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주역참동계』의 ‘월체납갑설(月體納甲說) 연구 = A Study on the theory of Yue Ti Na Jia(月體納甲說) in the Zhouyi Cantongqi (周易參同契)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주제어
KDC
8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7-222(26쪽)
제공처
역학의 관점에서 『참동계』를 주목하는 연구자는 월체납갑설을 『참동계』역학의 특징이라고 본다. 『참동계』는 자신의 역을 ‘대역’이라고 천명하고 있기도 하고, 한대 금문역학의 납갑법을 수용하면서도 이를 변형해 월체납갑법을 제시하고 있다.
『참동계』가 금문역학자들과 다른 월체납갑법을 제시한 것은 연단의 과정에서 화후[불떼기]의 과정을 천체의 운행과 일치하려 하기 때문이다. 월체납 갑법 한 달 동안 변화하는 달의 모양을 괘상에 배당하고, 이를 화후의 과정에 기준점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참동계』는 “坎離爲易說”과 “日月爲易說”을 제시하면서 건곤으로 천지의 공간적 구조를 상정하고, 이 공간에 운행되는 해와 달의 운행을 음양, 즉 감리괘로 상정한다. 이 공간에서 일어나는 해와 달은 운행을 표현하기 위해 乾坤坎離괘를 사정괘로 삼았으며, 이를 한 달에서 운행에 적용하였기에 월체납갑설이 제시된 것이다. 이는 금문역학이 坎離震兌를 사정괘로 삼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참동계』는 금문역학의 납 갑법을 계승하되 자신만의 월체납갑법으로 전환한 것이다. 천지라는 공간에 해와 달이라는 음양 두 기의 운행을 포착하기 위해 제시한 용어가 바로 ‘대역’이다.
Researchers focusing on the I Ching (Yijing) perspective of the “Cantongqi” identify the theory of Yue Ti Na Jiathe (月體納甲說) as a distinctive feature of its system. The “Cantongqi” declares its divination method as 'The theory of Great Change' (大易) and presents a unique the theory of Yue Ti Na Jiathe (月體納甲說) while incorporating and modifying the traditional Han dynasty clerical script (隸書, 今文) I Ching's Na Jia Theory(納甲說).
The reason the “Cantongqi” proposes a different theory of Yue Ti Na Jia (月體納甲說) compared to the clerical script (隸書, 今文) I Ching practitioners is to align the process of fueling the fire (火候) in alchemy with the celestial movements. The theory of Yue Ti Na Jia(月體納甲說) corresponds the changing phases of the moon over a month to the hexagrams, using these as reference points in the fire timing process.
To achieve this, the “Cantongqi” introduces the theories of “Kan and Li as the I Ching” (坎離爲易說) and “Sun and Moon as the I Ching” (日月爲易 說), positing the spatial structure of heaven and earth as represented by Qian (乾) and Kun (坤), and the movements of the sun and moon as Yin and Yang represented by Kan (坎) and Li (離) hexagrams. In this spatial structure, the sun and moon's movements are expressed using Qian, Kun, Kan, and Li as the primary four hexagrams and applied within a month's cycle, thereby presenting the theory of Yue Ti Na Jia(月體納甲說). This approach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clerical script (隸書, 今文) I Ching which uses the advance and retreat of Kan and Li as four primary hexagrams.
In this respect, the “Cantongqi” inherits the clerical script (隸書, 今文) I Ching's assignment method but transforms it into its own theory of Yue Ti Na Jia(月體納甲說). The term 'the theory of Great Changes' (大易) is used to capture the movements of the two Yin and Yang energies, the sun and moon, within the space of heaven and earth.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