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대학 전공 교육으로서 구비문학의 역할과 가능성 = A Study on the Role and Potential of Oral Literature Classes as a University Major Educatio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주제어
KDC
81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51-177(27쪽)
제공처
본고는 이화여자대학교 구비문학 수업을 토대로 구비문학 전공 수업의 당면 문제를 점검하면서 수업 사례와 함께 계획안을 세우고 대학 전공교과로서 구비문학의 가능성과 지향의 문제를 제기해보았다. 15주로 진행되는 구비문학 수업은 설화, 무가, 민요, 판소리, 민속극 등 다양한 갈래를 다루는데, 지역적ㆍ역사적ㆍ장르적 성격이 다른 광범위한 작품과 현장을 대상으로 삼기에 교수자의 목표가 작품과 주제 선별에 영향을 미친다. 수강생의 경우 국문학 전공자뿐만 아니라 고전이나 콘텐츠, 구술에 관심이 많은 타과 전공생들의 수강이 이어지고, 대학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비중이 커지면서 구비문학 수업에서도 외국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다. 대학의 변화 속에 콘텐츠ㆍ활용과 같은 측면이 교과에서 부각될 수밖에 없다 해도 구비문학 공부는 우리가 보다 꿈꾸는 사회적 가치를 목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구비문학 연구는 민중문학에 대한 연구로 출발했던 만큼 그 기층성을 고려하면서, 공동체의 집단지성과 상징적 가치 창출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한 현재까지 살아있는 장르로서 장소성ㆍ실제성을 고려해야 한다.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수업 전 영상과 자료를 미리 학습하도록 유도하고 각 갈래마다 조발표를 배치하고 토론을 독려하며 역동적으로 수업을 구성하고자 했다. 외국인 학생들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비교문학적 시각으로 이들의 참여를 이끌어 구비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를 검토하고, 서로 다른 시대와 문화권의 구비문학을 해석하기 위해 문화학적 시각을 원용했다. 이는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를 깊이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그 과정을 통해 현재 여러 사회문화 현상을 구비문학의 시각으로 분석하면서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익숙한 상황이나 가치를 낯설게 하는 데에로 나아가게 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일상과 이야기를 중심에 놓고 배우는 구비문학 수업은 대학의 변화 속에서도 그 학문적 역할을 확장해가야 한다.
더보기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issues of the oral Literature course, based on the Korean Oral Literature course at Ewha Womans University, and proposes plans with cases in order to raise the possibilities and objectives of Korean oral Literature as a university major. The 15-week Korean oral Literature course covers various genres such as folk narratives, Shaman’s songs(muga), folk songs, pansori, and folk plays. Because the regions, histories and genres of works are diverse, works and topic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professor’s teaching goal. In terms of students, in addition to Korean Literature majors, students from other departments with interests in classics, contents, and oral language, and as the proportion of foreign students increases in the university, foreign students are also increasing in the Korean Oral Literature course. Even if the aspects of utilization are highlighted in the curriculum due to the change in the university, the study of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 should aim for the social values that we dream of. Since the research on Oral literature started as research on folk/minority literature, we should consider its basic nature while considering the collective wisdom and symbolic value creation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we must consider the locality and reality as a genre that is still alive. In the class, students were encouraged to pre-learn videos and materials before the class, and each genre was arranged with group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to dynamically construct the class. In the situation where foreign students are increasing, comparative literary perspectives were used to lead their participation and review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Korean oral literature, and cultural perspectives were used to interpret Korean oral literature in different eras and cultural regions. This not only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Korean oral literature, but also moves towards deepening our understanding of humans and society by analyzing current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oral literature, challenging familiar situations and values. Thus, Korean oral classes that focus on our daily lives and stories should expand their academic role even in the midst of university change.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