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의 리더십 = “통하였느뇨?”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7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15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5-98(14쪽)
제공처
동양의 정치적 기획은 크게 둘로 나뉜다. 하나는 ‘소통의 공동체 건설’이요, 또 하나는 ‘명령과 통제의 조직체 건설’이다. 전자는 유교적 사유와 통하고, 후자는 법가적 사유와 연결된다. 유교가 소통의 공동체를 지향하는 까닭은, 말(언어)을 도구로 삼고 ‘소통장’으로서의 인간관계를 중시하며, 나아가 인간관계 유지를 위한 신뢰를 핵심 조건으로 삼기 때문이다. 이점은 독특한 동양적 민주사상, 곧 맹자에서 개화되는 ‘여민與民사상’으로 나타난다.
소통의 공동체 건설을 지향하는 유교 리더십은 지도자 또는 지배계급의 감화력, 곧 ‘매력’을 중시한다. 그 매력을 작동시키는 원동력은 ‘소통의 의지’에서 비롯된다. 즉 매력과 소통이 유교 리더십의 핵이다. 지도자의 도덕적 매력을 통한 소통사회의 건설은 순舜임금에 의해 역사화되었다고 생각해 왔다. 그가 보여 준 ‘경청’과 상대방에 대한 깊은 ‘이해심’, 타인들과 이룬 ‘횡적 연대’, 그리고 새로운 국가의 건설(실천)이야말로 유교 리더십의 이상적 유형이다. 돌려 말해 지도자의 인격과 추종자들의 감화 사이의 피드백(소통)을 통해 실현되는 것이 유교적 리더십이다. 나는 이런 유교적 리더십을 ‘인민과 함께 그리고 인민 속에서 소통을 꾀하는 리더십’으로 이름 짓고 싶다.
We can roughly divide the ideals of political thoughts in East-Asian tradition into two. The one is a community establishment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leader and the people. And the other is making an organization by controls from leader, above the people. The former connects to Confucianism and the latter relates to the Legalist ideas(法家思想).
There are some reasons for Confucianism to connect with communication. Firstly, Confucianism puts emphasis on the language and conversation. Secondly, it puts stress on human-relations as the basis for conversation. At last, it emphasizes how important trust is to establish a healthy community.
Confucianism has thought that the healthy community is not made for coercion and violence, but for a leader's human attraction. Many Confucian scholars have studied how to make the human leadership(修己) and to adapt it on the various circumstances(治人). They conclude that the human leadership is made for (1) active listening to another, (2) careful understanding on the counterpart, (3) banding together with the people, and to practice healthy society altogether. We can name it 'With-In-the people Leadership'.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