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광주5월항쟁 시기 ‘광주’의 표상(表象)과 ‘광주민주시민’의 형성 = The Representation of 'Gwangju' Area and Formation of Gwangju Democratic Citizens During the Gwangju Uprising
저자
유경남 (전남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1-176(36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1980년 5월의 광주항쟁은 이후 남한 역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광주항쟁은 1987년 6월 항쟁 및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 영향을 주었고, 이에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들 연구는 광주항쟁의 지역성에 초점을 맞추어 항쟁의 원인과 배경,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지만, 광주시민이 항쟁에 참여하게 되는 의식과 동기에 대한 부분은 미흡했다. 이에 본고는 광주항쟁시기 신문, 유인물 등을 구성하는 ‘텍스트(text)’에 주목하였다. 특히 항쟁 당시 유인물과 같은 ‘대안언론’은 지역민 사이에서 폭 넓게 공유되었으며, 자신들의 행동과 명분, 그 의미를 잘 담아내고 있기 때문에 항쟁시기 지역민의 동향을 잘 보여주었다.
광주항쟁은 1980년 5월 18일 계엄군의 폭력으로 시작되었고, 대학생을 포함한 지역민 전체로 확산되었다. 여기에는 계엄군과 지역민의 대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우연한 사건(historical event)’이 상황을 격화시키기도 하였다. 특히 지역민은 공공언론의 사실(事實)보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사실(事實)’인 유언비어를 더 믿었으며, 항쟁의 확산에 촉매제 역할을 했다. 지역민이 유언비어를 믿었던 이유는 유언비어가 전하는 내용이 당시 지역민의 정서를 잘 대변해 주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유언비어와 유인물은 광주를 ‘가족이 피 흘리고 죽어가는 죽음의 공간’으로 재현하였고, 계엄군과 정부는 광주를 ‘간첩과 폭도가 활보하는 폭력의 공간’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광주’지역의 표상을 통해 계엄군과 정부는 항쟁을 ‘광주만의 일’로 폄하‧한정하려 했고, 지역민들은 항쟁의 상황을 알리고자 노력했다. 항쟁이 확산‧전개되면서 ‘광주’를 표상하는 내용도 변화했다. 지역을 ‘폭력의 공간’이라고 표상했던 계엄군과 정부는 광주를 ‘난동으로 인한 피해의 공간’으로 형상화했는데, 이것은 ‘피해를 구원한다’는 진압의 명분을 획득하기 위한 목적 때문이었다. 지역민도 궐기대회를 통해 광주를 ‘죽음의 공간’에서 ‘불의에 대해 정의감으로 항거하는 저항의 공간’으로 형상화했는데, 이것은 광주항쟁시기 형성된 지역적 분위기의 결과물이었다.
이러한 광주항쟁의 상황 속에서 지역민은 자신들에 대한 다양한 호명방식들 중에서 궐기대회와 같은 담론 형성과정을 통해 ‘광주민주시민’라는 항쟁의 주체로 받아들였고, 이를 “광주시민”이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지역민의 연설을 분석해 보면, 광주시민에도 차이가 있었다. 다시 말해 수습대책위원회가 지칭하는 시민은 계엄군과 정부가 지칭하는 시민과 비슷한 ‘국가에 순응하는 시민’이었고, 투쟁‧선전가들의 시민은 현 정부를 부인하고 계엄군에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민주시민’이었다. 이와 다르게 지역민은 자신과 ‘국가’와의 관계를 인정하면서도, 지역의 역사적 경험을 근거로 불의에 항거하는 ‘정치적 주체인 광주시민’으로 호명하기도 했다. 다시 말해 광주항쟁 시기 지역민들은 담론의 형성과정 즉, ‘광주’지역에 대한 표상(表象)들의 경쟁 속에서 광주시민을 지역적 주체이자 정치적 항거의 주체인 ‘광주민주시민’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The Gwangju Uprising in May 1980 has influenced the history of South Korea ever since and plenty of research has been made about the event. The studies made great contributions to understanding the causes,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uprising by focusing on its locality, but fell short of inquiring into the thoughts and motives with which Gwangju citizens took part in the uprising. Accordingl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text' that made up the newspapers and printed matter in the days of the Gwangju Uprising. In particular, 'alternative media' like printed matter at the time were widely read by the local people and talked about the actions, causes and meanings of their struggle. The media indicated well what the local people did during the uprising. With this background in mind, this study made an analysis into the 'representation' shown in the text of the media during the uprising.
The Gwangju Uprising began to spread among all the local people including college students because of the violence perpetrated by the martial law soldiers. Sometimes, ‘historical event’ that took place in the course of demonstrations and subsequent suppressions led to historical ones. Additionally, the local people trusted in the 'rumors of verbal communication' more than the facts propagated by the public media because the rumors represented how the local people were feeling in the tumultuous situations.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represented 'Gwangju' as a violent region where spies and mobsters rampaged while the rumors and printed matter shared by the local people represented it as a region of death where their families were bleeding and dying. By depicting the images of 'Gwangju'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tried to downgrade the struggle and reduce it to an incident in Gwangju; and the local people made their endeavors to communicate and spread it by making the situations known. Besides, the expansion and widening of the uprising caused the images of 'Gwagnju' to transform.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which depicted it as a region of violence, began to symbolize it 'as a region victimized by violent actions'. This was to establish the cause of 'save the city from damage' before they reoccupied it. In the meantime, the local people changed the image of the city from 'a region of death' to 'a region of resistance against injustice', which was the very end result of the Gwagnju Uprising.
Out of many names given to them by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the settlement committee and the propaganda groups, the local people chose to call themselves "the Gwangju citizens" while they agreed that the main players of the struggle were the Gwangju democratic citizens. But an analysis of the speeches delivered by the local people showed they had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Gwangju citizens." In other words, whereas the citizens called by the settlement committee had the same meaning as those called by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the citizens addressed by the struggling propagandists meant the democratic citizens who negated the current government and actively resisted against the military authority. The local people, taking a different perspective, called them as politically active Gwangju citizens who had been fighting against injustice taking into account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while they still saw some connections between themselves and the nation. In other words, the local people at the time began to perceive themselves as both the local agency and 'the Gwangju democratic citizens' of political resistant agency among the competitive representations about them.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6-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전남사학 -> 역사학연구 | KCI등재 |
2006-03-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전남사학회 -> 호남사학회영문명 : Chonnam Historical Association -> Honam Historical Association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 | 1.183 | 0.1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