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로(大鹵) 신석상(申奭相)의 교유와 한시 연구 - 근기 남인 인맥과 석북가(石北家) 시풍(詩風)의 계승을 중심으로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1-176(36쪽)
제공처
소장기관
본고는 석북(石北) 신광수(申光洙)의 넷째 아들 신석상(申奭相, 1737~1816)의 교유양상과 시세계 일면을 고찰하였다. 신석상의 교유양상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는 과정은 18세기 후반 근기 남인계 문인들의 사회관계망과 활동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주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신석상의 교유양상을 고찰하는 가운데 부친 세대의 성호가문과의 교유가 이후에도 지속되었고, 이삼환(李森煥)-신석상의 교유를 통해 근기 남인들의 활동 반경이 충청도 지역으로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특히 채제공과 목만중의 시회(詩會)에서 파생된 소규모 모임에 주목하였고, 신석상 신이상(申履相) 형제가 우경모(禹景謨) 목윤중(睦允中)을 중심으로 한 모임의 일원으로 활동하였으며, 영남 남인 이동항(李東沆)과 교유한 사례도 구체적으로 밝혔다. 신석상의 한시 특징에 대해서는 석북가(石北家)의 시풍(詩風) 계승 면모를 중심으로 살폈다. 신석상은 장편 가행(長篇歌行) 형식의 작품을 다수 창작하였는데, 민생(民生)의 질고(疾苦) 반영, 불우한 재인(才人)의 행적을 통한 동병상련의 감정 표현 측면에서 선대의 문학과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양상은 채제공·목만중·정범조·이헌경·신광수·신광하 등이 장편 가행을 즐겨 창작했던 양상과 아울러 살펴볼 수 있으며, 근기 남인 가문 내 문학의 전승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보기This study examines the interaction patterns and poetic world of Shin Seok-sang (申奭相, 1737-1816), the fourth son of Seokbuk Shin Gwang-su (石北 申光洙). Focusing on Shin Seok-sang’s interaction patterns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social networks and activities of the Nam-in literary figures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study reveals that the interactions with the Seongho family from the father’s generation continued into Shin Seok-sang’s time.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Lee Seom-hwan and Shin Seok-sang, it is confirmed that the activities of the Nam-in in the Geungi (近畿) region expanded to the Chungcheong province. The study particularly highlights small gatherings derived from the poetry meetings of Chae Je-gong (蔡濟恭) and Mok Man-jung (睦萬中). It was found that Shin Seok-sang and his brother Shin I-sang were active members of a poetry society centered around Woo Kyung-mo (禹景謨) and Mok Yun-jung (睦允中), and they also interacted with the Yeongnam Nam-in figure Lee Dong-hang (李東沆). Regarding Shin Seok-sang’s poetry, the study focuses on the inheritance of the Seokbuk family’s poetic style. Shin Seok-sang created many long-form “Ga-hang (歌行)” poems that reflect the hardships of people’s lives and express a sense of shared suffering through the lives of unfortunate talents, showing a tendency similar to the literature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is trend can be observed alongside the creation of long-form “Ga-hang” poems by figures such as Chae Je-gong, Mok Man-jung, Jung Beom-jo (丁範祖), Lee Heon-gyeong (李獻慶), Shin Gwang-su, and Shin Gwang-ha.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demonstrates the literary transmission within the Nam-in families in the Geungi region.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