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백계 러시아인 사회 = The White Russian Community in Colonial Chosen
저자
황동하 (한국교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7-315(39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white russians community which have formed in Chose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ny white russians fled to the Korean peninsula seeking refuge from the Bolsheviks who advanced to the Russian Maritime Province in early 1920's. When the Bolsheviks advanced to Vladivostok in 1922, about 8,870 people under the command of Admiral Stark embarked on a fleet of old and rusty vessels to sail to the nearest foreign port of Wonsan. In Korea they were looked after by the Japanese Red Cross organization and then, ten months later, sailed further to Shanghai, Australia, Canada, California etc. But the part of them remained in Chosen during 1920’s~1950. By the late 1920s, there were only around a hundred Russians living in Seoul. Former nobles and officials, priests lived in Jeongdong, while a community of Tatars lived and worked in the markets near Namdaemun and Honmachi. However the two groups had little interaction with each other. The high level of education and professional skills in Jeongdong allowed many of them to gain prestigious positions at the schools and hospitals etc. But escaped with nothing in hand, the white russians in Namdaemun and Honmachi had to start from the beginning. They worked mostly hard. George Yankovsky, the grandson of a Polish noble exiled to Siberia, also maintained a resort in Juel which was popular among the Russian communities of East Asia. The Yankovskys gained respect and protection of the Japanese General Governor of Korea.
But the white russians lived their tragic lives in the course of the struggle of Great Powers for domination in East Asia. They all found themselves hostages of the grand political game which continued in the region throughout the 20th century. The major events – the Civil War in Russia, the War in the Pacific – proved equally cataclysmic for the life of the White Russians residing in Korea. Even after WWII the destiny of Russian migrants remained no less tragic.
이 글은 식민지시기에 조선에 들어선 백계 러시아인 사회를 분석한 것이다. 백계 러시아인 사회는 20세기 초 국제정치 상황에 휘둘린 망명촌이었다. 1920년대 초 한반도는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 볼셰비키에 쫓겨 피난 온 백계 러시아인들의 피난처였다. 이들 가운데 많은 사람이 상하이, 홍콩, 하얼빈,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샌프란시스코 등지로 다시 떠났지만, 일부는 한반도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 한반도에 머문 사람들은 식민지시기 조선의 경성과 함경북도 경성군 주을에 백계 러시아인 사회를 만들었다. 경성에는 정동과 남대문 일대를 중심으로 백계 러시아인 사회가 형성되었다. 정동에는 주로 제정러시아 귀족과 장교, 성직자들이 살았고 상대적으로 편안한 생활을 했다. 그러나 남대문 일대에 살았던 백계 러시아인들은 오늘날 3D 업종에 해당하는 노동을 하면서 살았다. 함경북도 경성군 주을에는 폴란드 귀족의 자손인 유리 얀코프스키가 동아시아의 백계 러시아인 사회에서 가장 유명한 ‘노비나’ 촌을 만들었다. 얀코프스키 일가는 일본식민당국의 후원으로 농장 경영, 가축 사육, 사냥, 휴양지 제공 등으로 큰돈을 벌었다. 그러나 조선의 백계 러시아인 사회는 20세기 국제정치에 또다시 좌우되었다. 1940년에 들어서 국제정세에 전운이 감돌자, 백계 러시아인들은 다른 곳으로 뿔뿔이 흩어졌다. 떠나지 못하고 1950년까지 한국에 남아 있었던 백계 러시아인들은 북한군 포로로 송환되어 비극적으로 삶을 마감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2-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Seoul -> Seoul and History | KCI등재 |
2016-02-0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鄕土서울 -> 서울과 역사외국어명 : The Hyangto Seoul -> The History of Seoul | KCI등재 |
2015-10-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서울역사편찬원영문명 :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Seoul ->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3 | 1.024 | 0.0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