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유아교육에 관한 학위논문의 동향분석 : 1985-1989
저자
발행사항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1990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1990
발행연도
1990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KDC
375.1
DDC
372.1 판사항(19)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vi,85장; 26cm
소장기관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있는 유아교육학과 혹은 유아교육 관련학과에서 발간된 1980년대 후반의 연구논문들의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고, 이 결과를 1980년대 전반의 연구경향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1985년 이후 유아교육 관계논문의 전체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가. 연대별, 기관별, 학위별 분포
나. 내용별 분포
다. 연구방법별 분포
2. 1980년대 초반과 후반의 연구경향은 어떻게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유아교육학과 혹은 유아교육 관련학과가 있는 10개 대학의 대학원 및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수집한 박사학위논문 7편, 석사학위논문 521편 총 528편을 학위논문의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위논문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982년부터 1985년까지의 유아교육 학위논문 연구에서 학위논문의 수가 매년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것을 참고해 보면 유아교육 석·박사 학위논문은 그 수에 있어서는 계속 증가되어 오다가 1989년에 양적 증가세가 멈추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유아교육 학위논문 기관별 수량을 살펴보면 교육대학원에서 나온 논문의 수가 279편(52.8%)로 가장 많고 대학원이 174편(33.0%), 관련대학원이 75편(14.2%)로 나타났다. 학위별 수량에서는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수량이 279편(52.8%)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내용분류기준의 각 영역중에서는 유아발달과 구체적 교수영역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유아발달에서는 인지발달부분이 그리고 유아교육과정의 구체적 교수영역에서는 언어 및 음률부분에 연구가 편중된 경향을 보았다. 반면에 교육사상, 교육과정의 구체적 교수영역중 사회 및 수·과학부분, 평가, 아동복지등에 관한 연구는 3편이하로 나타나 연구활동이 미비한 분야로 파악되었다.
한편 부모교육 및 자녀양육에 있어서는 많은 연구가 자녀양육 부분에 편중되어 유아교육기관의 현장을 기초로 연구된 부모교육 부모 참여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3) 학위논문의 연구방법에서는 학위논문의 연구대상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이 인적대상이고 다음이 물적대상, 문헌등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방법에서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질문지법, 면접법등으로 나타났다.
(4) 1980년대 전·후반의 연구경향을 비교해 보면 내용별 분포에 있어 유아발달의 인지부분이 1980년 전·후반 모두 지나치게 편중된 경향을 보였으며 교육사상, 교육과정의 구체적 교수영역중 사회 및 수·과학부분, 평가, 아동복지등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미약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논문은 1980년대 후반에 와서 양적으로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우리나라 유아교육 현실의 문제점을 재인식하고 이를 개선해 보자는 자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1980년 전반기에는 대부분의 연구가 질문지와 면접을 통한 조사연구에 편중되었는데 1980년 후반에는 실험연구가 크게 증가하여 연구방법에 있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ized the overall trend in the treatises in the second half of 1980s which were publish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r connected department across the country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trend of ones in the first half of 1980s.
The substantial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the treatis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fter 1985
a, distribution by year, institution, scholarship
b, distribution by intents
c, distribution by research method.
2.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trend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1980s.
For this purpose, total 528 theses (521 masters' and 7 doctoral theses) were collected from graduate school or education graduate school in 10 universities which hav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r connected depart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
1. when considering the number of thes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reased every year from 1985 to 1989, we can know that the number of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increased steadily and the quantitative increasement stopped in 1989.
In the aspect of the quantity of theses by institution, it seemed that ones from education graduate school was 279 (52.8%) mosf frequent, graduate school 174 (24.0%) and connected graduate school 75 (14.2%) Also in the aspect of theses quantity by academic degree, the master's theses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was 297 (52.8%) most frequent.
2. Among the realms of intents, the ones of infant development and substantial teaching were most frequently studied. Especially the advancement of human knowledge was centered in infant development and the language and rhythm in substantial teaching.
On the contrary, the theses on society, natural science, mathematics, estimation, infant welfare, etc, appeared under 3.
Also most studies concentrated on bringing up children and the study on the efficiency of education and participation of parents was scarce.
3. The order in which the subjects were taken appeared experiment materials and literature. on the research method, experiment study was most frequent and then questionnaire, interview method, etc.
4. Comparing the research trends by intent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half of 1980s, human knowledge part of infant development was overemphasized through 1980s. Among the substantial teaching realms of education ideology and management the study of society, science, mathematics, estimation, infant welfare was still scarce. But the number of theses on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increased in the second half of 1980s and it seemed to be caused from the consciousness to recognize and improve the real proble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the research in the second half of 1980s were carried on by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but in the second half of 1980s experiment research has increased.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