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 저우산군도[舟山群島] 푸퉈산[普陀山]의 海神과 觀音信仰 = Sea God and the myth of Gwan Um of Putuoshan on Zhoushan Qundao in China
저자
발행기관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INSTITUTE OF ISLAND CUL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1-78(28쪽)
KCI 피인용횟수
3
DOI식별코드
제공처
中國 舟山群島 普陀山은 동아시아 최대 규모의 관음성지이다. 푸퉈산은 3~4세기경에 남인도의 포타락카(potalaka) 계통의 관음신앙이 전파해왔고 唐宋代에 크게 발달하였다. 포탈락카(potalaka)의 관음신앙은 인도의 海商들이 동남아시아로 진출하면서 해양실크로드를 통해서 중국 저우산군도 푸퉈산에 전파시켰다. 포탈락카의 관음신앙은 힌두신 비슈누(Vishnu)와 불교의 관세음보살이 결합한 비스와루빠(Vishvarupa)를 섬겼고, 비스와루빠는 비슈누관음보살이라 할 수 있다. 인도의 해상들은 비슈누관음보살을 航海保護神으로 신앙하였으며, 白衣觀音菩薩로 묘사하였다.
이 비슈누관음보살은 중국 푸퉈산에서 南海觀音으로 정착하였고, 남해관음이 다양한 모습으로 현신하였고, 이와 관련하는 남해관음연기설화가 푸퉈산에서 전해오고 있다. 하나는 巨軀南海觀音緣起說話이며, 다른 하나는 短姑道頭說話이다. 거구남해관음연기설화는 비슈누관음이 남해에서 세 발걸음을 건너뛰어 저우산군도에 도착하고, 저우산군도에서 다시 3개의 섬을 건너뛰면서 1,000여개의 섬을 세면서 관음성지를 조성하는 연기설화이다. 이 남해관음연기설화는 인도에서 ‘세 발걸음의 소유자’로 알려진 비슈누와 관음보살이 결합하여 뜨리비끄라마(Trivikram)로 출현하고, 단고도두 연기설화는 비슈누가 바마나(Vamana)로 화신한 힌두관음보살이 출현하고 있다. 푸퉈산에서 뜨리비끄라마는 거구의 남해관음보살로 등장하고, 바마나는 난장이할머니(短姑)로 등장하고 있다. 푸퉈산에서는 거구의 남해관음과 단고가 출현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비슈누가 거구남해관음과 난장이할머니로 화신한 것이다. 바다에서 남해관음이 타고 다니는 오어(鰲魚)도 비슈누가 Kurma(龜)와 물고기(Mstsya)로 化身하여 결합한 해신이다. 이러한 비슈누관음신앙이 푸퉈산에 다양한 모습으로 남아있다.
이와같이 저우산군도 푸퉈산에는 비슈누관음신앙과 관련하는 관음연기설화와 巨軀南海觀音像과 觀音跳遺跡, 短姑道頭遺跡, 鰲魚像 등이 전해오고 있다.
The Putuoshan(Mt. 普陀) on Zhoushan Qundao (a group of islands in 舟山) in China is the biggest holy place of Gwan Um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The myth of the Buddhist goddess of Mercy from Potalaka in India came to Putuoshan along with the sea traders of India when they came to Southeast Asia during 3rd - 4th century through sea silk road during Tang Dynasty and Song Dynasty and developed significantly. The myth of Gwan-Um from Potalaka was Vishvarupa (Vishnugwanumbosal) that was a mixture of Vishnu, a god of Hindusm, and Gwan-Um. The sea traders of India believed Vishnu-Gwan Um-bosal as a sea goddess that protected them and described her as a Gwan Um in white clothes. The Vishnu-Gwan Um-bosa settled in Putuoshan as a sea goddess and there are myths on a Gwan Um from south sea, who put her in a various appearances. One is a myth on a giant Gwan Um, sea goddess and the other is a myth on Dangodo. According to the myth, Vishnu-Gwan Um leaped 3 steps from south sea to Zhoushan Qundao and from there, she leaped 3 islands counting 1000 islands and made a holy place of her. The myth on Gwan Um from south sea contains a mixture, Trivikram, of Vishnu who goes anywhere in 3 steps and Gwan Um and Vishnu appeared as Vamana, a Hundu-Gwan Um in the myth of Dangododu. Trivikram is a giant Gwan Um from south sea whereas Vamana is a small grand mother and all of them are different appearances of vishnu. The terrapin that Gwan Um rides in the myth is a sea god that is a mixture of Kurma and Mstsya made by Vishnu. The myths on Vishnu-Gwan Um who are in various appearances can be found in Putuoshan. There are many myths that are related to vishnu-Gwan Um such as Buddhist goddess of Mercy, giant Gwan Um, sea goddess, Gwan Um who goes anywhere in 3 steps, Dangododu, and terrapin in Putuoshan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6-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도서문화연구소 -> 도서문화연구원영문명 : THE INSTITUTE OF ISLAND CUL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ion for Marine & Island Cultures Mokpo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7-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5 | 0.4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55 | 0.874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