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고전소설 연구 성과와 방법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3-79(37쪽)
제공처
소장기관
이 논문의 목적은 디지털 시대로 간주되는 2000년대 이후 고전소설 연구의 성과와 방법을 고찰하는 것이다. 2000년대 이후 고전소설은 디지털 콘텐츠가 연구의 대상으로 대두되었고 2010년대 이후에는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연구의 방법도 진행되었다. 고전소설의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주로 <춘향전><장화홍련전><홍길동전><전우치전>의 영화화 양상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심청전>의 애니메이션화와 웹툰화 양상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고전소설의 연구는 이본 계열과 유형 분류 및 디지털 감정과 문체를 비롯하여 연구 방법론에 대한 모색까지 전개되었다. <소현성록>과 같은 장편 가문소설을 중심으로 한 논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구운몽><홍길동전><춘향전><최척전><주생전><위경천전>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고전소설의 원전과 시대별 콘텐츠의 변모 양상을 고찰하는 고전소설의 문화사에 대한 연구와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해외 소장본 및 번역본 고전소설에 대한 연구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더보기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chievements and methods in the study of classical novels since the 2000s, a period marked by the digital era. Since then, digital content has become a key focus in classic novel research, and digital tools have increasingly been employed in research methodologies, particularly from the 2010s onward.
Research into the digital adaptations of classic novels has largely centered on film versions of works like The tale of Chunhyang, The tale of Janghwa and Hongryeon, The tale of HongGildong and The tale of JeonWoochi. Additionally, there has been significant study of animated and webtoon adaptations of The tale of Simcheong. The use of digital tools in researching classic novels has expanded to include alternative series classifications, analysis of digital emotions and writing styles, and even the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ologies themselves. While discussions have often focused on full-length family novels such as Sohyeonseongrok, other works like Guunmong, The tale of HongGildong, The tale of Chunhyang, The tale of Choicheok, The tale of Jusaeng and The tale of Wigyeongcheon have also been explored.
Building on these achievements, there has been consideration of the potential for cultural history research on classic novels, particularly regarding changes in their original texts and their reinterpretations over different periods. There has also been a proposal to apply digital tools to the study of overseas collections and translations of classical novel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