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金線描阿彌陀三尊圖> 불감 연구 = A Study painting of the Amitabha Buddha Triad in Gold the niche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저자
김형곤 (청람문화유산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53-280(28쪽)
제공처
佛龕은 감실이라는 내부 구조 안에 예배대상의 불교 존상을 봉안한 불교미술품을 일컫는다. 불감 내부에 불상을 봉안하는 경우가 일반적으로 벽면에 불교 존상을 새기거나, 조각하거나, 그리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목조불감 내부 중앙에는 <金線描阿彌陀三尊圖>, 양 문에 채색의 <金剛力士圖>을 그린 보기 드문 작품이다. 또한 붉은색 범자(梵字)는 불감 표면에, 金泥로 쓴 범자는 화면 중앙 외곽에 적혀 있는 독자적인 조형성을 지닌 불감이기도 하다. 이러한 불감에 대한 명칭과 개념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는 확인할 수 없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불감의 현상을 명료하게 전달하기 위해 ‘불화불감’이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불감 내부 중앙의 불화는 재료와 화풍에서 조선 16세기 金線描佛畵를 충실히 계승한 일례이다. 화기가 남아 있지 않지만, 제작시기는 동시기 불화와 면밀한 비교를 통해 18세기 중반 이후로 추정했고 제작지는 지리산 일대와 전라도를 중심으로 제작된 불화와 화풍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근 지역으로 언급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존하는 불화불감은 양문과 잠금장치가 달려 있는 구조적인 유사성, 불감의 주제가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아미타여래와 현세이익을 대변하는 관음보살로 집중되었다는 점에서 임진왜란 이후 제작된 조선 17-18세기 목조불감과 유사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목조불감과 불화불감은 개인이 소지한 願佛로 활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그중 국립중앙박물관본은 현존하는 불화불감 중 화질이 우수하고 세밀하고 장식적인 외부 의장이 돋보이는 수작이다. 이는 소유자의 높은 경제력과 제작자의 수준 높은 기량을 확인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또한 이 불화불감과 유사한 사례를 통해 하부 측면에 기다란 서랍장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향이나 경전을 보관하는 불감의 기능적인 요소도 밝혀보고자 했다.
In general, Buddhist portable shrines contain a niche in which a Buddhist statuette is placed as an object of worship, and their walls are usually engraved, embossed or painted with a sacred image of the Buddha.
The niche of the wooden portable shrine own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features a Painting of the Amitabha Buddha Triad in Gold, while its two doors feature a Painting of Vajra Deva in diverse colors. This rare artifact is characterized by its unique form, consisting of a Sanskrit inscription written in red pigment on its outer surface, and another Sanskrit inscription written in gold pigment on the center part of the painting. Although there is no data with which to confirm the name and concept of this particular portable shrine, this study uses the term “Bulhwa bulgam,” meaning “a portable shrine with Buddhist paintings,” to convey various aspects of the artifact more clearly. The Buddhist painting at its center faithfully reproduces the style and materials of gold-lined Buddhist paintings of sixteenth-century Joseon. Although the exact date of its production is unknown, it is estimated to have been produced sometime after the mid-eighteenth century, based on a close comparison with Buddhist paintings of the same period. Regarding the place of its production, as it shares the same style of painting as Buddhist paintings produced mainly in Jeolla-do Province and in the vicinity of Jirisan Mountain, it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in this a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led to the conclusion that existing portable shrines decorated with Buddhist paintings share similarities with the wooden portable shrines that were produced in Joseon in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This hypothesis is based on their structure, which consists of two doors and a locking device, and on their Buddhist paintings, which mainly depict Amitabha Buddha, who is associated with the Diamond Realm, and Avalokitesvara Bodhisattva, who is associated with compassion for all the beings of this world. Furthermore, it is considered highly likely that wooden portable shrines and portable shrines with Buddhist paintings were used as personal objects of worship of the Buddha. Among them, the portable shrine kept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regarded as a masterpiece due to the outstanding quality of the paint work and its highly detailed decorative design. This also provides a clue to the owner’s wealth and status as well as the producer’s excellent craftsmanship. In addition, this study raises the possibility – based on an examination of similar artifacts - that a long drawer may have fit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portable shrine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us revealing an additional functional element, namely that of storing incense or Buddhist scripture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