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자유주제 : 애도 반응과 상실치유 모색의 유형 -권여선의 소설「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ypes of Condolence Responses and Searches for Loss Healing -With a focus on The Forest of Nutmeg Trees I Have Never Visited by Gwon Yeo-se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3-157(25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인간에게 죽음은 공통적으로 평등하게 부여된 과제이다. 때문에 애도 역시 인간의 삶에서 매우 본질적인 문제이며, 문학의 영역에서 다루어야 할 첨예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살아있는 한 인간은 누구나 또 다른 누군가의 죽음을 목도할 수밖에 없다. 공동체 사회에서 매우 비중을 두었던 인간의 죽음과 애도가 ‘100세 시대’라는 현재에 와서는 도리어경시되는 풍조이다. 2000년대 이후의 작가들에게 있어서 ‘죽음’은 그저 손쉬운 소설적 장치로 사용되는 경향도 있는 편이다. 고단한 삶의 회피와 억압된 고통의 도피처로 통용되는 죽음이 만연한 만큼 그에 따르는 애도의 양식은 더욱 빈약하고 허랑해 보인다. 비교적 근래의 작품인 권여선의「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에서는 특이한 애도 상황과 그 상실 회복의 모색이 탐지되고 있다. 주인공 여성 명이가 결혼 전의 연인과의 ‘죽음 이별’을 겪으면서 뒤늦게 애도를 치루는 과정이 전개된다. 공식적으로 드러내놓을 수 없는 애도와 비탄의 감정이 젊은 여성의 섬세한 내면으로 침잠하여 심한 부작용을 낳는다. 공감과 위로를 얻지 못한 채 상실 억압의 고통에 짓눌려 자폐증세와 더불어 죽음의 환각에 시달리는 주인공의 캐릭터에는 고립되고 소외된 현대인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제주도의 비자나무 숲(비자림)이라는 실제의 장소가 소설 속에 차용되어 유의미하게 작용되고 있는 공간의 풍경 이미지와 열린 구조의 미학적 효과도 거두고 있다. 명이와 함께 남은 가족들이 공유한 애도심리와 화해, 회복 등이 특정 공간인 비자나무 숲을 통해 해결의 서사국면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는 ‘꿈’의 메타요소적인 장치와 조합되어 해원(解寃)의 ‘제의적인’ 양상을 띠면서 상실치유 모색의 한 유형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Death is a common and equal proposition to all human beings, which means that condolence is also one of the very fundamental issues of human life and one of the very acute elements to be dealt with in the domain of literature. Death of man and condolence for it, which used to claim relatively high importance in the community society, tend to be made light of in modern days. Writers since the 2000``s do not have very profound perceptions of "death," which tends to be used as an easy device in their novels. Should even the literary circles disregard the issues of death and condolence at a time when the media are flooded with the fantasies of shock and violence? This study was conceived by that kind of self-examination and looked into the issues of "death and condolence" and search for the recovery of the loss in a relatively recent work titled The Forest of Nutmeg Trees I Have Never Visited by Gwon Yeo-seon. The main character, who never earns sympathy and comfort and suffers from autistic symptoms and death hallucinations in the pain of loss and suppression, reflects the aspects of isolated and alienated modern people. The unfinished phenomenon of condolence seen in the female protagonist in the novel was discussed according to the theories based on Freud``s psychoanalysis. The study also paid attention to the landscape images of space, which was working significantly as the actual place of "Jeju Island" was borrowed in the novel, and the aesthetic effects of its open structure.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7-0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예비평학회 -> 한국문예비평연구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3 | 0.823 | 0.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