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경산시 문화자원 활용을 위한 교육콘텐츠 구축 방안 = A study on the ways of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to utilize cultural resources of Gyeongsan cit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1-374(24쪽)
KCI 피인용횟수
1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Recently, since digital information is highly variable and transferable, many digital information can be produced, communicated, and enjoyed.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generation that enjoys virtual networks represented by the Internet as an important aspect of life. In recent years, the population born in the mid-1990s is called the Z-generation. Unlike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who have experienced both analog and digital way of life, they are also called Digital Native, a generation that experienced digital life from birth. The Z generation is familiar with social media, multitasking and high-speed Interne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ways of understanding of local culture and then strengthening local identity through the production of digital cultural resources and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ese new generations.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infrastructure based on the region, the local cultural center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the need for securing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region has been increased. However, the position of it has been falling due to lack of budget and manpower, and diversification of similar cultural institutions. In this situation, in order for the local cultural center to become the hub of creating and supplying variable local culture, it is urgent to disseminate substantial contents that can affect the local people, especially young digital generation. Therefore, I try to suggest ways to develop local cultural center by building the Wikipedia on local culture and the electronic culture map utilizing local cultural resources.
Gyeongsan city in Gyeongsangbuk-do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It is known as the birthplace of the three saints of Wonhyo, Seolchong and Ilyeon. It has many cultural resources such as 17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and 25 provincial cultural assets. However, there is a great lack of data and information on the culture of Gyeongsan City, and they need to be linked to and provided through a variety of media. Therefore, it is suggested here to create an electronic cultural mapping platform for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with diverse cultural resources of Gyeongsan City, and to utilize and enrich local culture by the participation of youth and local people in educational programs.
최근 디지털 정보의 가변성과 전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많은 디지털 정보가 생산되고 소통하면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가상 네트워크를 삶의 중요한 한 측면으로 누리는 세대가 생겨나게 되었다. 최근에는 1990년대 중반에 태어난 인구를 Z세대라고 부르고 있는데, 이들은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모두 경험한 X세대, Y세대와는 달리 태어날 때부터 디지털을 경험한 세대로 디지털 원주민(Digital Native)이라고도 불린다. Z세대는 소셜미디어에 친숙하며 멀티태스킹에 능하고 고속인터넷에 익숙한 것이 특징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지방문화원을 중심으로 이러한 새로운 세대들에게 디지털 지역문화자원 생산과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역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지역정체성을 함양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지방문화원은 지역을 거점으로 한 대표적 문화기반시설로서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예산 및 인력 부족, 유사문화기관들의 다양화로 그 위상이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방문화원이 지역문화생산과 보급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지역민, 특히 디지털 세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콘텐츠 보급이 절실하다. 따라서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문화 위키백과와 전자문화지도 구축을 통하여 지방문화원이 발전해 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으로는 경상북도 경산시를 선정하였다. 경상북도 경산시는 3성현이라 하여 원효, 설총, 일연이 태어난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가지정문화재 17개, 도지정문화재 25개 등 많은 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경산시 문화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편이고, 지역문화자료에 대한 다양한 미디어와의 연결도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경산시가 갖고 있는 다양한 문화자원을 활용해, 지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전자문화지도 플랫폼을 만들고,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청소년들과 지역민의 참여를 통하여 지역문화를 풍성하게 하고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5-3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49 | 1.216 | 0.2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