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부품 자동검사ㆍ조립을 위한 지능형 로봇 비젼 시스템 개발 = Design of an Intelligent Robot Vision System for Automatic Test and Assembling of Precision Parts
저자
장영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김휘동 (연암공업전문대 금형설계과) ; 한성현 (경남대학교 기계자동화공학부)
발행기관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The Research Institute of Engineering Technology Kyungnam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9
작성언어
Korean
KDC
530.04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5-102(18쪽)
제공처
본 연구에서는 21 세기에 대두될 생산제품의 추세에 대응해 개발해야 될 필수적인 자동화 기술은 제품을 지능적으로 제조하고, 모든 요소를 자동검사하는 기술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핵심기술이라할 수 있다. 이의 실현을 위해 크게 그 세부기술을 분류하면, 1) 자동조립기술, 2) 표면실장기술, 3) 자동검사조정기술, 4) Line 네트워크 구성기술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자동화 기술 중 정밀기계 및 전자부품의 자동조립기술과 자동검사 기술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수행된다. 자동조립기술의 실현을 위해서는 조립용 로봇을 이용한 부품의 정밀 이동ㆍ삽입등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능형 제어 알고리즘이 개발되고. 자동검사기술의 수행을 위해서는 우선 머신 비젼 기술을 이용한 불량 및 양품을 패턴인식을 통하여 부품의 불량상태를 구별해 낼 수 있는 실시간 비젼 기술이 개발된다. 또한, 자동검사의 실시간 실현을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사용한 고성능 비젼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전자부품 조립검사라인, 즉 카메라 조립검사 라인에서 라인을 따라 흘러 들어오는 백 커버들을 정해진 위치를 따라 로봇을 이동하여 자동인식하고, 인식된 백커버의 납땜상태를 다양한 위치 및 이동공정에서 대해서도 유연하게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하고 품질기준 통과여부를 자동 판단할 수 있는, 이른바 다공정 제품의 형상인식 및 자동 검사용 로봇 비젼 기술을 개발한다. 또한, 제안된 로봇 비젼 시스템의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S사의 카메라 백커버 조립라인중 5번 Cell의 공정의 유사모델에 대한 실험을 통해 그 신뢰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new approach to the design of robot vision system to develop the technology for the automatic test and assembling of precision mechanical and electronic parts for the factory automation
Robot vision may be defined as the process of extracting, characterizing, and
interpreting information from images of a three-dimensional world. This process,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machine or computer vision, may be subdivided into six principal areas, (1) sensing. (2) preprocessing, (3) segmentation. (4) description, (5) recognition, and (6) interpretation. Sensing is the process that yields a visual image. Preprocessing deals with techniques such as noise reduction and enhancement of details. Segmentation is the process that partitions an image into objects of interest. Description deals with the computation of features (e.g., size, shape) suitable for differentiating one
type of object from another.
Recognition is the process that identifies these mechanical and electronic parts. Finally, interpretation assigns meaning to an ensemble of recognized objects.
In the vision technology for automatic test parts, the reliability of proposed vision algorithm has been illustrated through the simulation for the real time implementation of the pattern recognition for the camera back-cover and the test of soldering. In real-time implementing of pattern recognition of camera back-cover and test of soldering, the MVB-03 vision board has been used. Image can be captured from standard CCD monochrome camera with resolutions up to 640 ×480 pixels. Image processing has performed by using TMS320C31 digital signal processors made in Texas Instruments company Co., Ltd.. It is possible to use c3x machine code for system processing, The developed assembler software can be applied in Borland C+ + or Visual C+ +
Finally, the performance of proposed robot vision system has been illustrated by experiment for the similar model of fifth cell among the twelve cell for automatic test and assembling in S compan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