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YouTube에서 어조와 목소리에 따른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시각적 특성 = Vis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Kinetic Typography According to Tone and Voice on YouTub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67-278(12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Kinetic typography has developed into various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with the rapid growth of New Media. The change has thus formed a new visual culture that has added temporal and spatial expressions to the delivery of merely legible information. On YouTube that has rapidly grown into a single-person media, the kinetic typography for Korean which is based on tone and voice has shifted its focus to entertainment at the hands of the editors of YouTube.
The issues created by insufficient specialization due to absence of knowledge have to be analyzed with actual content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needs to be explored. Committed to such objectives, the study selects 3 to 6 items of the South Korean contents in 2019 that achieve quite much of the kinetic typography for Korean based on tone and voice, which are included in the 100 most influential items as chosen by subscribers and register minimum 3 points in rating.
Then, the study analyzes the cases of the kinetic typography for Korean that shows in tone and voice by classifying them into the three attributes of type size, shape change, and tempo variation.
As a result, type size greatly influences layout and interferes with readability. The study has seen that the arrangement of the layout has disregarded its general concept. The study has found out that while the shape change has rich meaning in terms of design, the resulting variation leads to the overuse of foreign words and the degeneration of Korean, potentially causing problems with communication. Tempo variation, which shows at once continuous motion and standstill form, represents movement and speed. While handling such typographic variables serve to elevate emotions, excessive speed is added to the anomalous combination of various attributes and Korean, thus hampering readability. Instead of settling for fun elements that go into YouTube, one needs to work to develop an upgraded kinetic typography for Kore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sure that the kinetic typography for Korean helps diverse-ranging viewers as a communication that reduces the cognitive confusion for them and promotes their understanding.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는 뉴 미디어의 급격한 성장과함께 우리 사회의 다양한 정보 전달 방법으로 발전되어왔다. 단순히 읽는 문자의 정보 전달 기능에서 시간, 공간적 표현이 추가된 새로운 시각 문화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성장으로 1인 미디어로 급성장한YouTube에서 어조와 목소리에 따른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이 YouTube 편집자들에 의해서 오락성에 치중되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지식의 부재로 전문성이 미흡하여 생기는 문제점들을 콘텐츠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개선방향의 탐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기반으로 어조와 목소리에 따른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이 다분히 되어있는2019년 국내 YouTube 콘텐츠 항목에서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력이 있는 구독자 순위 100위 내의 평점 3점 이상인 3~6개의 콘텐츠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어조와 목소리에 따라 나타나는 한글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3가지 속성으로 타이포의 크기, 타이포의 변형, 타이포의 속도로 분류하여 사례를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이포의 크기의변화는 레이아웃이 무시되며 배치된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이는 시청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며 가독성을 방해한다. 둘째, 타이포의 변형은 디자인적 의미가풍부함으로 이에 따른 변형에서 나타나는 외국어 남용과 한글 파괴로 이어져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발생되었다. 셋째, 타이포의 속도는 연속되는 움직임과정지된 형태를 보여줌으로써 느리거나 빠른 속도를나타냈다. 이런 타이포그래피 변수의 취급은 감정을고조시키는 역할을 한 반면 여러 속성들과 한글의 변칙적 결합에 너무 빠른 속도감까지 더해져 가독성이낮았다. 단순히 YouTube에 넣는 재미요소라는 생각보다 좀 더 발전된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한글 키네틱 타이포그래피가 조금 더 다양한 시청자들에게 인지적 혼돈을 줄이고 이해를 돕는 커뮤니케이션으로써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732 | 0.0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