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청 궁정 월령승응희(月令承應戱)의 전승 연구Ⅰ - 청 궁정희 속 사마등(司馬騰)의 ‘옥마고사(玉馬故事)’ 전승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Festival Courtplays(月令承應戱) in the Qing Dynasty I –Focus on the transmission of Sima Teng(司馬騰)’s Jade Horse Story in Qing Palace Dram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45-67(23쪽)
제공처
Rui ying huang chao( 瑞應皇朝) in Jie jie hao yin (瑞應皇朝), which consists of the ancient story of the Governor of Bingzhou receiving a jade horse from a snowless land after a large snowfall and devoting it to the Emperor during the Western Jin Dynasty, to the Shengpingshu transmitted festival court play Y u m a g u i c h a o (玉馬歸朝), analyzes the differences and changing patterns between the Qianlong period festival court plays and those of the latter period. Though the relevance between the two works can be inferred by their plots and characters, because most existing literature only study festival court plays as a list of plays, such relevance has not been identified. There are currently many records of Shengpingshu Yu ma gui chao ’s various scripts, costumes, and make-up. Jie jie hao yin lacks such performance and historical records, making it difficult to speculate it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us, Yu ma gui chao is a meaningful literary work in inferring the transmission of Jie jie hao yin and its effect on later festival court plays. By comparing the two works, this article diachronically examines the transmission of festival court plays within the Qing Palace and uses such findings to analyze the changing patterns between the early and late festival court plays. Jie jie hao yin that consisted of high literary value of merchants, literary examinations, and the livelihoods of the common people were excluded. Furthermore, while Jie jie hao yin , which was created under the grandiose palace play environment of the Qianlong period, had numerous actors appearing together and utilized various props, dijing, and stage devices, plays that had a small number of characters and that was able to be performed on a simple stage were the only ones that survived in the latter Shengpingshu stage. Because of this, Ji e ji e h a o y i n’ s R u i y i n g huang chao , like Yu ma gui chao , became dramatized and transmitted as a latter Shengpingshu play. On the other hand, most other plays were not passed-on, making it im
더보기본고는 서진(西晉) 시대 병주도독(幷州都督) 사마등(司馬騰)이 대설이 내린 후 눈이 쌓이지 않은 땅에서 옥 마(玉馬)를 얻자 이를 황제께 바쳤다는 고사를 다루고 있는 절절호음(節節好音) 수록 상설절희(賞雪節戱)인 「서응황조(瑞應皇朝)」와 승평서 전승 월령승응희 「옥마귀조(玉馬歸朝)」의 비교 분석을 통해, 건륭 연간의 월 령승응희와 후기 월령승응희의 특징을 비교하고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다. 두 작품은 줄거리, 등장인물 등을 통해 그 관련성을 유추할 수 있는데, 그동안 학계에서는 주로 극목으로만 월령승응희 작품들을 분석하다보니 두 작품의 관련성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다. 승평서본 「옥마귀조」는 현전 다양한 극본과 무대 의상 및 분장 상황에 대한 관련 기록이 남아있어 그동안 관련 공연 기록이나 역사 기록이 전하지 않아 그 공연 상황을 짐작 하기 어려웠던 절절호음의 전승 상황과 후기 월령승응희에 미친 향을 유추할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자 료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두 작품의 비교 분석을 통해, 월령승응희의 청 궁정 내 전승 상황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초기 월령승응희와 후기 월령승응희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다. 청 궁정의 월령승응희 공연은 건륭 연간 궁정 의례로 정식 제정되어 규범화되고, 대규모 작품 창작이 이루 어지는 등 가장 흥성하다. 그러나 도광 연간 승평서 개혁 이후, 근검절약을 숭상하던 도광제의 정책으로 대 규모 인원이 출연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작품은 더 이상 공연되기 어려웠다. 이에 월령승응희 공연은 점차 의례적 기능만 담당하며, 후대로 갈수록 그 공연 절기 수와 공연 장소, 공연 극목 모두 점차 감소하다. 이에 두 작품이 함께 공연되던 추세에서 후기로 갈수록 한 작품만 공연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신선들이 등장해 서 태평성대를 노래하고 가공송덕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이에 절절호음 속 어용사인들의 문학성 이 뛰어난 작품이나 문인 고사들과 일반 백성들의 생활 모습을 반한 이야기는 배제되었다. 또 건륭 연간 성 대했던 궁정 연극의 상황에 따라 창작된 절절호음에는 많은 수의 배우들이 한꺼번에 등장하고, 다양한 소도 구 및 지정 등 무대 장치를 활용하는 반면, 등장인물이 많지 않고, 대형 무대가 아닌 간단하게 공연할 수 있는 작품들만이 후기 승평서 무대에서 계속 생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유로 인해, 절절호음 속 「서응황조」는 「옥마귀조」와 같은 후기 승평서 극목으로 각색되어 전승되고, 작품 대부분은 공연 전승이 끊기게 되며, 승평서 당안 등 청대 역사 자료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