율의 범위 내에 있어야 유효하고 이를 초과하는 부분은 무효라고 해석하는 견해도 있으나, 위의 세 가지 유형 어느 경우에나 복리를 포함한 이자 전체의 합계액이 원본에 대한 관계에서 제한최고이율을 초과하면 그 부분은 무효라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복리약정제한 규정의 문언 자체에 의하더라도, 예컨대 독일 민법과 같이 ‘사전의 약정’에 한하여 복리를 규율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이자에 대하여 다시 이자를 지급하기로 하는 복리약정’에 대하여 규율하고 있으므로, 굳이 약정의 시점을 한정적으로 좁혀 해석할 만한 근거가 없으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서민들의 이자 부담을 경감하려는 이자제한법의 목적에 비추어 보더라도 변제기 이전의 약정과 이후의 약정을 달리 취급할 만한 합리적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일정 기간에 따라 계산한 이자를 그 지체 여부를 불문하고 원본에 산입하여 그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기로 약정하는 것(무조건부 사전복리약정)이나, 기발생 이자에 대한 이행지체를 조건으로 원본에 산입하여 그에 대한 이자(지체를 조건으로 한다는 점에서 지연손해금의 요소를 포함한다)를 지급하기로 약정하는 것(정지조건부 사전복리약정)이나 간에 지연손해금이 간주이자에 해당한다는 입장에서 보면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
결국 이자제한법 제5조의 복리약정제한 규정은 약정의 시점이나 기발생 이자의 지체를 조건으로 원본에 산입하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모두 포괄적으로 규율하는 것이라고 보는 ...
Article 5 of Interest Limitation Act prescribes that “Any agreement on compound interest stipulating that interest shall be paid again on such interest shall be void with respect to any amount equivalent to the portion exceeding the maximum interest rate under Article 2⑴.” For the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the above provision, it is quite helpful to delve into the issues of overdue interest agreement as a form of estimated compensation payments and the scope of the deemed interest in Article 4⑴ thereof.
As the items referred to under Article 4⑴ such as a deposit, rebate, fees, deduction, or substitute payment are only meant to be exemplifications, compensation payment in the form of overdue interest should be interpreted as deemed interest in the sense that overdue interest also falls within the category of ‘any monetary amount received by the creditor in connection with a loan’. Therefore overdue interest rate in loan transaction should be within the range of maximum interest rate under Article 2⑴. As such, we can best serve the essential purpose of the Act, which is to contribute a stable economic environment for the public and to realize economic justice by prescribing appropriate limits to interest rate.
As for the scope of Article 5’s application, the ‘Agreement on Compound Interest’ should be interpreted as any agreement for payment of compound interest regardless of the time of its conclusion, and whether it is stipulated as conditional upon the non-performance of past due interest or not. Therefore, if the whole monetary amount which is calculated as interest and compound interest exceeds the amount calculated by applying the maximum interest rate specified on Article 2⑴ for the original principal amount, the excess portion shall be deemed invalid with respect to the compound agreement even if that is concluded after as well as before the due period of interest payment or the scheduled payment of compound interest is stipulated as conditional upon the non-performance of past due interest. As such, closely related provisions of Interest Limitation Act on compound interest agreement and deemed interest can be better interpreted in a harmonious way.
Further, in the perspective of de lege ferenda, it is desirable to amend Article 4⑴ into a clearer expression, such as “the amount a creditor receives in connection with a loan, no matter how the items are referred to, such as a deposit, rebate, fees, deduction, overdue interest, or substitute payment, shall be deemed interes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