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국내 산림 작업 및 작업 안전 연구 동향 분석 = Using Text-Mining Technique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Forest Operations and Forest Work Safety in South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48-261(14쪽)
제공처
최근, 산림 작업은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며,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의 실현을 위한 필수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 등으로 인해 산림 작업 안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재해율을보이며,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산림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해 선행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Text-Mining) 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산림 작업 및 산림 작업 안전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주요 연구 주제를 도출하기 위해, TF-IDF 분석, LDA 토픽분석, 동시출현빈도 기반 단어망 분석(N-gram, 클러스터링 분석)을 수행하였고, 시기별 분석을 통해 시대 흐름에 따른 연구관심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산림 작업 분야는 산림 자원의 효율적 활용, 작업 기계화 및 시스템 개선, 작업 시간⋅ 비용 절감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작업 안전 분야는 물리적 부담과 안전 확보, 노동자 처우 개선, 심리⋅사회적 요인에 대한 대응, 제도적 기반 마련이 주요 연구 흐름으로 나타났다. 시계열 분석에서는 시대별로 부각된 키워드를 통해 연구 흐름이기술 중심에서 제도와 사람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계화와 생산성, 안전 기술, 교육 효과, 정책 변화에 따른 연구 등 다양한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는 산림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학술적 기반을 마련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여 산림 산업 및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The scope of forest operations has recently gradually expanded, and forest operations are deemed an essential component for the achievement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Emphasis on forest work safety is increasing, particularly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However, the forestry sector continues to exhibit higher accident rates than other industries, and related research remains insufficient. Therefore, trends evident in previous studies must be identified, and directions must be provided for future research initiatives aimed at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safety of forest operations. This study applied text-mining technique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forest operations and forest work safety in Korea and derive the major research topics.
Specifically, it employed TF-IDF analysis, LDA topic modeling, and co-occurrence-based network analysis (including N-gram and clustering). It also conducted a time-series analysis to examine shifts in research interests over time.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extant investigations on forest operations have focused primarily on the efficient use of forest resources, mechanization and system improvement, and time and cost reduction. Conversely, studies on forest work safety have emphasized physical burden and accident prevention, probed the improvement of worker conditions, queried psychosocial factors, and scrutinized institutional support systems. The time-series analysis disclosed shifts in research focus from technical aspects to institutional and human-centered themes, as evidenced by the emergence of keywords such as “excavator,” “stress,” and “safety” in discrete decades. The study findings enable the delivery of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s. For instance, prospective researchers could attempt quantitative analyses of mechanization and productivity, examine the application of smart safety technologies, conduct empirical studies on training effectiveness, and evaluate research trends associated with policy change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scholarly foundation for the enhancement of the efficiency and safety of forest operations. Thus, it expects to contribute substantively to future academic research and policy-making endeavors in the forest sector.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