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16세기 범종 제작의 후원 계층과 특징 = Patronage hierarchies and characteristics of 16th-century bell-making
저자
김수현 (고양시청)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7-221(35쪽)
제공처
본 논문에서는 한국범종사 연구에서 조선 전기의 제작 사례로 중요하나, 그간 논의되지 않았던 16세기 범종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16세기 범종에 기재된 주종 기록을 비롯해 봉안 사찰과 관련된 문헌 사료는 제작 배경과 후원 계층에 대해 구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자료이다.
16세기 범종은 조선 전기인 15세기부터 원당, 원찰 등과 같이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재정적 지원을 받거나 또는 국가의 면세와 잡역 면제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재원 마련이 가능했던 사찰들을 중심으로 제작되었다. 제작 방법은 간선, 대화사, 대화주 등의 소임을 맡은 승려들이 권선문을 작성하고 다수의 시주 인원을 모집하여 재원을 마련하는 모연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범종 불사의 주된 후원 계층은 승려와 일반 백성이며, 현금을 직접 시주하거나 철물, 포, 황밀 등 범종 제작에 필요한 현물을 시주하였다. 이러한 범종 불사의 후원 시스템은 1619년 <가평 현등사 범종>의 사례처럼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에도 이행되었고 조선 후기 범종 불사 진행에 근간이 되었다.
16세기 범종의 양식은 기본적으로 단용의 종뉴, 입상연판문대와 연판문, 사각 형의 연곽, 보살상, 범자, 당좌 등을 표현하였다. 일부 범종에서는 쌍용의 종뉴, 운룡문, 수파문 등 15세기 왕실 후원 범종을 중심으로 유행했던 외래 요소가 부분적으로 반영되기도 하였으나, 범종의 외형과 세부 장엄 문양은 고려시대 범종의전통 요소를 꾸준히 계승하였다. <안양 삼막사 범종>(1625), <남원 대복사 범종>(1635), <문경 김룡사 범종>(1670), <홍천 수타사 범종>(1670) 등 17세기에 제작된 일련의 작품들은 16세기 범종의 양식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대표적 사례이다. 특히, 주종 기록에 양각과 점각을 이용하여 기재한 수많은 승속의 시주 인원들과 현물 시주 물품 등은 16세기 이후 17세기 범종의 제작에도 모연 방식이 그대로 계승되었음을 명확히 증명해준다.
This paper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16th century bell, which is important as a production case in the study of Korean bell history but has been previously overlooked. The evidence related to the Buddhist temple, where the bell is located, including the records of the main bell in the sixteenth-century bell, provide specific access to the background of its production and the patronage class.
The 16th-century bells were produced mainly by temples that had close ties to the royal family, such as Wondang and Wonchal Buddhist temples, or were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state through tax exemptions and exemptions from labor. The production method consisted of monks who were assigned the duties of ganseon, daehwasa, and daehwaju, who would write the letters of construction recommendation and recruit a large number of patrons to raise funds. The main patrons were monks and common people, who donated direct cash or in-kind goods such as iron, cannon, and yellow wheat for the production of bells. This patronage system was also implemented in the 17th century, after the Imjin War, as in the case of the 1619 <GapyeongHyeonjeongsa Bell>, and became the basis for the progress of bell production templ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16th-century bell style basically represented Danyong's jongnew, standing shape flower pattern range, flower pattern plate, flower square outline, bodhisattva statues, sanskrit scripts, and striking point. Some bells partially reflected foreign elements that were popular in the 15th century, mainly royal-sponsored bells, such as Ssangyong's jongnew, Unryongmun, and Supamun, but the appearance and detailed majestic patterns of the bells steadily inherited traditional elements of the Goryeo Dynasty bells. On the other hand, a series of works produced in the 17th century, such as the <Anyang Sammaksa Bell>(1625), <Namwon Daeboksa Bell>(1635), <Mungyeong Kimryongsa Bell>(1670), and <Hongcheon Sutasa Bell>(1670)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how the style of the 16th century bell was reflected. In particular, the numerous names of the patrons and the donated items for the prodction of the bells, which are recorded in the records of the bells using embossed and dotted inscriptions, clearly prove that the 16th-century Moyeon method was inherited in the production of 17th-century bell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