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유럽통합에 있어서 지역정체성 문제 = Subregional Identity in European Unification - Focusing on Denmark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5-262(38쪽)
제공처
소장기관
유럽연합은 구성원들을 결속할 수 있는 유럽정체성을 만들어나가기 위해서 정치, 사회, 교육 등 다방면에서 다양한 전략들을 펼치고 있다. 그런데 “유럽적”이라는 개념의 정의에서부터 연합이 추구해야 할 궁극적인 목표의 규정에 이르기까지, 유럽연합에 대한 평가와 구상은 국가와 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유럽적정체성은 이렇게 다양한 인식의 경쟁 속에서 지역적, 국가적 정체성과 공존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이들과의 대립을 극복해야 하는 근본적인 과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기억”이라는 요소를 중심으로 유럽통합에 있어서 지역정체성의 문제를 논의한다. 집단적 기억은 과거에 대한 상이한 관점과 해석이 경쟁을 벌이는 공적 담론의 장에서 형성되는데, 새로운 유럽에서 국민국가적 기억들이 유럽적 정체성과 미래적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유럽 공동의 기억문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가능한지 살펴보고 있다. 논의를 위해 조명하고 있는 지역은 노르딕이라는 독자성을 공유하면서 유럽통합에서 다분히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온 북유럽, 그 중 북유럽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유럽통합의 길에 동참한 덴마크이다. 덴마크의 예는 초국가적 기억의 장소가 유럽적 의미로 확대되는데 있어서, 기억의 상이함 자체를 존중하고 다양한 기억이 공존할 수 있는 적절한 소통방안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더보기The European Union has used a variety of strategies in many fields like politics, society, education and so forth to form the European identity that can put its member states together. However, the evaluation and design of it, from defining the concept “European” to defining its ultimate goal, differs from nation to nation and from region to region. In this manner, the European identity, amidst competition for diverse kinds of awareness, should stand side by side with the national and regional identity. For this purpose, it has the task of getting rid of conflicts with these concepts of identity.
This paper discusses the national identity in unifying Europe focusing on an element of “memory”. The collective memory is formed in an arena of public discourse in which different views and interpretations compete with each other. This paper addresses what meaning the national memories in new Europe has in forming the European identity and future values and what method the shared memory culture of Europe can exist in.
The focused area for this discussion is Northern Europe which has the identity of “Nordic” in common and has shown a rather lukewarm attitude to European unification. Among others,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Denmark, the first nation in Northern Europe to take leading part in European unification. The example of Denmark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n appropriate plan for communication through which a high value is placed on the difference of memory itself and there can coexist a variety of memories,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arena of transnational memories are expanded to the European meaning.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